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논문 기본정보

한국인 상용 식품 중 망간 함량 분석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ISSN ,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최미경,김은영,청운대,숙명여자대학교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7-01-01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 상용 식품 중 망간 함량을 ICP -AES로 분석하여 망간의 영양평가나 기능성 평가에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망간 영양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 식품은 곡류 51종, 감자 및 전분류 7종, 당류 7종, 두류 12종, 종실류 1종, 채소류 68종, 버섯류 7종, 과일류 3종, 육류 13종, 난류 4종, 어패류 48종, 해조류 7종, 우유류 16종, 유지류 8종, 음료류 27종, 조미료류 34종, 기타 13종의 총 36종이었다. 곡류, 감자 및 전분류, 당류의 망간 함량 중 쌀은 0.745 mg/10 g이었다. 두류의 망간 함량은 두유 0.033 mg/100 g에서 약콩 4.075 mg/100 g이었고, 견과류 및 종실류는 은행 0.268 mg/100 g에서 잣 8.872 mg/10 g까지 함량범위를 보였다. 채소류는 방울토마토 0.061 mg/10 g에서 생강 14.017 mg/ 10 g의 결과를 보였으며, 버섯류의 망간 함량 중 목이버섯이 10.382 mg/10 g으로 가장 높았다. 과일류는 단감 0.03 mg/10 g에서 건대추 2.985 mg/10 g의 결과를 보였다. 육류, 난류, 어패류, 해조류의 망간 함량 중 건새우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ART0012137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