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4D 프린팅을 이용한 자가치유 유연 전도체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기계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4D 프린팅은 재료 내 자극감응형 특성을 프로그래밍 함으로써 발현되는 독특한 기능성의 3차원 구조체 제작을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분야에 큰 파급효과가 예상되는 기술로서 주목받고 있음. 본 과제는 자극 감응형 유기소재의 원천기술 및 4D 프린팅 공정기술 연구를 통해 'self-healing flexible ionic conductor' 구현을 그 목표로 하고 있음. 이를 통해, 자극감응형 '형상변화' 3차원 구조체에 국한되는 기존의 4D 프린팅 기술을 넘어 다양한 자극감응형 기능성 유기 소재를 4D 프린팅에 적용하여 선제적 4D 프린팅 소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소자적용 시 높은 유연성 및 물리적 데미지에도 자가치유를 통해 기능성의 회복을 나타내는 소재원천기술과 4D 프린팅을 통한 구조적 자유도를 확보, 촉각 센싱과 자가치유가 가능한 인공피부 및 근육을 비롯한 센서,바이오, 로보틱스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소재 및 공정 핵심기술의 확보를 수행하고자 함. 당해연도의 연구 결과는 하기와 같음. ○ 4D 프린팅 적용을 위한 ion conductive self-healing hydrogel system 설계 - 4D 프린팅을 통해 제작된 3차원 구조체의 소자 응용시, 전기적 방식의 signal 구현을 위한 self-healing hydrogel의 우수한 이온전도도 확보 (~5.5 × 10 -3 S/cm) - 4D 프린팅을 통해 제작된 3차원 구조체의 소자 적용시, mechanical damage의 자가치유를 통한 물리적 특성 및 기능성의 회복 (이온전도도, ~97%)을 기반으로 한 높은 내구도의 소자 구현을 위한 self-healing network 형성 - Ion conductive self-healing hydrogel의 화학구조 설계를 통한 점탄성 유변특성의 조절 및 이를 통한 4D 프린팅向 소재 공정성 확보 (출처 : 초록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0168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