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어린이용품 함유 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관리 개선을 위한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자원경제연구소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Ⅳ. 주요 연구결과 1. 어린이용품 위해성관리를 위한 목록 검토 및 개선 가. 기존환경유해인자 목록 검토 및 개선 ○ 기존환경유해인자는 선정당시 약 4만 여종에 대한 물질을 검토하여 목록 작성 ○ 국내외 규제여부, 독성정도, 표준기준 등을 토대로 기존 환경유해인자 1차 유해물질목록(안)인 354종을 도출 후 우선순위를 매겨 최종 135종 선정 ○ 135종의 환경유해인자 목록 중 1단계 위해성평가 결과를 통해 98종은 위해성여부가 파악이 되었으나 37종은 검출이 안되거나 국내 금지물질로 분류되어 위해성평가가 이뤄지지 않음 - 기존 환경유해인자 목록은 ① 일부 물질만 규제·관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물질은 검출사례가 존재하지만 미규제 물질 ② 국내·외 금지물질이거나 국내 미규제 물질(일부물질에 한해 검출사례 확인) ③ 검출사례도 없으며 국내외 미규제 물질로 분류하고 분류군에 따라 모니터링 주기를 차등, 적용하여 관리에 대한 근거(안) 제시 - 추가되는 신규환경유해인자 목록도 구분 가능한 기점을 설정하여 위해성 평가가 시급한 물질부터 모니터링에 대한 주기관리를 제시 나. 신규환경유해인자 검토 및 우선순위물질 위해성평가 방안 검토 ○ 2017년도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신규환경유해인자로 제안된 물질목록 70종에 대해 추가적으로 자료를 검토·보완하여 총 124종을 도출 ○ 국내외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우선순위 선정기법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해 향후 신규환경유해인자 목록 도출을 위한 평가기법(안) 제시 2. 어린이용품 함유 환경유해인자 위해성평가를 위한 지침 개정 가. 추가대상 어린이용품과 함유 물질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노출 시나리오, 노출알고리즘 등 검토 ○ 추가대상 어린이용품의 제형 및 용도를 조사하여 각 제품별 노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현 지침으로 노출평가가 가능한지 여부 확인 - 신규 노출 시나리오 제시가 필요한 제품군은 물놀이 욕조, 수유용품, 수유패드, 식품용기이며 주로 제품이 물 또는 식품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대상물질이 용출되어 인체로 전이되는 노출시나리오를 적용 - 신규 노출 시나리오가 제시된 제품군 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노출 시나리오를 제시 - 추가대상 어린이용품 중 신규로 노출 시나리오 제시가 필요한 제품군에 대하여「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지침」과 국외제품에 대한 노출평가 지침의 노출 알고리즘을 검토하여 제시 - 단, 상기 제시한 노출 알고리즘은 상세 노출평가를 위한 것이며 초기 노출 평가를 위한 알고리즘은 EU REACH 등에서 실제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ECETOC(European Centre for Ecotoxicology and Toxicology of Chemicals)의 완제품 스크리닝을 위한 노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노출 알고리즘은 EU REACH 등에서 실제 적용되어 사용하고 있음 - 추가대상 어린이용품의 노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제품이 접촉한 매체를 통해 용출되는 농도 파악이 필요하여 식약처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의 기구 및 용기·포장 시험법 활용을 제안 - 단계별 노출평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노출평가를 초기와 상세로 구분하고 단계별 위해성평가 체계와 초기 노출 평가에 적용 가능한 노출 알고리즘을 추가로 제시함 - 어린이용품은 종류가 다양하고 서로 다른 제품에 동일한 물질이 사용, 한 제품 내 여러 물질이 사용되는 등 인체에 동시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한 제품 내 함유하는 단일물질에 대한 위해성평가는 과소평가 및 과대평가 될 우려가 있다. 최근 환경부와 식약처 및 범부처에서는 개인단위 통합 노출평가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어린이용품에 함유하는 동일한 물질 사용으로 인해 동시 노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수용체 중심의 매체통합 위해성평가를 제안 - 어린이가 사용하는 어린이용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어린이 마다 주로 사용하는 제품들이 모두 다를 수 있다. 이를 본 연구에서는 개인간 변이성이라 정의하였고 통합 위해성 평가에 개인간 변이성을 적용하는 방안을 어린이용품의 통합 위해관리 시스템이라 제안 - 다만 어린이용품 통합 위해성평가 수행을 위해서는 어린이 제품 이용현황에 따른 다중이용행태 조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환경유해인자의 위해성평가를 위한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지침」에서 제시하는 지침을 바탕으로 신규 노출 시나리오와 알고리즘 및 단계별 평가와 통합 위해평가를 위한 지침 개선이 필요 - 기존 지침에 제시되어있는 노출 시나리오와 알고리즘으로는 평가가 불가능한 일부 제품(물놀이 욕조, 수유용품, 수유패드, 식품용기)에 대한 새로운 노출 시나리오와 노출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초기 위해성평가와 상세 위해성 평가 단계로 나누어 단계적 노출평가가 수행될 수 있도록 작성 3. 어린이용품 위해성 관리 선진화를 위한 평가 시스템 기반자료 마련 가. 어린이용품의 구성성분, 유해물질 및 독성정보 DB보완 및 구축 ○ 2017년 환경부에서 진단한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인 진단제품의 정보와 진단한 부위, 진단한 부위에 대한 함량 및 전이량 결과와 2012년도부터 실시한 어린이용품 실태조사사업 결과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다 안정적인 DB를 확보 ○ 그 외 진단한 제품군별 국내 어린이제품특별법 상 관리기준을 추가로 업데이트 하여 진단한 제품에 대한 국내 기준과 관리대상물질이 확인될 수 있도록 추가 기입하여 보완 - 엑셀 형식으로 구축된 DB는 분류체계, 제품정보, 진단부위 색깔, 함량시험 결과, 전이량 시험결과(경구/경피), 규제현황, 비고로 구성 나. 어린이용품 통합 노출/위해성 관리시스템 기반 마련 ○ 관리시스템에는 제품 내 함유 물질의 함량을 100%로 가정한 노출량인 UEL 값이 계산되어 DB로 구축되어있음 ○ 사용자가 함유물질의 농도를 조절(입력)하면 최악의 상황을 반영한 노출량 산정(초기 노출평가)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있음 - 기존 HTML 형식의 경우 하나의 HTML파일로 작성되어 물질 검색이나 페이지 이동에 있어 구동 속도가 매우 느린 현상이 발생 - 기존 하나의 HTML로 작성되었던 시스템을 여러 개의 HTML 파일로 구성, 연동시켜 Web기반으로 제작하여 검색 및 정보 표시 속도를 향상 (출처 : 요약문 5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0383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