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미래 주권 확보를 위한 극한지 개발 및 탐사용 협동 이동체 시스템 기술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다부처 추진 필요성 가. 극한지 연구에 대한 부처별 역할 상이 □ 기존 연구개발 사업의 역할 구분 및 협력 애로 ㅇ 극지 기초 과학 연구(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극지 인프라(해양수산부), 극한지 건설 및 플랜트(국토교통부) 등 극한지 연구 소관부처의 사업 추진 목적과 역할이 상이하여 기존 연구개발 사업으로 협력 연구가 어려움 ㅇ 본 사업이 대상으로 하는 극한지 사물인터넷기반 협동 이동체 및 장비는 수요 영역(극지 및 북극권 미개척 극한지) 및 공급 기술개발 영역(이동통신, 플랫폼 등)에 대한 소관 부처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어 단일 부처 사업으로 사업 목표 달성이 불가능함 나. 극지 연구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 필요 □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극지 연구 다원화에 대한 필요성 지속 제기 - 기존의 극지 연구는 지질 및 생물환경 분석, 남극기지 및 쇄빙선과 같은 인프라 구축에 투자되어 왔으나 이들을 활용한 후속 연구 발굴에 애로 다. 각 부처 소관 핵심기술 개발 협력을 통한 기술자립화 필요 □ 해외 선진국으로부터의 기술종속 탈피 필요 ㅇ 극한지 관련 기술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 중 - 우리의 독자 보유 기술이 없을 경우 극한지에서의 과학적 연구 및 탐사, 자원 개발에 있어 후발 주자를 벗어나기 어려움 - 자체 기술 보유 시 타국과의 협상 가능(수중 건설 로봇 사례 등) 라. IoT 및 로봇 기술의 극한환경 적용을 통한 기술적 위상 제고 □ IoT와 로봇 기술을 가장 도전적인 환경 중 하나로 평가 받는 남극환경에 적용할 경우 우리나라의 기술 강대국으로의 위상 선점 가능 ※ IoT 무선통신 기술을 남극환경에 적용하여 남극연구 대원의 GPS 정보확보를 한 사례가 관련 기술계의 주목을 받고 있음 ㅇ IoT(과기부) 및 로봇(산업부), 극지 연구(해수부)에 대한 소관 부처의 역할이 각각 정해져 있어 IoT와 로봇 기술의 극한환경 적용을 위한 본 사업은 다부처 사업으로만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ㅇ 향후 지구의 기온, 지질 등 환경 분석을 위한 장보고 기지 주변 외 관측 사이트 구축이 필요하지만 현재는 환경적 요인으로 접근이 매우 제한적임 - 연구 가치는 높으나 접근이 어려운 위험지역(Korean route 주변 탐사 등) ㅇ 극한지 영역 파이프라인 시공을 위한 지형도 제작, 지반조사 애로 - 극지 환경적 영향(구름, 눈, 극야, 강풍 등)과 제한된 운영시간으로 드론 사용 제한 - 현재 중대형 시추장비를 이용한 지반조사가 가능하나 시추 중 대량의 물을 이용하며 격오지의 경우 중장비 이동이 제한되며 극한의 온도(-40℃이하)로 물 사용 제한됨 ㅇ 극한지 통신 장비의 사용 제한 - 극한 환경에서 모바일 플랫폼 활용을 위한 무선통신 기술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 도심과 다른 특성(넓은 유휴 주파수 대역, 적은 간섭,기지국 당 적은 연결 단말기, 전파의 직시 확보의 용이성)을 활용하고 도전적 특성(전력수급, 전열, 유선망 부재, 인프라 부족, 무선통신 채널 불확실성)을 극복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함 - 기지국 설치를 자유롭게 최적화 할 수 없는 극한 환경에서는 셀커버리지를 최대한 광역화하는 무선통신 기술이 필요하며, 전력수급이 어려운 환경을 고려한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중계 전송기술 개발이 필요함 2. 다부처 추진 시너지 효과 □ 본 사업은 다부처 사업의 취지를 분명하게 살려 참여 부처(기관)의 명확한 역할 분담과 기술공급-Test-End User까지의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야만 최종 성과물이 창출될 수 있도록 설계 ㅇ 극한지 사물인터넷 통신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기술 공급) ㅇ 극한지 관측 및 정보처리 : 극지연구소(Test bed, End user) ㅇ 극한지 이동형 플랫폼 : 해양과학기술원, 로봇융합연구원(기술 공급) ㅇ 건설/시추용 플랫폼 탑재체 : 건설기술연구원(End user) □ 기술개발 결과의 활용 ㅇ 현재 극한 환경 Site의 Data 획득은 기후 등 제한 사항으로 인해 1년에 1번(1년 중 기상이 좋은 날) 빈도로 실시. 로봇을 활용할 경우 빈번한 Data 획득 가능 : 선도적 연구 역량 확보에 결정적 기여 가능 ㅇ 지형정보는 드론을 활용할 경우 넓은 범위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으나 심층 Data 확보가 어려우며 인공위성을 활용할 경우 매우 비싼 비용(100억 이상), 로봇을 활용할 경우 매니퓰래이터 등을 이용하여 작업응용/확장 용이 ㅇ 요구 환경/시장에 따라 기본 사양에서 툴체인지(탑재 장비 등)를 통해 적용 환경의 다변화 가능 ㅇ 개발 제품 활용 가능 시장 - 러시아 지형 정보 시장 - 대기 관측 및 데이터 분석 서비스 시장 - 지뢰제거/경비/보안 로봇, 환경 감시 로봇 - 사막 등 오지와 아프리카 같은 낙후 지역 등 4. 사업범위 □ 수요측 요구 조건(or 기능) - 지형/지반 정보 획득 및 Map 형성 : Real time일 필요는 없음, 현재의 지형정보는 5m 수준에서 조사 중 - 각 Site에 설치된 센서/디바이스 배터리 충전(현재 1개 거점에서 50개 정도의 모니터링 장비 운용 중) - 눈 제거 시스템(지형정보 획득 시 가장 애로 사항, 모듈화, 착탈식 등 방식 고려) - 크레바스 탐지(맵 구현은 필요 없음, 크레바스 회피를 위한 기술, 현재는 설상차에 GPR을 설치하여 운용 중. 작업 시 부상/사망 위험 항시 존재) - 시추(탑재장비는 건설연에서 개발 예정, 요구 조건 부록 B 참고) □ 기술개발 방향 ㅇ 협동 이동체 - Autonomous/ Remote 병행 : 기본 이동/제어에 Autonomous 적용,세부 구체적 임무 제어는 Remote control 방식 적용 - Exploration + Navigation 기능 탑재 ㅇ IoET - 장거리 통신 거리 확보(장거리 wifi 등), 데이터 속도(고속), 저전력,신뢰성 확보 목표 - Dual channel 통신 : 필수 제어/통신을 위한 저주파수 대역 통신과 고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고주파수 대역 Dual 활용(마린 대역폭은 제외) - 통신에서는 전력/배터리 문제는 크게 부각되진 않음 ㅇ 협동 이동체/통신 공동 운용 방향 - 대량 데이터 확보는 로봇이, 소량데이터는 통신을 통한 방식 □ 기술개발 컨셉 ㅇ (극한 온도, 격오지에서 운용 가능한) 통신 및 제어 Base + 이동체 플랫폼 □ 기술 개발 활용 개념도 - 관측/모니터링 Site의 센서와 Base까지의 장거리(50km+20km) 통신망 구축(현재는 사람이 Site까지 직접 이동해서 센서 데이터를 회수하는 방식.극한 환경일수록 데이터 취득 과정에서 상시 부상/사망의 위험 존재) - 사람이 직접 이동하는 대신 무인 협동 이동체가 각 모니터링 센서에서 필요한 작업(카메라를 활용한 Site 현장 탐사, 저온환경에 노출된 센서히팅 및 배터리 교환, 관측장비 위치 파악 및 회수, 눈 제거, 시추 작업 등) 수행 - 무인 협동 이동체는 장비의 탈부착을 통한 툴체인지 가능(탑재 예정장비는 수요 기능에 의해 결정. 현재 시추장비 및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매니퓰레이터 고려 중) 5. 부처 간 역할분담 및 추진체계(안) □ 극한지 협동 이동체 시스템을 활용한 참여 부처의 사업 추진 목표 도출 ㅇ (해양수산부) 극지 상시 관측 및 정보처리 기반 확보로 극지과학 활성화 ㅇ (국토교통부)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한 북방경제영토 확대 지원 ㅇ (산업통상자원부) 극한지 모바일 플랫폼 신뢰성 확보로 플랫폼기술 산업 고도화 ㅇ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극한지 사물 인터넷(IoET) 기술 확보로 통신시장 신성장 동력 발굴 6. 부처간 연계방안 □ 정책을 고려한 기술 수요 및 공급 부처의 사업범위와 역할 도출 ㅇ 기술 수요 부처: 해양수산부(극지 활성화), 국토교통부(극한지 지형정보 구축) ㅇ 기술 공급 부처: 산업통상자원부(극한지 이동 로봇), 과학기술정보통신부(IoET 시스템) □ 수요 측면의 요구조건/ 시나리오 도출 및 그에 따른 기술개발요소 Define ㅇ 수요측면에서 느끼는 제약환경 및 요구기능 등 분석(페이로드, 온도,주행거리 등), 이후 그에 따른 기본 설계 도출 ㅇ 기술 개발 후 극한 환경에서의 이동/ 데이터 수집/ 통신 방법에 대한 시나리오(ex. 지속적 모니터링: 인간 간섭 초소화, IoT의 목적과 유사) 도출 ㅇ 배터리, 전력 시스템 개발에 대한 고려(참여업체, 개발 범위 등) □ 공급 측면의 파급효과 도출 ㅇ 극한지를 극복하는 방법 활용분야 도출 : 통신 인프라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0299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