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식품안전문화현황과 개선전략 연구-가정간편식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식품안전문화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식품안전정보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우리나라는 1인 가구의 증가 및 가정 내 조리빈도 감소와 더불어 편의점 등에서 더 이상의 조리과정 없이 즉석에서 섭취하는 가정간편식 시장규모가 증가면서 즉석섭취식품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가정간편식의 생산단계 식품안전성의 확보를 위해 HACCP 등 식품안전관리시스템이 도입·운영되어 왔지만 제도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개선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최근 제3자 인증을 통한 민간 식품안전관리시스템과 일부 국가의 식품안전관리 당국에서 식품문화적요소의 개선을 통해 식품안전관리시스템의 이행수준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동향을 주목하여 식품안전문화의 개념을 비롯한 최근 국가 및 민간 주도의 식품안전관리시스템에의 활용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여러 규모의 46개 가정간편식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무기명 설문조사를 통해 HACCP 이행현황과 식품안전문화를 평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식품안전문화 요소들에 대해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제 업체에서 이행하는 정도(수행도)를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고 HACCP을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식품안전문화요소를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식품안전문화는 식품안전관리체계(Food safety management system)와 식품안전풍토(Food safety climate)를 합친 개념으로,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인적 요건과 물적요건을 결합한 것이다. 실제로 식품안전문화를 식품제조업체에 도입하여 식품안전관리를 실시하고 있는 영국의 FSA(Food standards agency)는 제조업체를 식품안전문화의 수행 정도에 따라 5가지 단계로 분류하고, 검사관들로 하여금 제조업체의 식품안전·위생관련 요소뿐만 아니라 규제 순응도를 반영하여 단계별 적절한 조언을 통해 계도·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호주의 FSANZ(Food standards Australia New Zealand)는 제조업체의 식품안전문화를 리더십·비전, 작업장의 환경, 직원들의 지식과 행동, 자료의 수집과 평가, 규제기관과의 관계에 대해 Know 단계와 이의 수행여부를 판정하는 Do단계의 2단계로 평가하여 미흡한 부분을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가정간편식 제조업체들의 종사자들은 식품안전문화 요소들 중 직원의 참여와 경영진의 의지를 식품안전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함께 교육·훈련, 자원의 투입과 기업 문화를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는데, 소규모업체에서는 기업문화에 대한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어 소규모업체에서는 아직 기업문화에 대한 인식이 정착되지 않았음을 시사하였다. 업체 규모별 식품안전문화요소의 수행도를 조사한 결과 대규모 업체에서의 식품안전문화지표 수행정도가 전반적으로 중소업체의 식품안전문화지표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경영진의 의지에 대한 수행도 값의 경우 대규모업체의 경연진의 식품안전에 대한 의지가 중규모 업체 경영진의 의지보다 유의하게(p=0.00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대상 식품안전문화 평가요소들이 HACCP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훈련'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정간편식 제조업체가 HACCP 요건을 인증기준(약70% 만족수준) 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식품안전 및 위생관련 교육·훈련을 지속적이고 꾸준히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출처 : 요약 16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015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