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정원산업 현황 조사와 전망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5-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완순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Ⅳ. 연구결과 1. 정원산업의 범위 및 분류 연구 ❍ 외국의 정원산업 개념과 범위 조사 ▸ 정원활동 및 정원생활의 대중화로 정원산업은 독립된 산업으로 인정함. ▸ 정원산업 범위는 정원(garden) 자체보다는 정원 활동(gardening)과 생활(outdoor living) 밀접한 상품 시장을 위주로 형성됨. ▸ 정원산업 분류는 식물소재, 원예자재, 정원 도구와 용품, 정원 시설과 가구, 정원 전문관리 서비스, 애완동물, 정원정보 등 7가지 부문으로 정원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상품 시장의 형성으로 상품 위주로 구분됨. ❍ 우리나라 정원산업 범위와 분류 기준 ▸ 우리나라는 정원활동이 가능한 공간 확보가 시급한 시점에서 외국과 달리 정원 조성분야도 산업적 범주로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함. ▸ 대중은 정원을 여가 공간 외 교육, 체험, 치유, 공동체문화 활성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정원산업의 범위로 기존에 정원으로 부르는 공간 외 개인의 실내원예, 가정 텃밭, 옥상 녹지, 상자텃밭, 도시화단, 식물원, 수목원, 도시 공동체텃밭도 포함시키고 있었음. ▸ 가로수 띠녹지, 도시공원 등의 공공 환경녹지나 주말농장, 양봉, 도시농원 등 전형적인 도시농업의 형태는 정원산업 범위 외로 인식되었으나, 도시공원을 도시공공정원, 도시농원을 도시텃밭정원 등으로 명칭을 달리 했을 때 정원산업 범위로 재인식되는 경향이 나타남. 따라서 정원산업의 범위 설정기준은 공간 자체보다는 공간이 갖는 이용성과 대중적 활용성을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됨. ▸ 우리나라 정원산업 분류는 식물소재, 원예자재, 정원 도구와 용품, 정원 시설과 가구, 정원 전문관리 서비스 등 외국의 정원산업 분류군 외에도 정원설계시공, 가드닝 교육, 체험프로그램, 전시문화관광, 식물원·수목원 운영 등까지도 포함함. 2. 해외 정원산업 현황 조사 ❍ 해외 정원산업 규모 및 현황 조사 ▸ MarketLine사(2014) 통계를 기준으로 해외 정원산업 총 규모는 2013년 기준 210조 원이며, 2009-2013 연평균 2.5% 성장하였음. ▸ 지역별 산업 규모는 유럽 77조 원, 아메리카 74조 원, 아시아·태평양 56조원(이상 98.5%), 중동 및 아프리카 3조 원(1.5%)을 차지함. 단일국가로는 미국 55조 원, 중국 22조 원, 독일 14조 원, 일본 13조 원 순으로 나타났음. ▸ 부문별 산업 규모는 식물소재 및 원예자재 118조 원, 정원시설가구 53조원, 정원 도구 및 용품 39조 원으로 식물소재 및 원예자재가 56% 차지함. ❍ 외국 정원 운영 관리 및 정원산업 관련 법 또는 제도 조사 ▸ 미국, 영국, 독일, 일본, 중국의 정원 운영 및 관리, 정원산업 관련 법 또는 제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나라에서 정원관련 법률이나 제도가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았음. 확인된 유사 관련 법률이나 제도 대부분도 정원 산업화 촉진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주거 및 생활 안정을 목적으로 한 소규모 또는 공동체 정원 개발 및 관련 임대 특례법이나 지역조례로 확인됨. ❍ 해외 정원산업의 향후 발전 전망 ▸ 현재 세계 정원산업의 주요 시장은 유럽(77조 원)과 아메리카(74조 원)로 확인되지만, 2009-2013 연평균성장률이 각각 -0.3%, 1.9%로 이들 지역의 정원산업은 저성장의 성숙단계로 접어들었음. 반면 연평균성장률 5.1%의 아시아·태평양 지역(56조 원)은 향후 5년간(2013-2018) 연평균성장률 5.5%의 73조 원시장을 형성하여 세계 정원산업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됨(유럽 85조 원, 미국54조 원). 한편 미국의 경기회복세가 변수로 작용할 것이기는 하지만 2018년 세계 정원산업 시장규모는 243조 원으로 전망됨(Marketline, 2014). ▸ 정원산업의 신흥 아태지역에서는 식물소재 및 원예자재 중심으로(68.9%), 유럽과 미국은 정원 시설과 가구, 정원용품, 관리서비스 중심(47.5%)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3. 국내 정원산업 현황 조사 ❍ 국내 정원산업 규모와 현황 조사 ▸ 우리나라 정원산업 시장 규모는 2014년 기준 12,792억 원로 산정되었음. ▸ 특히 식물소재 8,676억 원 포함 정원소재생산 산업이 9,762억 원 76.3%를 점유하고 있으며, 유통과 서비스 산업은 3,030억 원 23.7% 점유로 생산소재의 1/3 수준으로 낮아 정원산업화의 초기단계인 신흥시장 진입수준으로 확인됨. ▸ 한편, 공적영역의 정원조성 산업이 시장을 주도(88.3%)하고 있으며 민간영역의 주택정원산업은 2014년 현재 1,500억 원 11.7% 점유하는 등 최근 들어 활발해지고 있음. ❍ 정원 연계 산업화 실태 분석 ▸ 우리나라 정원산업 종사자는 56,756명으로 집계됨. 아직까지 정원산업이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규모파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어려움. 우리나라 정원산업 종사자 결과는 잠재적 인력규모로 실질적 인력규모는 아님. 정원산업이 구체화되면 정원산업 종사자 규모도 파악이 가능할 것임. ❍ 정원소재 생산 및 유통 현황 분석 ▸2014년 판매량을 기준으로 초화류 311백만 본, 관상수 16.7백만 본, 종자․종묘 13.4백만 본, 구근류 4.1백만 본, 조경수 50백만 본, 야생화 26백만 본이 판매되었으며, 잔디는 6백만 평이 판매되었음. 이 때 잔디는 1평을 1본으로 하여 계산하였음. 우리나라 정원용 식물소재 생산 및 유통 산업은 471.3백만본이 판매되고 있음. ❍ 우리나라 정원산업의 전망과 예측 ▸ 2012년을 기점으로 정원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급등하고 법률 개정 등 정부차원의 정원 붐업활동(boom-up)으로 정원산업화에 대한 기대가 매우 높아진 반면, 정원활동 공간 확보문제와 산업화 기반 미비라는 관점에서 단기적으로는 오히려 마이너스 성장도 우려하는 시각도 확인됨. ▸ 전문가 그룹의 인식을 통해 장단기 국내 정원산업 시장규모를 예측한 결과, 2017년까지 단기적으로는 99.7-111.2% 성장하여 평균 13,487억 원, 2020년까지 중기적으로는 103.2-127.8% 성장하여 평균 14,771억 원, 2025년까지 장기적으로는 105.6-134.5% 성장하여 평균 15,362억 원으로, 이 때 최대 17,210억원까지 성장할 것을 전망되었음. 향후 정원산업의 성장 여부는 국내외 여건 변화와 함께 정부의 정원산업화 정책의 체계적인 추진이 핵심 요건임. 4. 정원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추진 방향 연구 ❍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정원산업화의 한계와 활성화 방안 ▸ 해외 5대 정원산업국가인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미국의 부문별 정원산업 시장 규모는 식물소재 및 원예자재 부문이 32.3%-55.1%, 기타 정원용품 및 시설·가구 부문이 44.9%-66.7%인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유통 및 서비스영역을 제외한 생산 영역 9,762억 원에서 식물소재 및 원예자재 부문이 93.2%를 차지함. 이것은 우리나라 정원산업이 현재 산업화 초기단계인 신흥시장(emerging market) 진입시점에 있으므로 정원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타 정원산업 부문별 시장 진입과 확장에 필요한 핵심요소 파악과 인프라 구축을 최우선 정책으로 추진해야 함. ❍ 정원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부처, 기관․단체 간 역할 및 협력 방안 ▸ 관련 법 개정에 의거 정원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본계획은 2015년 산림청이 마련한 정원문화 확산 및 산업화 대책의 5가지 추진전략 중 정책추진 우선순위가 높게 평가된 정원 인프라 구축과 산업화 및 공급기반과 관련되는 정부부처(국토부, 문체부, 교육부, 농식품부, 농진청, 산림청, 문화재청, 중기청), 관련 기관과 단체(원예·화훼, 조경, 식물원·수목원 관련 학회와 협회), 산업체를 파악하고, 상설회의체를 마련하여 정보 공유와 함께 고유 업무영역을 인정하면서 정책적 협력 파트너쉽을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절실함. ❍ 정원산업 진흥을 위한 장단기 정책 방향 제시 ▸ 정원산업 진흥은 정원의 기능을 우리나라 경제사회적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대중보편적인 가치화와 확산 노력에서부터 출발해야 함. ▸ 언론기사 등 정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이슈화, 붐 조성에 성공하였으나, 초기단계로 일회성, 이벤트성 행사 중심에서 일자리 창출과 같은 지속가능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핵심 정책들을 사회적 관심과 보조를 맞추면서 속도감있게 추진해야 함. ▸ 산림청이 마련한 정원문화 확산 및 산업화 대책의 5가지 추진전략에 대한 정책우선순위 분석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60001615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