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동 · 서 · 제주해역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용역 - 북제주바다목장 -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07-08-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제목 동·서·제주 해역 바다목장화(제주바다목장) 개발 연구 용역 사업 (2단계 1차년도)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제주바다목장사업은 연안 자원 조성을 기본 목표로 하여 국민들의 해양레져 욕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복합적인 바다목장을 만든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주연안에서의 어장조성을 위한 어초 배치 기술 개발, 해중림 조성기술개발,/ 바다목장내 방류어를 위한 서식처의 복원 및 제공을 위한 기반기술 확립에 따라 어류, 무척추 자원의 자원증대를 꾀하는 요소 기술 개발을 위한 과학적인 시도와 그 결과의 이용에 따른 유사 국가 사업의 효율 증대에 그 중요성이 있다.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이번 연구 사업은 제주해역 바다목장의 2단계 1차년도 사업으로 해역내 본격적인 자원조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분야로 나누어 추진되었다 ㅇ생태계 특성조사 - 환경 특성 파악 - 생물군집 특성 파악 ㅇ어장.자원조성 - 해중림, 어패류 복합어초개발 및 어초어장 배치도 - 대상종 건묘의 생산 - 중간육성 기술 적용 가능성 및 적합성 조사 - 방류기술 - 행동특성 - 방류어의 유전특성 및 자원모니터링 ㅇ이용관리 - 바다목장 이용·관리체제의 기본방향 설정 및 조직구성 - 관광분야 활성화계획 수립 - 어업별 경영실태 및 수면이용분석 - 관광수요조사 어업인 순응도 조사 분석 ㅇ시설투자 - 종묘방류 및 어초시설 IV. 연구결과 1. 환경생태 해양환경 2006년 11월, 12월 그리고 2007년 2월, 3월, 4월, 5월, 7월 총 7회에 걸쳐 제주도 차귀도 연안해역 7개 정점에서 표충수와 저층수를 채수하여 물리, 화학적 수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물리환경특성은 조사기간 출현 수온범위는14.7 - 22.0℃로서 계절별 특성은 추계(11월)에 19.2 - 19.5℃, 동계(12월, 2월에 15.0-17.7℃, 춘계(3-5월에는 14.7-16.7℃ 하계(7월)에 17.1-22.0℃ 범위였고, 각 계절별 표층과 저층의 수온 분포차이는 추계 0.2-0.3℃, 동계 0.7-0.9℃, 춘계 1.8-2.0℃, 하계 1.3-4.9℃의 범위로 나타났다. 추계, 동계, 춘계는 표층과 저층의 큰 차이가 없이 균질한 편이었으나, 하계에 외해수의 세력에 의해 표·저층간 수온차이가 상대저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세력분포는 연안역과 죽도 주변의 지형변화에 따라 형성되고 있다. 염분은 33.44-34.38psu 범위로서 추계(11월) 34.16-34.17psu, 동계(12월, 2월) 34.02-34.37psu, 춘계(3-5월) 34.21-34.38psu, 하계(7월) 33.45-34.08psu 범위로 나타났다. 표층과 저층의 염분차이는 각각 추계 0.01psu, 동계 0.21-0.29su, 춘계 0.07-0.17psu, 하계 0.14-0.63psu 범위로 나타났다. 특히, 추계에는 다른 시기에 비해 혼합이 잘되어 있는 상태였으며 하계를 제외한 계절에 저층의 고염분수의 분포는 대마난류수 주류부의 세력에 의한 것이며 춘계(5월)에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예년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하계에 저층부에 나타났던 저온수는 금번 조사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하계 남풍계열의 바람의 영향이 환경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염분은 예년 조사에서는 2월에 가장 높았으나 금번 조사에서는 5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예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대마난류 세력이 약해진 것으로 사료된다. 화학적 수질특성은 pH는 최저 7.98(2007년 2월 정점 7의 표층)에서 최대 8.18(2007년 4월, 정점 1의 표층)로 평균 8.08의 범위였다. 용존산소 농도 분포는 최저 6.63mg/ℓ (2006년 11월, 정점 5의 저층)에서 최대 8.97mg/ℓ (2007년 4월, 정점 4의 표층과 정점 2의 저층) 로 평균 7.92mg/ℓ를 보였으며,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농도분포는 최저 0.07mg/ℓ (2007년 2월, 정점 2의 표층)에서 최대 1.17mg/ℓ (2007년 3월, 정점 5의 저층)로 평균 0.54mg/ℓ의 범위를 보였다. 부유물질 농도 분포는 최저 0.2mg/ℓ (2007년 3월, 정점 2의 표층)에서 최대 4.9mg/ℓ(2007년 7월의 저층)로 평균 1.7mg/ℓ를 보였다. 총무기질소의 농도분포는 최저 3.071μM (2007년 5월, 정점 6의 표층)에서 최대 26.786μM(2007년 4월, 정점 2의 저층)로 평균 10.982μM로 나타났다. 표층의 농도분포는 3.071~21.28611M 이었고, 저층은 4.786~26.786μM이었다. 인산염 인의 농도분포는 최저 0.04911M(2007년 3월, 정점 2, 3, 7의 표층과 정점 3의 저층)이었으며, 최대농도는 0.599μM(2007년 7월, 정점 1과 7의 저층)로 평균 0.27011M의 범위를 보였다. 용존유기탄소 농도분포는 최저 28.33μM(2006년 11월, 정점 3의 저층)에서 최대 248.33μM(2007년 4월, 정점 2의 저층)로 평균 112.67μM의 범위를 보였다. 2006년 12월과 2007년 4월 바다목장 해역의 연질저질토는 정점 1, 4, 5, 6은 주로 (g)S와 gS로 이루어져 있고, 그리고 정점 2, 3, 7는 sG와 msG의 퇴적물 유형이 분포되어있다. pH값은 평균 8.07을 중심으로 정점별로 뚜렷한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고, COD, TOC, TON, TC, IL은 silt와 clay함량이 많은 주로 바깥쪽 정점들이 안쪽 정점들보다 약간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CaC0 3 농도는 패각펀 모래함량이 다소 많은 안쪽 정점들이 약간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생태계특성 2006년 11월(추계), 2007년 2월(동계), 4월(춘계) 그리고 7월(하계)에 북제주 바다목장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총 출현종수는 98종으로 규조류가 77종(38속 68종 9 미동정종), 와편모조류가 17종(11속 12종 5미동정종) 식물편모조류가 4종(3속 4종)이었다. 각 계절별 출현종수는 11월에 44종, 2월에 28종, 4월에 23종, , 7월에 50종 이었으며 대부분이 규조류였으나, 4월과 7월에는 와편모조류의 종수가 증가하였다. 종다양성지수의 계절별 평균값은 11월에 2.175, 2월에 1.811, 4월에 1.365, 7월에 0.907을 보여 7월에 가장 낮았고 11월에 가장 높았다. 각 계절의 평균 현존량은 11월에 7,640 cel1s/L, 2월에 15,258 cells/L, 4월에 5,958 cells/L, 7월에 1,028,125 cel1s/L 으로 7월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우점종은 11월에 Cerataulina pelagica, 2월에 Chaetoceros socialis가 30% 이상의 점유율을 보였고, 7월에 Chaetoceros socialis가 전정점에서 70% 이상으로 가장 높은 점유율로 우점하였다. 계절별 평균 엽록소량은 0.370 - 1.870 μg Chl-a/L의 범위로 평균값은 0.837 μgChl-a/L 이었다. 크기별 분획하여 보면 미소크기(nano-size 3, 동계에는 평균 1,449 indv./m 3, , 춘계에 413indv./m 3, 그리고 하계에는 116 indv./m 3, 로 매우 낮았다. 2006년 추계(11월) 그리고 2007년 동계(2월), 춘계(4월), 하계(7월)에 북제주바다목장 해역에서 난·자치어 출현상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난·자치어의 생물량은 하계에 가장 많이 출현하고 있었고, 정점별 출현양상에 있어서는 난과 자치어가 가장 많이 출현한 하계의 경우 난은 연안측 정점에서 많이 출현한 반면에 자치어는 외양측 정점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출현하고 있었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5목 11과 15속 18종이며 종수면에서 망둑어과, 청베도라치과, 날치과, 고등어과, 셋돔과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저수온기인 동계와 춘계에는 고등어과 어류와 볼락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고수인기인 하계와 추계에는 제비날치, 날치과 어류, 고등어과 어류, 푸렁통구멍, 자리돔과 어류 등이 출현량 면에서 우점하고 있었다. 2. 어장·자원조성 인공어초 제주형 바다목장내 인공어초를 이용한 어장조성을 위해 인공어초 배치안을 작성하였다. 바다목장해역 총 2,872ha중 약 800ha에 인공어초의 시설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중림어장,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0204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