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논문 기본정보

The formation of outbreak populations of the 3rd generation of Mythimna separata(Walker) in northern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昆蟲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ISSN 2095-135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PAN, Lei,WU, Qiu-lin,CHEN, Xiao,JIANG, Yu-ying,ZENG, Juan,DI, Bao-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중국 3세대 멸강나방의 개체군 조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으며, 중국 화베이(North China) 지역 내 3세대 멸강나방 곤충 자원에 관한 문제도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3세대 멸강나방 곤충 발생지역의 바람장 동태와 이주 개체군의 행방을 확정하고 각 지역의 곤충 자원 관계에 근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기법] 국가 기상국의 고공 기상 기록에 근거하여 고공 바람장을 분석하였다. HYSPLIT 플랫폼을 이용하여 화베이 지역 멸강나방의 여름철 이주 개체군의 비행 궤적과 낙하 분포를 시뮬레이션하였다. [결과] 여름철 바람에 근거하여, 3세대 멸강나방은 주요하게 그 발생지역과 가까운 남쪽 지역(약 45% 차지)에서 래원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루둥(Ludong), 쑤완어(SuWan'e), 저장 북부(Northern Zhejiang), 장시 북부(northern jiangxi), 후난 북부(northern hunan) 등이다. 또 다른 한 주요 근원지는 서북 지역[산시(Shanxi), 산시(Shaanxi), 간쑤(Gansu), 닝샤(Ningxia)를 포함, 약 10% 차지]과 화베이 북부[내몽골 및 북부지역을 포함, 약 7% 차지]이다. 일부 년도에는 서남 지역에서도 약 6%인 곤충 자원이 제공되었다. 이 외, 또 약 30%인 곤충 자원은 발생 지역 내의 이웃 지방에서 근원되었으며, 이는 현지 앞세대에서 체류된 곤충의 근거리 이주에 속하였다. 동북 지역은 화베이 지역 3세대 멸강나방의 곤충 자원 조성에 극히 미세한 기여(약 0.2%)만 하였다 산시(Shanxi)와 산시(Shaanxi)로부터 이주한 1세대 성충은 주요하게 북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약 30%의 개체가 화베이 지역의 3세대 멸강나방 발생지역에 진입하였고, 약 23%는 내몽골 및 북부 지역에 진입하였으며, 약 4%는 서북의 간쑤와 닝샤, 약 5%는 동북 지역, 27.%의 개체는 근거리 비행하여 본 성 경내에 낙하하였다. 산시(Shanxi)와 산시(Shaanxi) 개체군이 남쪽으로 이주하는 비율은 크지 않았으며, 약 10%의 개체만 3세대 멸강나방 발생지역의 남쪽과 가까운 지역에 이주하였다. [결론] 중국 북부 3세대 멸강나방의 발생은 확률이 크지 않은 사례에 속하는데, 이와 같은 큰 범위의 잠재적 곤충 자원과 국부적인 발생 지역 및 복잡한 기후 시스템은 화베이 지역 3세대 멸강나방의 예측, 조기경보 작업에 매우 큰 어려움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연구 부서와 추진 부서가 협력하여 더 많은 실증 연구와 사례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3세대 멸강나방 발생 메커니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인식해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84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ummer population of armyworm,outbreak mechanisms,trajectory analysis,3세대 멸강나방,발생 메커니즘,궤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