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IoT 기반 스마트 캐비닛을 활용한 비전자문서 관리시스템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영신에프앤에스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핵심기술 문서철정보의 생성, 보관, 유통, 폐기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패널과 게이트웨이 개발 및 운용 소프트웨어 개발 기술 □ 최종목표 기존의 비전자(종이)문서철 수납용 가구(캐비닛)에 NFC, Zigbee, WIFI 등과 같은 ICT 및 IoT 기술을 접목하여 문서철정보의 생성, 보관, 검색, 유통, 페기 및 보안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패널장치와 데이터 전송용 게이트웨이 및 운용소프트웨어를 부가함으로써 종이문서철뿐만 아니라 보관용 캐비닛 및 사용자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할 수 있는 'IoT기반 스마트 캐비닛을 활용한 비전자문서 관리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함 □ 개발내용 및 결과 • 스마트패널 하드웨어 및 펌웨어 개발 - NFC를 활용한 문서철 및 사용자 제어 및 관리 기능 • 게이트웨이 하드웨어 및 펌웨어 개발 - Zigbee를 활용한 전사적 구축이 가능한 네트워크 구현 • 가구 개발 - 스마트패널에 최적화된 캐비닛 디자인 개발 • 통합문서관리시스템 서버 및 DB 구축 - 전사적 구축이 가능한 문서철, 캐비닛 및 사용자의 통합관리 가능 □ 기술개발배경 • 일반적으로 관공서, 학교, 기업에서는 업무에 관련된 정보를 문서로 작성하여 보관하며 이러한 문서는 전자문서와 비전자문서로 구별되고, 전자문서는 대부분의 관공서 및 기업이 전자결재시스템과 함께 전자문서 관리시스템(EDMS)을 구축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관공서나 학교, 기업의 경우 아직 많은 문서가 원본보관, 보안성 확보, 이중보관 등의 이유 때문에 종이 문서로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전자문서는 캐비닛, 파일박스, 책장 등 여러 형태의 사무용 가구에 저장, 관리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이형태의 비전자문서는 빈번한 문서철의 반입·출과 관리담당자의 변경으로 인하여, 문서 관리의 어려움이 야기될 뿐 아니라 문서 이관 시 문서 불일치의 문제점과 문서의 예기치 않은 유실 등 비전자문서 관리의 문제점이 자주 발생함 • 이러한 문제는 사무용 가구 내에 보관되어 있는 문서(철)들의 목록이나 내역의 정확한 파악 및 외부 반입·출 문서 이력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발생하고 있으며 기존 상용화 된 스마트 캐비닛은 제품의 대부분이 특수 목적용 금속소재의 캐비닛으로 사무실의 문서철 보관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고가로 인한 보급 및 보편화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음 • 본 과제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스마트 캐비닛 기반 비전자문서 관리 시스템은 NFC 기반의 위치추적 기능을 통하여 문서관리의 편의성을 보장하고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련 개발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국내·외 사무용 스마트 캐비닛 시장을 선점하여 국가 경쟁력 향상은 물론 지역 경제의 활성화 및 고용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 □ 핵심개발기술의 의의 • NFC 기반의 자사 선행제품은 동일 공간의 부서 단위 구축 및 사용만 가능하였으나 본 과제의 개발제품은 전용 게이트웨이의 개발 및 적용으로 전사적 구축이 가능해짐 • 기존 RFID 기반의 스마트 캐비닛은 제품 필수구성 요소상 고가로 제작될 수 밖에 없을 뿐 아니라 기존 사용중인 사무용 캐비닛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였으나 DC 전원을 지원하는 스마트 패널의 구현으로 기존 캐비닛에도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가능함 • 태깅(Taggtag) 한 번으로 모든 문서철, 및 사용자 관리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짐. • 종이문서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동서남아시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에 대한 유망 수출모델이 될 수 있음 • 사용자는 모바일 앱 및 PC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찾고자 하는 문서(철)이 위치한 캐비닛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음 • 통합적인 문서철 입출이력관리, 문서철 보관용 캐비닛관리 및 사용자 정보관리가 가능 • 캐비닛별 접근 권한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사용자 이외에 접근하지 못하여 문서에 대한 보안성을 보장할 수 있음 • 문서철, 문서보관함(Box), 등을 보관된 각 캐비닛별로 효율적인 문서철 관리가 가능 • 초저가의 제품으로 문서관리가 필요한 관공서나 기업에서 예산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으며 기존 사용 중인 사무용 캐비닛에도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가능 • 열쇠가 필요 없으며 스마트폰 및 사원카드로 캐비닛 도어 개폐 가능 ○ NFC 기반의 독립형 스마트 캐비닛(당사 선행제품) 기존 제품의 문제점 1) 동일 공간내 부서단위만 사용 가능 2) 네트워크 구축이 불가능 3)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늦고 불안정 4) 태그의 자동 인식 불가능 문제범 개선 1) 네트워킹이 가능한 전용 게이트웨이 개발하여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함 2) 데이터 통신 속도 및 안정성을 증 대 시 키 기 위해 Zigbee 모듈을 탑재한 스마트 패널을 개발 함 3) 태깅 누락을 방지하기 위한 음성 안내 메시지 기능을 적용함 ○ RFD 기반의 네트워크형 스마트 캐비닛(경쟁 제품) 기존 제품의 문제점 1) 통신 모듈 이더넷 방식 채택으로 전원 소모량이 많아 AC전원 채택하여야 함 2) RFD 안테나 등 필수 부가장치가 많아 원가 상승 요인 발생 3) 병열 배치된 캐비넷 간 전파 간섭 문제 발생(목재 캐비닛 사용 제한) 문제범 개선 1) Zigbee 모듈을 채택함으로서 DC 전원 채택 가능하게 설계 2) 캐비닛 도어 개폐용 및 문서철 입출고용 태그 리더기를 모두 NFC 모듈로 대체한 스마트 패널을 개발함 □ 적용분야 • 기본적으로 사업화 제품은 목표 시장인 관공서, 대학, 연구기관, 중소기업 대상의 문서철(함) 보관용 사무용 캐비닛 시장 이외에도 수납기능이 있는 모든 생활가구 및 산업용 가구에도 확대 적용 가능함 • 병, 의원의 의약품보관 캐비닛, 경찰서 무기보관 캐비닛, 대학 및 연구소 시약보관용 캐비닛 등의 고가의 특수목적용 RFID 기반 스마트 캐비닛 시장에 대응하여 저가형 NFC기반의 스마트 캐비닛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선행제품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여 수요처 확대 및 새로운 시장의 창출이 가능 함 (출처 : 요약서 - 3. 개발결과 요약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173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