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19, '20년 식품 및 축수산 안전관리를 위한 기획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목표 ◦ 식품 등 안전관리 및 축수산 안전관리 사업의 신규 연구과제 발굴 및 중장기계획 수립 □ 연구사업 내용(결과) ◦ 식품 및 축수산 안전관리 R&D 현황 및 동향 분석 - 국내·외 정책, 산업 동향 및 메가트렌드 분석 - 국내 식품산업시장은 2012년 138.95조원에서 연평균 1.71% 성장하여 2016년에 148.67조원 규모로 성장 - 최근 국내식품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시장은 '가정간편식(HMR)'으로, 2016년 2조 3,000억원이며, 최근 6년간 연평균 23%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2017년 국내 어업 생산량은 374만 3천톤으로 전년(326만 9천톤)대비 14.5%(47만 4천톤) 증가 - 해외 식품산업 현황 조사에서 미국의 2018년 식품시장 주요 키워드는 채식, 유럽은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동물복지 등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있음 - 독일은 육식을 대체하는 식품 소비가 증가하고 고혈압 등 건강 및 웰빙 식품산업이 인기를 끌고, 일본은 고령화로 인한 개호식품, 유기농 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 식품안전관리 주요 메가트렌드는 고령화저출산 지속,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식생활 패턴 변화, 4차 산업혁명과 기술․산업간 융복합 도래 등임 - 논문 및 특허 등 기술수준 분석 - 내역사업별로 주요 키워드로 특허분석한 결과, 식품위생안전관리 분야는 일본이 가장 활발하게 기술개발 추진, 특허출원 활동은 2005년 104건으로 가장 활발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015년에 특허출원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음. 우리나라 기술수명 주기는 성숙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미래식품 사전안전관리 분야는 일본이 가장 활발하게 기술개발을 추진, 특허출원 활동은 2011년 126건으로 가장 활발하였음, 우리나라 기술수명 주기는 발전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식생활 안전관리 분야는 일본이 가장 활발하게 기술개발을 추진, 2002년 52건으로 가장 활발하게 특허출원활동을 함. 우리나라 기술수명 주기는 성숙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위해평가 기반연구 분야는 미국이 가장 활발하게 기술개발을 추진, 2012년 122건으로 가장 활발하게 특허출원됨. 우리나라 기술수명 주기는 성숙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축산물 안전관리 분야는 일본이 가장 활발하게 기술개발을 추진, 2000년 183건으로 가장 활발하게 특허출원 됨. 우리나라 기술수명 주기는 성숙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수산물 안전관리 분야는 우리나라가 가장 활발하게 기술개발을 추진, 2012년에 가장 활발하게 특허출원 됨. 우리나라 기술수명 주기는 성숙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됨 ◦ 해당분야 중장기 계획에 기반한 핵심추진 전략 수립 - 국내 실정에 맞는 R&D 사업의 연구범위 설정 - 종합적인 분석결과(SWOT, GAP 분석 등)에 따른 중점 추진전략 도출 - 식품 및 축수산 안전관리 SWOT 분석을 통한 추진전략은 사각지대 식품위생 안전 리 강화 및 신기술 접목으로 인한 식품안전 핵심전략 사업강화, 국민 식생활 밀착형 안전관리를 기반으로 실시간 및 미래 식품안전 플랫폼 구축, 4차 산업혁명 시대 기술을 접목하여 선제적 식품 및 축수산 안전관리 기반확충 및 급변하는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식품 안전관리 강화 등이 도출됨 - 국내외 연구개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식품 및 축수산 안전관리의 미래 연구개발 전략 방향은 식품 위해요소 모니터링을 통한 위해요소 DB구축, 국민 밀착형 식품관련 위해요소 검출 및 수입제품 위해요소 검출 연구개발 강화, 신기술을 접목하여 체계적인 안전성 강화 등임 ◦ 산학연 전문가 자문단 구성 및 신규 과제 발굴 - 신규과제 수요조사를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 및 포럼 운영 - 전문가자문위원회를 내역사업별 6개 분과로 구성, 국내외 정책 및 R&D 동향, 메가트렌드 분석 등 사전조사를 기반으로 분과별 전문가 자문위원회의 및 포럼 운영 - 식약처 정책 및 연구부서 직원을 대상으로 대면 인터뷰를 진행하여 기술수요 및 신규과제 발굴의 추진방향 의견 수렴 - 중장기 계획 로드맵 작성 - 중점 추진전략에 따른 세부사업 기본계획 및 식품 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 기본계획(ʼ16~ʼ20) 수정(안) 마련 - '19, '20년 신규과제 도출 및 연구개발과제 제안서 (RFP) 작성 - 신규 사업방향 부합성, 국가 R&D 정책의 정합성, 지원범위 및 대상의 중복성, 사업 구성의 효율성 등을 검토하여 '19년 신규과제(식품 91개 과제, 축수산 21개 과제) 및 '20년 신규과제(식품 72개 과제, 축수산 8개 과제)도출 및 RFP 작성 □ 기대성과 ◦ 식품 및 축수산 안전관리 사업 추진 타당성 확보 및 신규과제 도출 (출처 : 요약문 7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0347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