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도시 생태계 서비스 통합 유지·관리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연구책임자 오규식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도시생태계 통합 유지·관리기술 개발을 통해 도시생태계 내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생태계 조성 및 관리의 선순환 구조 구축 ○ 전체 내용 □ 상세목표 1: 도시생태계 서비스(건강성) 통합평가·관리지표 개발 □ 상세목표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기술 통합 적용 최적 설계기술 개발 □ 상세목표 3: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개발 □ 상세목표 4: 도시생태계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 상세목표 5: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체계 및 국토·도시계획 연동 구조화 ○ 1차년도 (2020) □ 목표 개념정립, 분석체계 수립, 통합관리DB 구출 □ 내용 □ 상세목표 1: 도시생태계 서비스(건강성) 통합평가·관리지표 개발 • 도시생태계 통합 평가·관리지표 추출 • 예비 통합지표 선정 □ 상세목표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기술 통합 적용 최적 설계기술 개발 • 도시생태계 통합지표간 상호관계 Framework 구성 □ 상세목표 3: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개발 •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관련 비용-편익 분석 •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관련 경제성평가 분석체계 수립 □ 상세목표 4: 도시생태계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 전체 과제의 수집·축적 Data 분류 및 통합(통합관리 DB) • 시스템 주요기능 요구사항 분석 및 UI 구성 • 호환성 고려 시스템에 적용할 OGC 표준 도출 □ 상세목표 5: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체계 및 국토·도시계획 연동 구조화 • 국토·도시공간 유형 및 특성 분석 •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관련 현행 국토·도시계획 법·제도 분석 ○ 2차년도 (2021) □ 목표 분석모형 및 시스템 개발 □ 내용 □ 상세목표 1: 도시생태계 서비스(건강성) 통합평가·관리지표 개발 • 본 통합지표 선정 • 지표별 분석기준·함수 추출 • 세부개발기술 적용을 위한 도시생태계 변화예측 미시 규모 시나리오 수립 □상세목표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기술 통합 적용 최적 설계기술 개발 • 도시생태계 통합지표간 상호관계 분석 • 세부개발기술 통합적용·최적화(Ⅰ) □ 상세목표 3: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개발 • 도시공간 유형·특성별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비용-편익 분석(시장재 고려) □ 상세목표 4: 도시생태계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 전체 과제의 수집·축적 Data 분류 및 통합(통합관리 DB) • 도시생태계 종합설계 및 관리 최적화 기능 구현 • 시각화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상세목표 5: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체계 및 국토·도시계획 연동 구조화 • 국토·도시계획 의사결정구조 분석 • 관리기술 적용범위 분석 및 최적화 • 국토·도시계획 연동 도시생태계 통합관리체계 구조화 ○ 3차년도 (2022) □ 목표 시스템 적용 및 고도화, 가이드라인 작성 □ 내용 □ 상세목표 1: 도시생태계 서비스(건강성) 통합평가·관리지표 개발 • 세부개발기술 적용을 위한 도시생태계 변화예측 거시 규모 시나리오 수립 • 통합지표간 가중치 분석 및 선정 □ 상세목표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기술 통합 적용 최적 설계기술 개발 • 세부개발기술 통합적용·최적화(II) • 도시생태계 기능 향상을 위한 공간 조성 및 관리 가이드라인 □ 상세목표 3: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개발 • 도시공간 유형·특성별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비용-편익 분석(비시장재 포함) • 비용-편익 민감도 분석 및 핵심파라미터 도출 •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비용-편익 분석모형 확정 □ 상세목표 4: 도시생태계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 전체 과제의 수집·축적 Data 분류 및 통합(통합관리 DB) • 도시생태 환경정보 시스템 개발 • Virtual 서울, 수원시 도시정보시스템 적용·운용 • 시스템 고도화 □ 상세목표 5: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체계 및 국토·도시계획 연동 구조화 • 국토·도시계획 연동 도시생태계 통합관리체계 가이드라인 작성 목표 분석모형 및 시스템 개발 ○ 해당연도 (2차년도) □ 목표 분석모형 및 시스템 개발 □ 내용 □ 상세목표 1: 도시생태계 서비스(건강성) 통합평가·관리지표 개발 (pp. 41-76) • 본 통합지표 선정 및 지표별 분석기준·함수 추출 • 세부개발기술 적용을 위한 도시생태계 변화예측 미시 규모 시나리오 수립 □상세목표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기술 통합 적용 최적 설계기술 개발 (pp. 77-105) • 도시생태계 통합지표간 상호관계 분석 • 세부개발기술 통합적용·최적화(Ⅰ) □ 상세목표 3: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개발 (pp. 106-125) • 도시공간 유형·특성별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비용-편익 분석(시장재 고려) □ 상세목표 4: 도시생태계 통합 관리시스템 개발 (pp. 126-152) • 전체 과제의 수집·축적 Data 분류 및 통합(통합관리 DB) • 도시생태계 종합설계 및 관리 최적화 기능 구현 • 시각화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상세목표 5: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체계 및 국토·도시계획 연동 구조화 (pp. 153-173) • 국토·도시계획 의사결정구조 분석 • 관리기술 적용범위 분석 및 최적화 • 국토·도시계획 연동 도시생태계 통합관리체계 구조화 □ 연구개발성과 • 최종 성과물 1: 도시생태계 공간 조성 및 관리 가이드라인(기법) • 최종 성과물 2: 도시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기법) • 최종 성과물 3: 도시생태 환경정보시스템(소프트웨어)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활용방안 > ○ 도시생태환경정보 시스템 S/W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민간기업(전략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국토교통부, 지자체(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 수립) 건설 관련 공기업 및 민간 기업(공기업 및 민간기업, 연구원의 도시계획 관련 업무) 환경, 도시, 건축, 조경 등 관련 학과(도시 생태계서비스 관련 교육 및 연구) ○ 도시생태계 기능향상을 위한 맞춤형 공간 조성 및 관리 가이드라인 기법/가이드 라인 환경부, 국토교통부, 산림청(생태도시계획 제도 보완‧정립) 지자체(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 수립) 민간건설기업, 엔지니어링 기업(도시기본계획 및 도시관리계획 수립) ○ 도시 생태계 건강성 증진 기술 비용-편익 분석모형 기법 지자체(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 등 심의‧허가 사전 검증) 환경부, 지자체(생태복원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생태복원 관련 민간기업(생태복원 대안의 경제성 평가) < 기대효과 > □ 환경적 측면 • 국토·도시 공간 전반의 도시생태계 건강성 제고 가능 • 도시생태계 건강성 관련 핵심파라미터 기반 체계적 환경관리 가능 □ 기술적 측면 • 복잡한 도시생태계 서비스의 상호관계 규명을 통한 공간계획 최적화 가능 • 도시생태계 건강성 비용-편익 분석 및 기술 확산 □ 사회·경제적 측면 • 도시생태계 통합관리 정책 수립의 과학적 도구로 활용 • 국토-환경계획 연동 기반 효과적 국토·도시계획 수립 가능 • 도시생태계 관련 정책 효율성 및 실효성 제고 □ 정책·제도적 측면 • 도시생태계 건강성 관리를 통한 도시민 삶의 질 향상 • 환경적으로 부적합한 사업을 사전에 예측·평가함으로써 사회적비용 절감 가능 • 환경산업, ICT산업 등 관련 일자리 창출 및 산업 발전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0434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