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균류 종목록 검토 및 종목록집 발간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5-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사단법인 한국균학회
연구책임자 이윤수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Ⅰ. 과제 개요 1. 목적 및 배경 ○ 국내 담자균류에 대한 고문헌 기록으로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1454년), 노사신의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1481년), 이행 등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년) 등이 있으며, 표고 등 식용 및 약용버섯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져 있었고, 이후 카부라키(鏑木)의 선만실용임업편람(鮮滿實用 林業便覽)(1940년)에서 153종의 담자균류가 기록되어져 있어 학술적으로나 실용적으로 우리나라 균류 연구에 크게 기여하였음 ○ 광복이후부터 한국균학회 창립 이전까지는 이덕상과 이용우가 한국산균류목록 I(1957년)을 통해 2문 3목 1아목 12과 6아과 44속 111종의 버섯류를 발표하였는데 학술적으로 가치가 매우 높았으며, 이후 총 312종의 한국산균류목록 II, 그리고 총 361종이 포함된 한국산균류목록 III이 발표되었음 ○ 1959년에는 이지열 등의 원색한국버섯도감이 발간되었는데 228종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버섯도감이었음 ○ 이응래와 정학성이 기존 문헌들을 종합 정리하여 총 381종을 정리한 한국생물상에 관한 연구(1968년)를 발표하였고, 임정한과 김병각은 버섯류 386종을 정리한 한국산 고등균류 분류학적 연구[I]를 발표하였음 ○ 한국균학회 창립(1973년)이후 1978년 김삼순 등 13인으로 구성된 한국균학회 버섯이름통일안위원회에서 '한국의 버섯 이름 통일안'을 발표하였음 ○ 1990년 이태수의 '한국 기록종 버섯 총목록'이 발간된 이후 이진성과 정학성의 'List of recorded Korean Aphyllophorales'(2006년), 한국식물병리학회에서 '식물병명목록'(2009), 이태수의 '한국기록종 버섯의 총정리'(2013), 그리고 한국균학회에서 발간된 '한국의 버섯 목록'(2013년)등이 발간되어 버섯 및 식물 병원 진균에 대한 종목록집이 일부 완성됨 ○ 국내에 자생하는 담자균류의 종수는 1,900여 종에 이르며, 1990년대까지는 형태 분류의 특성을 근간으로 동정해 왔으나, 분자 분류가 추가되면서 새로운 분류체계가 도입되고 있는 설정임 ○ 한반도 자생 균류 중 문헌으로 기록된 균을 대상으로 현재 통용되고 있는 분류체계에 맞춰 새로운 국가 생물종 목록을 구축함으로써 국가 생물자원의 과학적이고 체계전인 관리체계와 보전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 제시가 요구됨 ○ 나고야의정서 발효(`14. 10)에 따른 국가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 확보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가 생물종 목록 구축 필요함 ○ 현재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자생생물 42,756종의 종 목록을 구축하였으며, 이중 균류는 3,451종으로 8%에 해당하는 종에 대한 종 목록이 구축됨 ○ 균류는 식용, 약용 등 활용가치가 높아 나고야의정서 체제하에서 생물주권에 대한 주장을 위해서는 공신력이 있고 국가 대표성을 갖는 종목록집 발간이 필요하며, 정확한 종목록집 발간을 위한 사전 단계로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보유 중인 균류 종 목록에 대한 사전검토가 요망됨 ○ 100,000종으로 추정되는 국내 자생생물 종 중 현재 42,756종이 발굴되어 있어 미발굴종에 대한 연구가 시급함 - 일본(90,000종)과 영국(88,000종)의 생물종 발굴의 48% 수준에 불과 ○ 식품이나 의약품으로 널리 이용되는 중요한 천연자원인 균류 - 담자균류의 대부분은 식용과 약용버섯에 속함. 버섯은 각종 아미노산과 비타민, 칼슘 등의 함유량이 풍부하여 항암, 면역 등의 약리활성이 높고, 항비만 성분으로 각광 받고 있음 ○ 생명자원 활용 세계시장 규모는 3조억불 이상으로 미개발 유용 미생물의 경우에 새로운 의약품, 효소 개발 등 고부가가치 창출 기대됨 ○ 유전자원은 신품종 개발, 신물질 탐색 등 생명산업의 소재로 중요성 증대되고 있는 반면, 생물다양성은 급격히 감소 - 경제적 가치 : 생물산업 규모로 추정 시 '10년에 약 1,540억$(OECD) - 연 평균 25,000종 ~ 50,000종의 생물종이 지구상에서 멸종하고 있음 ○ 유용 균류를 활용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자원 탐색과 확보, 관리시스템이 갖춰져야 함 ○ 현재 자생생물 누계 42,756종의 국가 생물종 목록이 구축되었고, 균류는 그 8%인 3,451종이 목록 구축됨 ○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국가 생물종 구축 의무에 따라 자생 생물종의 국명 현화 파악 및 국명 지침이 마련(`13. 12)되어 분류군별 국명 미부여 현황 파악을 파악하고 국명 부여 작업이 필요 ○ ABS 나고야의정서 발효로 국가간 생물자원 분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유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을 지킬 근거 자료로 종목록 검토(미기록종 및 신종 포함) 및 종목록집 발간 필요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60001622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