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퇴행성 뇌질환 치유 및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광 치료 맞춤형 웰니스케어 기술 개발 사전기획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7-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제1장 추진배경 및 현황 분석 1. 추진배경 및 사업필요성 ㅇ 세계적 인구 고령화에 따른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률 증가와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 증대 ㅇ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및 예방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지만,여전히 답보 상태 ㅇ 광유전학을 비롯한 퇴행성 뇌질환 치유 및 기전 규명을 위한 광 치료법이 대두되었고, 치매 조기 진단 및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을 통한 경제사회적 비용 절감 가능 ㅇ 최근 ICT 기술의 진보로 디바이스의 경박단소화가 가능해져 일상 생활 속 웨어러블 맞춤형 웰니스케어 기술과 의료기기 개발을 통한 치매 치유 및 예방을 동시에 실현 가능 ㅇ 이러한 학제적인 융·복합 연구는 각 부처 간 긴밀한 협력이 요구되며, 범부처적인 국가연구개발 사업으로 추진 필요 2. 현황 분석 ㅇ 현재의 치매 진단 기술은 대학병원 및 전문병원 급에서 고가의 정밀검사를 통해 진행되어 낮은 심리적, 지리적, 경제적 접근성을 보임 - 현재 치매환자의 검진률 45%에 불과 (4대암 유병자 90% 이상) ㅇ 치매 환자의 비침습 치매 진단법은 다양한 분야에서 제안이 되었으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정보를 종합하여 진단하는 연구는 진행된 바 없음 ㅇ 치매 치료제 개발 실패율은 약 99.6%이며, 많은 기대를 모은 아밀로이드 베타 표적 치료제인 솔라네주맙은 최근 임상 3상 시험에서 최종 실패를 발표하는 등 답보 상태 - 치매 치료제 개발 성공률이 1%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치매의 발병 기전을 아직 명확히 밝혀내지 못했기 때문 ㅇ 광 치료적 접근법과 딥러닝 분석을 통해 치매의 기전 규명 - 효과적인 치매 치료 방법을 유도하여 개발 비용 및 시간 단축 ㅇ 또한, 광 자극을 통한 치매 치료 효과 검증을 통해 비침습 치매 치료 가능성을 확인 3. 시장 전망 ㅇ 국내 치매환자 수는 2050년 약 237만 명까지 증가, 이에 따른 사회 경제적 비용은 약 134조원으로 전망 ㅇ 2015년 기준 전 세계 치매 환자 수는 4천 6백만 명에서 2050년 1억 3천만 명까지 증가 예상, 치료 및 보호 등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은 2030년 2조 달러 (약 2,2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 ㅇ 치매 조기 진단 및 효과적인 치료제를 통한 치매 발병 지연만으로도 2050년 42%의 치매 인구 감소 전망, 이로 인한 367억 달러(전체의 33%)의 치료 및 보호비용 절감 가능 ㅇ 전 세계 치매 치료제 시장은 2014년 기준 129억 달러에서 2020년 212억 달러 이상 성장 예상 ㅇ 끊임없는 치매 치료제 수요가 있지만, 현재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상황으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음 제2장 다부처 추진 필요성 1. 기존사업과의 차별성 ㅇ 치매 관련 기존 진행사업 조사결과, 퇴행성 뇌질환의 조기진단 및 치료에서부터 기전 규명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과제는 전무한 것으로 판단 ㅇ 또한, 광을 이용한 기존 치매 사업은 주로 형광 마커 개발이나 MRI, PET 등 영상기법을 통한 조기 치매진단 기술에 한정적 ㅇ 웨어러블 플랫폼 형태로써 일상생활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지속적 진단·치료 피드백 퇴행성 뇌질환 극복 모델”은 전례에 없던 연구로 신규성이 있음 ㅇ 퇴행성 뇌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및 치료기전 규명뿐만 아니라 궁극적인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 기획상, 기존 광유전학적 뇌과학 연구사례 대비 차별성 및 연구 실효성을 가질 수 있음 2. 다부처 추진 필요성 ㅇ 고령화 사회에 따른 사회적인 비용 증가 및 사회 전반에 걸친 2차적인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다부처간의 협력관계를 구축할 책임 ㅇ 제시하고자 하는 퇴행성 뇌질환 극복 모델이 갖고 있는 기술 개발 범위가 광범위하여 단독부처 진행으로는 기술 개발 달성 불가 ㅇ 플랫폼 의료기기화 및 전임상/임상 단계 진입 시 발생가능한 법·제도적 장벽에 대해 유기적인 대처 가능 ㅇ 다부처 연계를 통한 딥러닝 기반 광 치료 메커니즘 연구 질적 수준 향상 3. 다부처 추진 시너지 효과 ㅇ 단독부처 진행시 발생할 연구 개발 내용 간에 중복투자 가능성을 제거하고, 일관된 기술체계를 구축하여 연구 효율성 제고 ㅇ 과학기술정보통신부·보건복지부·산업통상자원부 및 식품의약품안전처 간의 공동참여를 통해 단독부처 주관 대비 고비용의 개발예산 확보 및 규모의 경제 실현 가능 ㅇ 퇴행성 뇌질환 발병률 증가는 국내 상황에만 한정적이지 않은 전세계적인 추세로, 플랫폼 개발 시 관련 산업 시장 창출을 통한 경제적 가치 및 국가 경쟁력 확보가능 제3장 사회문제 해결방향 1. 퇴행성 뇌·신경 질환(치매)의 사회적 문제 ㅇ 인구고령화에 따른 치매 환자 급증, 사회경제적 비용 부담 증가 - 치매 인구 수 '15년 64.8만 명(유병률, 9.6%)으로 추산되고, '30년 127.2만 명(10.0%), '50년 271만 명(15.1%)으로 증가 예상 - 치매로 인한 진료비는 '04년 415억 원에서 '09년 4528억 원, '14년 1조 6,142억원으로, 연평균 30% 이상 증가하는 추세 ㅇ 우리나라의 치매 관리 사업: 보건복지부 산하의 중앙치매센터를 중심으로, 광역치매센터, 치매상담센터로 연계되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관리 및 감독하에서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이 서비스를 제공 2. 문제점(한계점) 및 이슈 분석 ㅇ 효율적인 퇴행성 뇌질환 사업 관리 지표의 부재 ㅇ 미래 급증할 치매환자, 사회경제적 비용 문제 대비 전략 부족 - 현재 환자에 대한 요양치료 등 사후대책에 치중 ㅇ 현재 치매예방 및 조기검진 기술방식의 한계, 효과적 치료제 부재 3. 문제해결을 위한 기본 방향 ㅇ 퇴행성 뇌·신경 질환(치매) 메커니즘, 진단, 치료에 대한 다각도 및 새로운 연구를 통한 웨어러블 맞춤형 기기 개발 및 보급을 통해, 관련 질환의 유병률, 환자 수, 사회적 비용 감소 및 효율적 대응 - 퇴행성 뇌질환의 비침습적 조기 진단 기술 개발 - 퇴행성 뇌질환의 비침습적 광 치료 기술 개발 - 맞춤형 웰니스케어 기술 기반, 개개인의 실생활 건강관리 플랫폼 구축 - 치매 지원 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국민 치매 복지 환경 개선 제4장 사업내용 1. 사업목표 : 인구 고령화에 따라 급증하는 퇴행성 뇌질환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치유 기능의 광 치료 웨어러블 맞춤형 웰니스케어 기술 개발을 통해, 퇴행성 뇌·신경 질환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 2. 사업범위 ㅇ 중점 퇴행성 뇌질환 질병 : 알츠하이머성 치매 ㅇ 사업의 핵심기술 개발 내용 : 웨어러블 광 치료·진단 의료기기 기술의 개발, 광 치료에 의한 퇴행성 뇌질환 메커니즘 규명 및 전임상/임상 연구, 웨어러블 치매 치료·진단 기기 상용화 개발 3. 세부사업내용 □ 주요사업 구성(안) ㅇ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요사업 : 퇴행성 뇌질환과 광 자극 관계 메커니즘 규명 연구 - 사업주요내용 : 광 치료에 따른 퇴행성 뇌질환 메커니즘 규명,광 자극에 의한 뇌회로 및 염증반응 변화 기전 분석, 광 자극에 의한 뇌신경 기능 표시자 모니터링을 통한 메커니즘 연구, 광 자극에 의한 치매 유발인자 연구, 딥러닝 분석 기반 광 치료메커니즘 연구 ㅇ 보건복지부 - 주요사업 : 퇴행성 뇌질환 웨어러블 광 치료·진단기기의 전임상/임상 연구 - 사업주요내용 : 광 치료 기술의 전임상/임상 시험, 뇌영상 및 신경 심리 평가를 통한 광 치료 개선 검증 및 비교연구, 진단 기준 및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한 종단연구, 광 치료에 따른 부작용 전임상/임상 연구,웨어러블 광 치료 의료기기 인체 안전성 검증,웨어러블 광 치료 기기의 실증화 평가 ㅇ 산업통상자원부 - 주요사업 : 퇴행성 뇌질환 웨어러블 광 치료 및 웨어러블 진단 의료 기기 개발 및 상용화 - 사업주요내용 : 웨어러블 소자기반 퇴행성 뇌질환 광 치료 및 진단 기반기술 개발, 웨어러블 광 치료 플렉시블 광원 개발, 웨어러블 광 치료용 배터리, 구동회로, 센서, 전원 등의 기술개발 및 집적화 플랫폼 연구개발, 퇴행성 뇌질환 진단 기기의 웨어러블화 연구, 광 치료 및 진단 모듈 결합 및 상용화 개발 연구 제5장 사업 추진전략 1. 사업 추진체계 및 역할분담 ㅇ 사업 추진 협의회를 구성·운영하여 각 참여 부처의 수요가 적극 반영된 퇴행성 뇌질환 치유 및 예방 광 치료 웨어러블 맞춤형 웰니스케어 기술 개발사업 추진 ㅇ 앞서 명시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의 각각의 주요사업 내용을 담당하되, 동시에 단계별로 유기적 사업을 추진하고 최종 융합된 사업 결과 도출 - 각 부처간 체계공학적 개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2330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