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대나무 복합 생약추출물 활용 염증성 장질환 치료보조 건강기능식품 소재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4-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연구책임자 이용준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는 완치율이 낮고 부작용까지 동반되고 있어 난치성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게 염증 유발 장 손상을 개선하고 부작용을 낮출 수 있는 무독성 저자극의 산림 기반 소재를 활용한 치료보조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발굴하고자 함 전체 내용 ⦁원료표준화에서 지표(기능)성분의 함량, 지표(기능)성분의 특성(구조식, 분자식, 분자량 등), 지표(기능)성분 시험법 밸리데이션 및 대량생산 3lot를 실시하여 지표성분 함량, 유해성분 분석 등을 확인하여 기준규격설정과 원료표준화를 수행함 ⦁후보소재인 사철쑥의 경우, 더위지기와 혼용되어 사용되는 있어 유전자판별법으로 원료판별법을 확립함 ⦁원료의 기능성을 입증하기 위한 실험디자인 수립과 바이오마커를 설정하여 시험관 시험(in vitro) 및 동물시험(in vivo)을 통해 바이오마커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입증하기 위한 기전 연구를 수행함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온 두 소재인 대나무와 사철쑥의 섭취근거 자료를 확보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등을 활용하여 일일섭취량분석을 수행함 ⦁복합추출물의 개별인정형 인증을 위한 인체적용시험은 소규모 임상 개념증명(clinical proof of concept, POC)을 통해 우선적으로 염증성 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효능검증을 실시함. 이는 향후 본 복합 추출물의 연구개발 초기단계에서의 사업화 또는 기술이전에 용이할 것임 ⦁대나무, 사철쑥을 활용한 장 건강 기능성 원료는 임상개념증명을 통해 만성 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효능을 입증하여 향후, 본 복합추출물을 활용한 치료보조 건강기능식품 소재의 개발성공가능성을 높임 1년차 목표 ⦁대나무와 사철쑥의 배합비율 설정 근거를 확보함 -대나무와 사철쑥 단독으로 하였을 때 보다 혼합하였을 때 장 건강 효능이 더 우수함을 입증 -대나무와 사철쑥의 주요성분 확인 및 지표성분 분석법 확립을 통한 지표성분 함량분석 ⦁대나무와 사철쑥의 안전성확보를 위한 섭취근거 자료를 확보함 내용 ⦁대나무·사철쑥 복합소재의 배합비율 설정근거 확립 -대나무·사철쑥 기능성 복합소재 개발을 위해서 각 추출물의 혼합비율에 따른 생리활성 정도 및 시너지 효과를 비교하여 복합소재를 개발 -단독소재별 염증성 장질환(Ulcerative Colitis, UC)을 타깃하는 특정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질병활성지수 확보를 통해 배합비율의 선정을 위한 threshold 구축 -죽순(BS), 사철쑥(AC) 모두 투여 4일째 혈변지수 억제능이 가장 높음. 또한, 지사(stool)지수는 죽순(BS)만 낮은 경향을 보여 질병활성지수(DAI)는 두 소재 모두 통계적 유의성 없이 낮은 경향을 보였음 -본 실험을 토대로 염증성 장질환 타깃 임상바이오마커로써 질병활성지수 및 혈변지수를 선정함 -단독소재 2종의 선행 결과를 토대로 두 소재의 배합을 30:70, 50:50, 70:30비율로 복합소재 배합비율시험을 진행함 -질병활성지수(DAI)는 배합비율(50:5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냄 -혈변(bloody stool)지수는 배합비율(70:30과 (50:50)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남 -특히, 조직병리검사에서 배합비율(50:50)에서 조직붕괴의 회복이 보임 따라서, 종합적인 결과를 토대로 배합비율(50:50)을 선정함 ⦁대나무 ·사철쑥 복합소의 주요성분 분석 및 지표성분 선정 -기존에 알려진 유효성분 14종(플라보노이드 5종, 페놀화합물 6종, 쿠마린계 화합물 3종)의 HPLC-UV 동시분석법을 확립하여 함량분석을 진행함과 동시에, 주요유효성분 4종(페놀화합물 1종, 쿠마린계 3종)의 분석법을 개선하여 함량분석을 추가로 진행함 -특히 Scoparone 은 더위지기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사철쑥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지표성분으로 판단됨 -대나무 조건별 추출물에서는 coumaric acid, ferulic acid, hyperoside, 3,5-di-caffeoyl quinic acid의 peak가 확인되었음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터펜류(terpenes)의 분석은 GC-MS/SPME법을 이용하여 분석함 -사철쑥 진공추출액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 중 camphor가 31.7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나무 죽순 진공추출액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은 Methyl salicylate가 46.5%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음 ⦁사철쑥(인진호) ∙ 더위지기(한인진) 원료판별법 확인 -식품원료로 등재된 사철쑥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더위지기는 육안으로 판별이 어려워 식약처 가이드라인에 따른 유전자분석법으로 원료판별을 진행하여 사철쑥(인진호)를 확인함 2년차 목표 ⦁대나무와 사철쑥 복합소재의 원료표준화부분에서 분석법검증, 기준규격성정 및 소재의 안정성평가를 수행함 ⦁대나무와 사철쑥 복합소재의 장 건강 효능을 검증하고 전임상단계에서의 개념증명 (Clinical proof of concept)을 위한 IRB를 신청함 ⦁식약처 채움토의를 통한 복합소재의 안전성(독성)평가 여부를 결정함 내용 ⦁기능/지표성분 분석법 검증 - 원료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능/지표성분의 설정에 있어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특이성, 대표성, 안정성, 용이성으로 원재료에 따라 특이적으로 존재하거나 추출물의 성분 중 대표할 만한 성분으로 결정함. 이러한 기능/지표성분은 열, 빛, 습도 등의 일반적인 보관조건에서 안정성이 높아야 하며 분리된 단일성분이 HPLC, GC, UV 등과 같은 범용화된 분석기기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방법, 상업적 표준물질의 사용가능 여부, 분석 비용 등을 고려함 ⦁대나무·사철쑥 복합소재의 장손상 개선능 평가 - 건강기능식품에서 장 손상 개선 기전은 「염증에 의해 장이 손상되는 질환의 경우 장 점막 조직에서의 염증 반응을 억제하고 조직 손상을 저해하여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으로 정의하고 있음 - 장 손상 동물모델은 Dextran Sulfate Sodium Salt(DSS)를 이용하여 대장염이 유발된 마우스에 후보소재를 투여함으로서 대장염 완화 기능성 평가를 수행함. 장손상개선 바이오마커별 측정 가능한 시험은 시험관시험(in vitro/ex vivo)은 해당시험이 없으며, 동물모델을 이용한 in vivo 시험이 대부분임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추가적으로 in vitro 실험으로 인간 대장암 세포주 2종(HT-29, Caco2)을 이용하여 염증성 단백질 발현 및 관련인자를 확인함 ⦁대나무·사철쑥 복합소재의 경쟁약물 비교 효능평가(in vivo) : 추가시험 -임상시험이 진행 중인 궤양성 대장염 치료후보소재와 비교효능평가를 실시하여 복합소재의 경쟁력을 확인함 ⦁대나무·사철쑥 복합소재와 유효성분(4종)의 비교 효능평가(In vivo): 추가시험 -복합소재의 주요 유효성분 4종을 선정, 추출물대비 비교효능평가를 실시함 ⦁전임상시험 단계에서의 clinical proof of concept(POC) -임상개념증명(POC)을 위한 인체적용 시험 제반업무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임상시험 프로토콜을 작성하여 IRB 신청서 작성 중에 있음(22년2월 승인 예정) ⦁국민건강영양조사기반 대나무 사철쑥 복합소재의 섭취량평가 -대나무와 사철쑥의 섭취근거 자료를 확보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등을 활용하여 일일섭취량분석을 수행함 3년차 목표 ⦁대나무와 사철쑥 복합소재의 대량생산 3lot를 생산함 ⦁대나무와 사철쑥 복합소재의 장 손상 개선 기전연구를 수행함 ⦁전임상단계에서의 개념증명(Clinical proof of concept)을 수행함 내용 ⦁Pilot-scale에서 3lot 생산 및 지표성분 함량 측정 - 복합소재중의 Scoparone을 대상으로 Lot별 함량 실험 결과, Scoparone 평균함량은0.25±0.00 μg/g 으로 나타나 Lot간 편차는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음 - 복합소재중의 유해성분(중금속) 분석을 통해 복합소재의 안정성을 확보함 ⦁복합소재 추출물의 안정성평가 - 가속시험(3개월) 및 실측시험(장기보존시험, 15개월)을 통한 소재의 안정성을 확보함(시험항목 : 성상, pH, 지표성분) ⦁대나무와 사철쑥 복합소재의 장 손상 개선 기전연구 - 원료의 기능성을 입증하기 위한 실험디자인 수립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0496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