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예방의학 기반의 개인 맞춤형 웨어러블 센서 기술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6-16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유승남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분석자서문 신체의 외부에 부착하는 비침습 방식으로 각 개인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서 질병을 조기 발견하고 더 나아가 질병 발생으로의 경로를 사전에 차단하는 기술이 차세대 의학의 한 분야로서 최근 주목 받으면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이와 관련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분석자료[1]에서 다룬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착용 가능한 센서 및 전자소자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을 폭넓게 제시 및 분석하고 있다. 본 자료에서 제시하는 연구동향은 국내의 인체 진단용 센서 및 착용형 기기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목차 1. 개요 및 기술적 배경 2. 소형 및 웨어러블 센서용 감지 기술의 분류 3. 체액 바이오마커 및 센서 3.1 체액 바이오마커 3.2 바이오마커 센싱 기술 4. In-Situ 소화 시스템 분석 기법 및 삼킬 수 있는 센서 5. 요약 및 전망 References [1] A. Tricoli, N. Nasiri, S. DE, Wearable and Miniaturized Sensor Technologies for Personalized and Preventive Medicine.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17, 27.15. [2] OECD, Life Expectancy at Birth, https://data.oecd.org/healthstat/ life-expectancy-at-birth.htm (accessed: October 2016). [3] a) J. Takacs, C. L. Pollock, J. R. Guenther, M. Bahar, C. Napier, M. A. Hunt, J. Sci. Med. Sport 2014, 17, 496; b) K. M. Diaz, D. J. Krupka, M. J. Chang, J. Peacock, Y. Ma, J. Goldsmith, J. E. Schwartz, K. W. Davidson, Int. J. Cardiol. 2015, 185, 138. [4] a) R. M. Gelfand, D. Dey, J. Kohoutek, A. Bonakdar, S. C. Hur, D. Di Carlo, H. Mohseni, Opt. Photonics News 2011, 22, 32; b) J. T. Kirk, G. E. Fridley, J. W. Chamberlain, E. D. Christensen, M. Hochberg, D. M. Ratner, Lab Chip 2011, 11, 1372. [5] a) A. D. Association, Diabetes Care 2014, 37, S81; b) A. D. Association, P. R. Health Sci. J. 2013, 20, 175. [6] a) A. Manolis, Clin. Chem. 1983, 29, 5; b) W. Miekisch, J. K. Schubert, G. F. Noeldge-Schomburg, Clin. Chim. Acta 2004, 347, 25; c) M. Righettoni, A. Amann, S. E. Pratsinis, Mater. Today 2015, 18, 163. [7] B. Schazmann, D. Morris, C. Slater, S. Beirne, C. Fay, R. Reuveny, N. Moyna, D. Diamond, Anal. Methods 2010, 2, 342. [8] a) E. Emmett, Ann. Clin. Lab. Sci. 1978, 8, 270; b) G. Liu, C. Ho, N. Slappey, Z. Zhou, S. E. Snelgrove, M. Brown, A. Grabinski, X. Guo, Y. Chen, K. Miller, J. Edwards, T. Kaya, Sens. Actuators, B 2016, 227, 35. [9] M. X. Chu, K. Miyajima, D. Takahashi, T. Arakawa, K. Sano, S.-i. Sawada, H. Kudo, Y. Iwasaki, K. Akiyoshi, M. Mochizuki, K. Mitsubayashi, Talanta 2011, 83, 960. [10] H. Yao, A. J. Shum, M. Cowan, I. LAhdesmAki, B. A. Parviz, Biosens. Bioelectron. 2011, 26, 3290; ※ 이 자료의 분석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유승남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59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