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논문 기본정보

Cloning and expression of RP2 gene in tissues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大連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Dalian Ocean University
ISSN 2095-138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PEI, Ai-jun,YANG, Yan-jin,QIN, Yan-jie,ZHAO, Xiang-ji,YAN, Xi-wu,LI, Xia,WANG, Fu-j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역전사 PCR(RT-PCR)과 cDNA RACE(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c)법을 이용하여 최초로 각장이 28mm인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맨틀로부터 RP2 유전자(Gen Bank 등록번호: KF826881)를 복제하였다. 결과, RP2 유전자 cDNA 서열 길이는 1,158bp이고 62bp의 5'단 비코딩영역, 41bp의 3'단 비코딩영역을 포함하였으며, 개방해독틀은 1,053bp이고 350개 아미노산을 코딩한다. 유도한 아미노산 서열은 TBCC(57aa~175aa)와 CARP(65aa~102aa) 보존 도메인을 갖고 있으며, 비막관통 당단백질이다. Blast 상동성 비교 결과, 바지락 RP2 아미노산 서열은 태평양 참굴(Crassostrea gigas)과의 유사성이 비교적 높았으며(56%), 고등 포유동물, 조류, 어류, 양서류와 절지동물 각 패턴 동물과의 유사성은 43%~53%이고, 아프리카주 로아사상충(Loa loa)과의 유사성은 비교적 낮았다(33%). 실시간 정량 PCR 기술을 이용하여 바지락의 서로 다른 조직에서 RP2 유전자의 발현을 검출하였다. 결과, RP2 유전자는 바지락 웅성 성선에서 발현량이 가장 높았고, 아가미, 수관과 맨틀 조직에서는 그 다음으로 높았으며, 부족과 폐각근에서 발현량은 극히 적었고, 자성 성선에는 발현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 RP2 유전자는 바지락 각 조직에서 비교적 광범위하게 발현되었으나 서로 다른 조직에서 발현량은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무척추동물의 RP2 유전자 구조 및 그 기능연구에 기초적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7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Ruditapes philippinarum,RP2 gene,molecular clone,tissue expression analysis,바지락,망막색소 변성유전자 2,분자 클론,조직 발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