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PBXN-109 화약의 충격 감도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08/01/2016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송소영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화약의 충격감도는 화약에 가해진 기계적 충격이 폭발로 이어질지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폭발계열을 비롯한 탄두의 설계와 탄약의 취약성 분석은 물론 예기치 않은 우발적 충격에 의한 탄약의 폭발사고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시험자료이다 . PBX 와 같은 불균질 화약의 충격기폭은 화학반응이 처음 시작되는 국소적인 열점 (hot spot) 들의 집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 ○ 화약의 충격기폭에서 열점들은 충격파와 화약 미세구조의 불균일성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 따라서 화약의 구성성분은 물론 그레인 크기 , 그레인 형상 , 유공성 (porocity), 결합제 등 많은 요소들이 화약의 충격기폭 특성 즉 충격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 충격감도를 정량화하여 측정하는 시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표적인 것이 갭 테스트 (gap test) 이다 . 갭 테스트는 도너 화약이 폭발하여 생긴 충격파가 억셉터 화약을 50% 확률로 기폭시키는 갭의 두께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적지 않은 자원이 소요된다 . 따라서 최근에는 갭 테스트를 모사할 수 있는 컴퓨터 모델링 기법 개발에 많은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 ○ 이 보고서의 내용은 호주 국방부 산하 DST 그룹의 J. Lu 등이 새로운 결합제와 RDX 를 사용한 PBXN-109 화약의 충격 감도 실험을 실시하고 컴퓨터 모델링 기법을 개발한 논문을 요약한 것이다 . 컴퓨터 모델링은 PBXN-109 화약에 대한 결합제와 RDX 의 영향을 모사할 수 있는 점화 및 성장 (I G) 모델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 ○ 우리나라도 둔감화약 개발이나 개발화약의 감도 평가와 관련하여 LSGT, 동조 반응 시험 (sympathetic reaction test) 등을 포함한 화약의 충격감도 평가기술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 또한 기술적으로도 높은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평가시험의 컴퓨터 모델링 기법 개발 , 국내 생산 화약 원료의 감도 평가 등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AR20160828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