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인간중심의 실감방송 안전성 및 콘텐츠 품질 평가 기준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01/01/2016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연구책임자 이상훈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Ⅰ-3 추진 내용 가. 콘텐츠 분석 및 객관화 (연세대학교) : 1) 연구목표 ○ 2D 콘텐츠 공간특성 분석 - 2D 콘텐츠의 공간 특성 추출 및 분석, 보고서 작성 ○ 2D 콘텐츠 시간특성 분석 - 2D 콘텐츠의 시간 특성 추출 및 분석, 보고서 작성 ○ 3D 콘텐츠 비대칭특성 분석 - 좌/우 콘텐츠의 비대칭 열화 성분에 따른 특성 추출 및 분석 ○ 3D 콘텐츠 깊이특성 분석 - 깊이 맵을 활용한 3D 콘텐츠의 깊이 (Depth, Disparity) 특성 추출 및 분석 2) 연구 상세 내용 ○ 2D 콘텐츠 공간특성 분석 ▷ 아래와 같이 시청환경 (Viewing Geometry), 콘텐츠, Natural Scene Statistics (NSS) 측면에서 2D 콘텐츠의 공간특성을 분석함 ① Maximum viewing frequency : 시야각 1도당 인지되는 pixel의 개수를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에 도입 ② Spatial frequency : 스펙트럼 도메인에서의 주파수 성분을 기반으로 하여, 저주파와 고주파 성분의 에너지 비율을 계산함 ③ Sharpness : CIELAB 도메인에서의 gradient 성분의 에너지 크기를 계산함 ④ Contrast : Luminance 성분의 분산 값을 계산함 ⑤ Activity : Natural scene statistics 이론을 토대로, wavelet 도메인에서의 확률분포를 generalized Gaussian distribution에 근사화함으로써 그 파라미터를 특징점으로 사용함 ⑥ Saturation : luminance와 color 성분 각각에 대해 0 혹은 255 값에 얼마나 많이 몰려있는지에 대한 산술적 계산치를 특징점으로 활용함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6000027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