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간⋅장관 대사효소/수송계-FXR 신호전달 및 장내 microbiomes과 담즙산 항상성 사이의 네트워크 규명 및 이를 활용한 염증성 장질환 약물치료의 최적화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동국대학교
연구책임자 최영희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ㅇ 연구개요 간⋅장관의 대사효소/수송계는 간⋅장관에서 담즙산의 생성, 대사, 배설 및 재흡수를 조절하여 담즙산의 항상성 조절에 관여함. 특히 간⋅장관의 1차 및 2차 담즙산과 그 포합형 대사체의 비정상적 조성은 간에서 담즙산 과잉 생산 및 특정 조직으로의 담즙산 축적을 유발하고 장내 microbiomes 변화를 초래하며, 염증성 질환으로 이어짐. 이에 본 과제에서는 담즙산 항상성에 관여하는 간⋅장관의 대사효소/수송계와 FXR 신호조절 유전자 발현의 생리 작용 및 장내 microbiomes을 규명하고, 담즙산 조절이 이 세가지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함. 이를 토대로 염증성 장질환(IBD) 모델에서 간⋅장관의 대사효소/수송계-FXR 매개 신호조절 및 장내 microbiomes과 담즙산 항상성 사이 통합적 네트워크 변화를 규명함으로서, 궁극적으로 담즙산 항상성 조절에 근거한 IBD 약물치료 최적화 전략을 수립하고, IBD 치료 약물 발굴의 근간을 마련하고자 함. ㅇ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간⋅장관의 대사효소/수송계-FXR 신호전달 및 장내 microbiomes과 담즙산 항상성 사이 네트워크를 규명하고, 이에 근거한 염증성 장질환에서 약물치료 요법의 최적화 전략 수립” 을 위하여 본 과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음. 1) 담즙산의 체태동태학적 특성 평가 및 간장관 대사효소/수송계가 담즙산 체내동태에 미치는 영향 평가: 혈액, 간, 장관, 담즙 및 변에서 담즙산 및 그 대사체의 정량/정성 분석법을 확인하고, 담즙산 대사 및 수송에 관여하는 CYP7a1을 비롯한 CYP isoform과 BESEP을 포함한 수송체 분석법 확립하였음. 이를 토대로 담즙산 대사 및 수송에 대한 관여도 평가하였음. 2) 간장관 대사효소/수송체-FXR 신호체계-장내 microbiomes과 담즙산 항상성사이 상호작용 및 IBD 관련성 평가: IBD 모델에서 간장관 대사효소/수송체-FXR 신호체계 - 장내 microbiomes 및 담즙산의 변화를 평가하였음. IBD에서 2차담즙산을 포함한 일부 담즙산이 colon 및 담즙, 변에 축적되는 현상을 관찰하였고, 이는 IBD 모델에서 BESEP 및 ASPET 수송체와 UGT 대사저해에 의한 원인으로 판단됨. 또한 FXR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microbiome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음. 3) 체내동태 평가에 근거한 IBD 치료 후보물질 탐색 및 발굴, 그리고 IBD 치료 후 보물질 도출의 최적화 전략 마련: reverse PK에 근거하여 체내동태 평가시 colon으로 이행도가 높은 항염증 물질에 대한 체내동태 및 in vivo 효능평가를 수행하였고, 알파망고스틴, moracin C의 2종의 물질을 후보로 선정하였음. 두 물질 모두 본 연구에서 고려한 담즙산-UGT-FXR을 축으로하는 IBD에서 일부 담즙산 축적 현상을 개선하였음. 그러나 장내 microbiome에 있어서는 대조군에 후보물질 투여시 균총의 변화가 있었으나 IBD 모델에 투여시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음. 또한 두 후보물질의 용량 설정에 사용할 수 있는 PK/PD 모델을 구축하였고 모델링을 통해 in vivo 효능평가에서의 용량 설정 및 추후 약효 예측에 활용하고 최적화된 투여지침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였음. ㅇ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에서 도출된 장내 미생물과 간⋅장관의 대사효소/수송계-FXR 매개 신호조절 네트워크 규명은 담즙산 항상성 유지를 타겟팅하여 IBD를 포함한 다양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음. 특히 IBD 증상 및 치료 기전에 대해 현재 밝혀진 주요 요인을 조절하는 간⋅장관 중심의 통합 네크워킹을 규명함으로서 IBD의 생리적 기전을 규명하고, IBD 증상의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음. 더불어 이러한 기반연구를 통해 담즙산과 같은 내인성 인자의 항상성 손상으로 인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약물을 개발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학술적 기반과 연구 시스템 확립의 기초가 될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1155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