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재생유도성 슈반세포를 이용한 손상 신경의 축삭재생 유도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대전대학교
연구책임자 남궁욱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슈반세포 유래의 축삭재생 관련 생체인자들의 역할 규명을 통하여, 말초 및 중추신경의 축삭재생 유도인자의 발굴연구에 활용하고자 함. 전체 내용 Rat의 좌골신경 손상 후 슈반세포에서 생성되는 α6/β1 integrin과 축삭 미토콘드리아의 Cdk5 단백질의 활성화가 축삭재생에 양성적 인자로 작용함을 규명함. 또한, 슈반세포는 후생유전학적 기전에 의하여 GAP-43와 Cdc2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관여하고, 유전자 발현시 기전적 연관성을 나타내는 histone deacetylase 억제제는 슈반세포의 활성화 조절을 통하여 축삭재생을 촉진함을 발견함. 연구개발성과 (i) Rat의 좌골신경 손상 후 슈반세포에서 생성되는 α6/β1 integrin 단백질은 축삭재생에 양성적 인자로 작용함을 규명 - α6/β1 integrin은 동시배양 신경세포의 신경돌기 길이 성장에 요구됨 - α6/β1 integrin은 슈반세포와 축삭 간의 신호교신의 매개체로 관여하며, 신경절단 후 재엽접 축삭의 재성장과 양성적 상관관계를 나타냄. (ii) 축삭재생의 내재적 인자로서 미토콘드리아의 Cdk5 역할 규명 - 축삭재생 시 유도 생성되는 Cdk5는 STAT3를 인산화시킴. - Cdk5 매개성 STAT3 인산화가 신경돌기 부위의 미토콘드리아에서 관찰되며 이는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 증가와 상관성을 나타냄. (iii) 축삭재생 연계성 슈반세포의 활성화에 후생유전학적 원리가 적용됨을 확인함 - 슈반세포에서 GAP-43와 Cdc2 유전자 발현은 Histone deacetylase (HDAC) 억제제 trichostatin A(TSA) 처리에 의하여 증가함. - TSA는 슈반세포의 증식 및 축삭재생을 촉진시킴; 축삭재생 인자로서 TSA의 활용가능성 암시 (iv) 미주신경 전기자극(vagus nerve stimulation; VNS)에 의하여 신경계 및 비신경계 표적장기의 항염증 효능성 검증 - 간 염증 및 연속스트레스 동물모델에 VNS 적용시 표적 조직세포에서 염증성 싸이토카인의 생성 감소 - 염증조절에 의한 신경기능의 복구유도 연구에 활용 가능성 제시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손상신경의 기능적 재생에 활성슈반세포의 활용 - 전기자극 매개성 병증조절에 의한 신경재생 유도기술 개발 - 인간의 신경손상 및 신경병증의 치료기술 개발에 활용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0567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