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태양광-풍력 혼합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08/01/2016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신효순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전기의 수요는 매일 증가하고 있어 비신재생 에너지만으로는 충족될 수 없다. 태양광과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원은 어디에나 있고 환경 친화적이다. 신재생 에너지원은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신흥 선택이지만 이들 발생의 확률론적 본성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 ○ 혼합 신재생 에너지시스템(HRES: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은 풍력 터빈과 태양광 전지 시스템 같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신재생 에너지원을 결합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HRES의 다양한 측면의 종합적 검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사전 타당성 분석, 최적 크기, 모델링, 제어 측면 및 신뢰도 문제를 논의한다. 혼합 신재생에너지의 혁신적 기술과 게임 이론도 제시되었다. ○ 태양광 전지, 풍력 발전기 및 부하와 슈퍼커패시터, 배터리 및 변환기를 포함한 완전한 모듈형 혼합 저장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이 모사되었다. 가변 기후 조건의 결과로 다른 과도현상이 분석되고 혼합 저장 시스템이 만족스럽게 운영되었다. ○ 서울 대학교 안성훈 등은 독립망을 사용하는 신재생 에너지가 산악지역에서 중요한 전력 시스템이 될 수 있는 것을 보여 주었다. 두 가지 이상의 혼합 발전장치로 독립망을 구성할 때 물펌프, 소형 제조 장치 등 독립망 발전 시스템을 장기간 유지보수하기 위한 비용을 마련하려면 전기를 사용한 직접적 소득 증대 모델을 가져야 한다. ○ 전남대학교 안재영 등은 혼합 풍력발전기와 디젤발전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중앙 제어기의 전반적인 운영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부하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부하패턴을 분석함으로서 소요전력량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영구 자석 동기발전기를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였다. ○ 혼합 신재생 에너지시스템의 중요한 특징은 그들의 운영 특성을 적절히 사용하여 단일 전력원에서 얻을 수 있는 것 보다 더 높은 효율을 얻는다. 우리나라도 태양광 전지와 풍력의 혼합 신재생 에너지시스템을 적극 개발해야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AR201608285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