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빈곤에 의한 식습관이 장내미생물 군집과 만성질병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2-19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정진혁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이 글에서 우리는 특별히 장내미생물 군집에 초점을 두고 영양, 비전염성 만성질환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연관성에 대해 토의할 것이다. 우리는 소득불평등이 특정 집단의 장내미생물 군집에서 나타나는 부적응적 변화의 근본적 요인이라는 주장의 이론적 체계와 이를 뒷받침하는 동물과 임상시험의 근거들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소득의 불평등이 고소득국가에서 나타나는 저소득, 고소득 인구 간의 건강 불평등에 기여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1. 2. 목차 1. 서문 2. 사회경제적 지위와 만성질환 3. 비만과 대사증후군 4. 제2형 당뇨병 5. 심혈관질환 6. 사회경제적 지위와 스트레스 7. 사회경제적 지위와 식이 8. 결론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는 반복적으로 비만, 제2형 당뇨병, 심혈관질환을 포함한 수많은 대사 환경의 위험 요인으로 지목되어왔다. 사회경제적 지위의 건강에 대한 영향은 복잡하고 다원적이며, 대사질환들은 대개 환경과 유전적 위험 요인을 포함하고 있지만 식이적 요소에 의한 기여는 결코 하찮지 않다. 이 제안문에서, 우리는 어떻게 무첨가제, 최소한으로 가공된 식품을 이로운 비율로 (경제적 혹은 사회적인 이유로) 소비하지 않는 개인들이 직면한 식이적 절충(dietary trade-off)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미생물 군집 의존적인 방법을 통해 대사 과정과 면역체계, 숙주의 일반적인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사려하였다. 우리는 이것이 고지방, 고설탕, 정제된 물질과 같은 해로운 다량영양소의 과도한 섭취와 섬유소의 발효에 의한 이점과 비타민과 미량영양소에 의한 면역조절의 이점을 얻지 못하는 것의 결과일 수 있음을 강조한다. 우리는 여전히 이와 관련이 있는 모든 기전을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신선하고 첨가물이 없는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섬유소, 비타민 및 미량영양소가 염증성질환의 진행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낮은 수준의 만성염증과 면역조절장애(immune dysregulation)로부터의 보호와 관련이 있는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촉진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당연히, 개인의 식이 선택의 결과로 미생물 군집의 이로운 효과를 잃을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또는 경제적 요인들은 이러한 식이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소득사회에서 사회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이 직면한 달러당 칼로리 문제와 그들의 삶에서 겪는 더 많은 스트레스의 복합적 영향은 그들을 더 취약하게 만든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보다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가 시급하다. 우리는 인류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의미 있는 연구, 식품 체계, 식품 정책을 위해 나아갈 때 이러한 관계들에 대해 명심할 것을 제안한다. References 1. C. A. Harrison, D. Taren. How poverty affects diet to shape the microbiota and chronic disease Nat. Rev. Immunol. 7 (2017). 2. Sender, R., Fuchs, S. Milo, R. Revised estimates for the number of human and bacteria cells in the body. PLoS Biol. 14, e1002533 (2016). 3. David, L. A. et al. Diet rapidly and reproducibly alters the human gut microbiome. Nature 505, 559 ndash;563 (2014). 4. MartInez Steele, E. et al. Ultra-processed foods and added sugars in the US diet: evidence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study. BMJ Open 6, e009892 (2016). 5. Neumark-Sztainer, D., Story, M., Hannan, P. J. Croll, J. Overweight status and eating patterns among adolescents: where do youths stand in comparison with the healthy people 2010 objectives? Am. J. Publ. Health 92, 844 ndash;851 (2011). 6. Darmon, N., Ferguson, E. L. Briend, A. A cost constraint alone has adverse effects on food selection and nutrient density: an analysis of human diets by linear programming. J. Nutr. 132, 3764 ndash;3771 (2002). 7. Bach, J. F. The effect of infections on susceptibility to autoimmune and allergic diseases. N. Engl. J. Med. 347, 911 ndash;920 (2002). 8. Zarrinpar, A., Chaix, A., Yooseph, S. Panda, S. Diet and feeding pattern affect the diurnal dynamics of the gut microbiome. Cell Metab. 20, 1006 ndash;1017 (2014). 9. Basu, S., Yoffe, P., Hills, N. Lustig, R. H. The relationship of sugar to population-level diabetes prevalence: an econometric analysis of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PLoS ONE 8, e57873 (2013). 10. Bazzano, L. A. et al.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US adults: 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pidemiologic Follow up Study. Am. J. Clin. Nutr. 76, 93 ndash;99 (2002). 11. Yang, T. et al. Gut dysbiosis is linked to hypertension. Hypertension 65, 1331 ndash;1340 (2015). ※ 이 자료의 분석은 Mclean hospital/Harvard Medical School의 정진혁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86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