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말 및 기생 진드기에서 라임병 및 큐열 원인체의 분자 및 혈청학적 분석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6-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경북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확보한 시료 내역: - 말 혈액 샘플: 816두 채혈 - 말 기생 진드기 샘플: 총 213 마리, 모두 Haemaphysalis longicornis 성충으로 동정됨 ◆ 제1년차: 말 혈액에서 라임병 감염현황을 분자 및 혈청학적으로 검출 - 말 전혈에서 DNA 추출 및 혈청 수집 - Borrelia burgdorferi 특이 primers 제작, PCR 및 SNAP 4Dx ELISA 검사 - 결과: ELISA - 38 (5.2%; true prevalence: 5.5%) of 727 horses PCR - 모두 음성 - 성과: SCI 논문발행: Serological Detection of Borrelia burgdorferi among Horses in Korea (Korean J. Parasitol. 2016 54 97-101.) ◆ 제2년차: 말 혈액에서 큐열 감염현황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검출 - 말 816두 전혈에서 DNA 추출 - Coxiella burnetii 특이 primers 제작하여 PCR로 큐열 감염 확인 - 결과: 11두(1.3%)에서 C. burnetii ELISA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됨. Coxiella 속 16S RNA 유전자를 증폭한 결과, 6두(0.7%)에서 Coxiella 16S RNA 유전자 증폭되었고 계통도 분석에서 Coxiella-like bacteria (CLB)로 확인되었으며 제주 1두의 유전형은 clade B에 속하였고 나머지 5두의 유전형은 새로운 clade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기에, 국내 분포하는 C. burnetii 유전형은 다양한 것으로 파악됨. 국내 말에서 CLB 검출은 처음 보고한 것으로 향후, Coxiella 속의 지속적임 감시 및 구제가 필요해 보임. - 성과: SCIE 논문발행: Seo M-G, Lee S-H, VanBik D, Ouh I-O, Yun S-H, Choi E, et al. (2016) Detection and Genotyping of Coxiella burnetii and Coxiella-Like Bacteria in Horses in South Korea. PLoS ONE 11(5): e0156710. doi:10.1371/journal.pone.0156710 ◆ 제3년차: 말에 부착한 진드기에서 라임병 및 큐열 병원체를 분자생물학적으로 검출 - 말에 부착한 진드기 213마리 채취, 종 동정 및 DNA 추출 - B. burgdorferi 및 C. burnetii 특이 primers 제작하여 PCR로 병원체 규명 - 결과: 채취된 진드기 213마리 모두 형태적 특징에 의해 작은소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로 동정됨 213마리 중 121마리(52.4%, 95% CI: 45.9-58.8)에서 CLE가 검출됨. 양성 샘플 중 9 샘플의 CLE 16S rRNA를 시퀀싱한 결과 서로 100% 동일하였으며 clade B에 속하는 다른 유전자와 97.9-100% 상동성을 나타내었음. 이 연구로 CLE가 국내 분포하는 진드기에서 만연히 분포함을 확인하였고 이 연구로 국내 동물에 기생하는 진드기에서의 첫 CLE 검출 보고임. B. burgdorferi 검출은 확인되지 않았음. - 성과: 논문심사중: “Molecular Detection and Genotyping of Coxiella-like Endosymbionts in Ticks that Infest Horses in South Korea” PLoS ONE submitted. ◆ 기타 연구성과: SCI(E) 저널 - Lee S-H, Kim K-T, Kwon O-D, Ock Y, Kim T, Choi D, et al. (2016) Novel Detection of Coxiella spp., Theileria luwenshuni, and T. ovis Endosymbionts in Deer Keds (Lipoptena fortisetosa). PLoS ONE 11(5): e0156727. oi:10.1371/journal.pone.0156727 - J.Oh, S.H.Lee, S.J.Lee, Y.H.Kim, S.C.Park, M.H.Rhee, O.D.Kwon, T.H.Kim, D.Kwak. Detection of antibodies against Toxoplasma gondiiin cattle raised in Gyeongbuk province, Korea. Journal of Food Protection. 2016. 79(5): 821-824. - S. Lee, S.H.Lee, D.VanBik, N.H.Kim, K.T.Kim, O.D.Kwon, D.Kwak.Molecular detection and genotyping of Anaplasma phagocytophilumfrom shelter dogs in Seoul, Korea.Ticks and Tick-borne Diseases.(In press, doi:10.1016/j.ttbdis.2016.04.011) - S.H. Lee, K.T. Kim, S.H. Yun, E. Choi, G.H. Lee, Y.S. Park, K.H. Cho, S. Yi, O.D. Kwon, T.H. Kim, D. Kwak. Serological and molecular detection of Anaplasma phagocytophilum in horses reared in Korea. Veterinarni Medicina. 2015.60(10): 533-538. - S.H. Lee, B.Y. Jung, D. Kwak. Evidence of Anaplasma spp. exposure in native Korean goats (Capra hircus coreanae). Veterinarni Medicina. 2015.60(5): 248-252. - S.H.Lee, S.E.Lee, M.G.Seo, Y.K.Goo, K.H.Cho, G.J.Cho, O.D.Kwon, D.Kwak, W.J.Lee. Evidence of Toxoplasma gondiiexposure among horses in Korea. Journal of Veterinary Medical Science. 2014.76(12): 1663-1665.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1416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