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알츠하이머 진단을 위한 근적외 형광 영상프로브 개발 및 상용화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바이오액츠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핵심기술 AD 발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Aβ를 검출할 수 있는 근적외 형광 화합물 및 이를 활용한 마우스의 Aβ 실시간 검출 영상화 기술 □ 최종목표 AD 연구를 위한 소동물용 근적외 형광 프로브 개발 및 상용화 □ 개발내용 및 결과 ● AD 발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Aβ를 검출할 수 있는 근적외 형광화합물의 합성 기술 및 이를 활용한 마우스의 Aβ 실시간 검출 영상화기술을 기술이전 받음. ● 4종 신규 합성 화합물을 1 H-NMR, NRMS 분석을 통해 기술이전 화합물과 동일한 구조임을 확인함. ● 4종 신규 합성 화합물을 HPLC, UV-Vis spectrophotometer 및 PL spectrometer, in vivo 및 ex vivo imaging 분석을 통해 경쟁 제품 및 기술이전 화합물 대비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함. ● Aβ 검출을 위한 근적외 형광 화합물의 합성 및 공업적 제법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Aβ 소동물 영상을 위한 근적외 형광 영상프로브를 상용화함. ● 기술이전 화합물이 BBB를 통과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당사의 형광 표지 시약 합성 기술과 뇌 영상 (brain imaging) 화합물을 융합하여 약물, 단백질, 핵산 등에 쉽게 표지하여 뇌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 뇌 영상 형광 시약을 파생기술로 개발 중임. □ 기술개발 배경 ● 알츠하이머의 진단 바이오마커로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가 가장 많이 선택되며, 치료제 개발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동물모델은 Aβ 플라크생성 유전자조작 마우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단 방법의 개발은 AD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음. ●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근적외 형광 영상용 광학 장비를 개발, 판매중에 있으며, 최근 저렴하고 소형화된 보급형 장비들의 출시가 늘어남에 따라 의약, 약학, 생화학 분야 연구기관, 대학 및 기업들로의 장비보급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다양한 질병 탐지 기능을 갖는 근적외 형광 프로브 시약의 수요도 크게 증대되고 있음. ● 2017~2025년 기간 동안 전 세계 AD 약물 시장이 7.5%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며, 2017년 기준 36억 달러 규모에서 2025년에 64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을 정도로 AD 진단, 치료 및 유관 산업의 성장은 필연적일 것으로 예측됨. ● 형광을 이용한 연구소모성 시약, 동물 실험용 조영제 및 임상 분야전반에 걸쳐 시장이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소동물 광학 영상 시약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음. □ 핵심개발 기술의 의의 ● 동물용 영상 제품들에 치매 연구를 위한 근적외 체외 형광 프로브 제품이 추가됨으로써 조영제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재고함. ● 국내 기술을 이용한 알츠하이머 영상화 근적외 형광 프로브의 상용화는 새로운 시장 창출 단계에 있는 뇌 영상 염료의 국산화 및 해외시장을 선점의 발판을 마련. □ 적용 분야 ● Aβ 플라크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단 방법의 개발은 AD 치료제 개발에 적용이 가능함. ● 약물 및 생체분자 등에 뇌의 BBB를 통과하는 형광 프로브를 표지하여 뇌 과학 및 다양한 질병 연구 등에 적용이 가능함. (출처: 초록 - 3. 개발결과 요약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1673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