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Kinetic Art 효과를 이용한 동적 실물 영상 투사 카멜레온(다변)형 서페이스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키네틱 블록 및 서페이스 스킨을 이용한 곡면 다변형 서페이스 요소기술을 개발하여 동적영상투사-곡면 다변형 서페이스 통합 플랫폼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시범 콘텐츠를 제작함 - 대면적 스크린용 서페이스 스킨 기술 개발 - 다축 텔레스코픽 액츄에이터 모듈 및 고속 탄성 제어 기술 개발 - 스킨 모션 가상 물리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하드웨어 플랫폼 및 통합 운영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 동적 곡면 다변형 지오메트리의 프로젝션 영상 매핑 알고리즘 개발 - 곡면 다변형 서페이스용 영상 콘텐츠 기술 개발 □ 연구 개발 성과 ○ 대면적 스크린용 서페이스 스킨 기술 개발 - 4mx2m, 최대신장률 200%, 탄성회피률 90% 이상의 대면적 유연 스크린 제작기술 확보 - 신장 및 탄성을 고려하여 원단에 PU film을 lamination하여 복합직물 제작 - 500,000 회 반복 굴곡 후 시편 crack 없는 내구성이 확보된 스킨 소재 확보 ○ 다축 텔레스코픽 액츄에이터 모듈 및 고속 탄성 제어 기술 개발 - 408개의 1m 변위, 1.0m/sec속도의 텔레스코픽 액츄에이터 모듈 3종 개발 - 실시간 통신 구동 3D 섬유 소재 비선형 모델 기반의 비선형 탄성 제어 알고리즘 적용 ○ 스킨 모션 가상 물리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시뮬레이션 성능 20fps 이상, 액츄에이터 500개의 시뮬레이션, 저작도구 연동을 위한 액츄에이터 높이 정보 파일 입력이 가능한 스킨 모션 가상 물리 시뮬레이터 완성 ○ 하드웨어 플랫폼 및 통합 운영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 하드웨어 플랫폼 시제품 3종 개발 (지름4m원형,4mx2m곡면형,3.8mx1.7m평면형+Foldable TurnTable) - 3dsMax 연동 Plug-In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 3종의 하드웨어 플랫폼 적용 통합 운영 및 관리 소프트웨어 개발 ○ 동적 곡면 다변형 지오메트리의 프로젝션 영상 매핑 알고리즘 개발 - 76fps의 곡면변형 서페이스의 변화에 따른 동적영상 딜레이 최대오차 달성 - 4.87mm의 3차원 동적 곡면 다변형 지오메트리의 프로젝션 영상 맵핑 오차범위 달성 ○ 곡면 다변형 서페이스용 영상 콘텐츠 기술 개발 - 다변형 서페이스용 콘텐츠 2종 제작 - 영상 콘텐츠 투사용 3D 데이터기반 맵핑 영상물 2종 제작 - 전시관 시범공연 실연 □ 연구 개발 성과의 활용 계획(기대 효과) 활용계획 - 국내의 실내외 광고판, 영화관, 전시관, 테마파크 및 K-POP 공연에 시스템을 판매 및 설치하고 콘텐츠를 제공함. - 국외 테마파크의 영상 콘텐츠 디스플레이 체험관에 입점함. - 물리적 변형-영상 융합 콘텐츠 제작 및 유통 분야에 적용함. 산업적 기대효과 - 제안하고 있는 플랫폼은 저렴한 비용에 입체 영상을 체험할 수 있게 하는 실용성 높은 콘텐츠로 수입대체 효과 및 수출증가 효과가 기대됨. - 콘텐츠의 영향력을 통해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가 기대됨. - 실물 영상 매핑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등과 관련된 국제 표준화를 선도할 가능성이 높음. 기술적 기대효과 - 기존 공연/문화예술 및 광고 분야에서 제공하지 못했던 완전히 새로운 관극체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임. - 탄성 스킨 기술, 고속 슬립 대변위 액츄에이터 모듈 기술, 다변형 곡면 동적 영상 매핑 기술 등 다양한 기술적 break-through를 통해 관련 분야를 선도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0239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