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논문 기본정보

초등학교 취학 전 아동들의 음악적성 조사 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지역 중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음악교육공학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ISSN 1598-825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nbsp; nbsp;본 연구는 2011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 간 광주광역시 북구지역 관내 유치원 5곳에 다니고 있는 취학 전 아동들(만5세) 118명(남56, 여62)의 음악적성을 조사 분석한 후 이 조사를 토대로 향후 초등음악교육 현장에서 어떤 음악적 요소를 가르치는데 좀 더 중점을 두어야할지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만 9세에 이르러 음악적성, 즉 음악을 받아들이고 음악적 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고정화(Stabilized)'된다는 고든(E.Gordon)의 연구에 따라 아직은 음악적성의 발달 가능성이 유동적 시기인 초등학교 저학년 때 보다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본 연구를 위한 음악적성 검사 도구는 고든의 PMMA(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가 사용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남자 아동들의 음정감과 리듬감 평균 원점수는 각각 32.47과 30.56(40점 만점)을, 여자 아동들의 경우는 각각 33.53과 30.73(40점 만점)을 기록했다. 이를 고든의 백분위수 규준으로 환산했을 경우 공교롭게도 남자 아동들과 여자 아동들 모두 음정감은 93점과 95점 사이, 리듬감은 89점과 92점 사이 등 매우 높게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연구대상 아동들의 어떤 환경적 요인들이 이들의 높은 음악적성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을 포함한 11가지 변인들 중 음악적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무엇인지 통계분석으로 그 상관관계를 살펴본바 그 어떤 요인도 테스트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연구대상 남녀 아동들의 음악(적)성 테스트의 결과 음정감과 리듬감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만, 리듬감은 음정감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아동들의 음악성 신장을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음악활동에서는 리듬감에 좀 더 신경을 쓰고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유치원내 아동들의 음악적성 신장을 위한 방안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6500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음악(적)성,음정감,리듬감,sense of tonal and rhythm,PMMA,Musical ap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