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해외/북극권 광물자원 탐사 및 부존잠재성 평가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6-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개발결과 요약 최종(연차)목표 ◦ 협력국(덴마크, 몽골, 미얀마, 페루)과 광물자원탐사 및 부존잠재성 평가 개발내용 및 결과 1. 미얀마 DGSE 공동탐사 2013년-2014년 정밀지표지질조사(축척 1:1,000), 토양지구화학탐사, 자력탐사 및 트렌치 탐사가 수행되었고, 2015년에는 6개공 600m 시추탐사를 수행하였으며, 2016년에는 광량확보차원에서 1차 조사에서는 12개공 600 m를 시추설계하였고, 2차 조사에서는 시추로깅을 위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보피붐 크롬광화대 12개공 600 m 시험시추결과, 크롬철석은 더나이트, 사문암화된 더나이트 및 풍화받은 더나이트와 같은 모암에서 고치상,괴상, 산점상 및 개별입자의 형태로 산출함을 알 수 있었다. 시추코어 내에 발달하는 지질구조들은 단층, 파쇄대(brecciated zone), 단열, 세맥 등이 발달한다. 단층의 경우 전형적인 드러스트 단층의 형태로 발달하고 있으며, 파쇄대의 경우 조사지역에 발달하는 전단대들의 분포위치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단열 및 이를 채운 세맥들은 다양한 경사와 두께를 가지며 발달한다. 위와 같은 단층, 파쇄대, 단열, 세맥 등의 발달은 지역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전단대의 영향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시추공 7번부터 18번의 대부분의 모암들은 사문암화작용과 각력화작용을 받은 증거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시추공들이 전단대로부터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층상 크롬철석과는 달리, 보피붐지역에서 산출되는 고치상 크롬철석의 산출양상은 렌즈상 또는 불규칙상으로 사료되며, 제한된 시추물량으로 크롬광체를 착맥하는 것은 쉽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추코어 분석결과, Cr과 Ni의 평균품위는 11.8%와 0.34%이다. 자원량은 확정자원량으로 약 9,790톤이며 추정자원량으로 약 12,080 톤으로 평가된다. 2. 몽골 MRAM 공동탐사 2016년 몽골광물자원청과 남부 옴노고비주 촉트체치 동광화대에 대한 정밀지표지질조사와 동광화대 광상조사를 실시하였다. 촉트체치 지역에 대해 1:1,000 지형도를 이용하여 조사지역에 대한 정밀지표지질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1:2,000 지질도를 작성하였다.조사지역의 암상은 하부로부터 안산암질암, 섬록암, 흑운모화강암, 산성암맥 및 석영세맥이 발달하며, 상기 지층들을 염기성암맥이 관입하며 발달한다. 그리고 연구지역내에는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주향이동단층과 이에 부수적으로 발달하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정단층들이 발달한다. 특히 정단층과 연관되어 단층의 상반에서 주변지역보다 높은 Cu 함량과 동산화물이 분포한다. 촉트체치 지역의 동 광상은 남고 비에 위치하며 석탄기 후기에서 페름기 초기에 관입한 흑운모 화강암중 일부가 반암이 관입하면서 알카리 화강암화 된 부분과 관련된 반암형 동광상으로 추정된다. 말라카이트가 집중적으로 산출되는 지역은 녹니석, 녹렴석으로 변질된 프로필리틱 변질대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격자지구화학탐사와 연장부 조사 결과 말라카이트가 산출되는 곳은 30개 지점으로 XRF로 측정한 동함량은 1.08~18.3%로 나타났으며, 화학분석 결과 동함량은 13개 지점에서 각각 1.08%~32.9%로 높게 나타났다. X-선 회절 분석 및 현미경 관찰결과 동광물은 말라카이트가 주이며, 남동석, permingeatite (Cu 3 SbSe 4 ), 황철석과 황동석 등이 가끔 산출되며, 그 외에 은 광물인 농홍은석이 산출된다. 또한 열수변질광물인 딕카이트가 산출되며, 변질산물인 방해석, 녹니석, 녹염석등도 산출된다. 광화작용은 반암관입 후에 남은 잔류마그마에서 열수용액이 올라오면서 반암 주변 일부 화강암과 정단층 주변부에 선택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3. 페루 INGEMMET 공동연구 2016년도 KIGAM과 INGEMMET간 공동연구조사는“페루 중부 오욘 다금속 광화대 성인연구”관련으로 현장조사는 Iscaycruz 광산, Raura광산, Huaron 광산 및 그 주변 화성암체에 대한 지질광상 조사를 수행하였다. Iscaycruz 광산은 1990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주로 연-아연을 채굴하였으나 현재 휴광 중에 있는 광산이다. 이 광산은 북에서남으로 감에 따라 Limpe Norte, Mancacuta, Mina Limpe Centro,Tinyag, Mina Chupa 및 Santa Este 광체들로 구성되며 현재 지질구조에 의해 단절된 광체를 찾기 위하여 하부 시추를 진행하고 있다. Raura 광산은 주로 연-아연-동-은을 생산하는 광산으로 1960년에 설립되어 2014년에는 24,000톤 Zn, 12,100톤 Pb, 1,700톤 Cu 및 65,000kg Ag를 생산한 광산이다. 이 광산은 현재 주로 연-아연-은 광체를갱내 채굴로 생산하고 있으나 Mo 및 Cu 광화작용과 관련된 몬조나이트 관입암체에 대한 탐광을 함께 수행하고 있다. Huaron 광산은 주로 은을 채굴하며 부가적으로 아연, 연 및 동를 생산하는 광산이다. 이 광산은 1912년 설립되어 연간 광석 생산량이 600,000~800,000톤(약 4백만 oz 은, 2,000톤 Cu, 5,000톤 Pb 및 12,000톤 Zn)을 생산하고 있다. 이 광산의 광화작용은 맥상, 망토상, 분산형 으로 산출되며 특히 망토상 광체에서는 2 g/t Au를 함유한다. 이 광산에서 Ag 함량은 산출유형에도 관련이 되며 특히 Cu, Pb, Zn 함량과 관련되어 산출된다.이번 공동지질광상조사를 통하여 이들 광산들에 대한 지금까지 수행된 조사결과를 토대로 두 기관간의 독자적인 연구에 적절하게 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현재 이들 시료들에 대해 실내연구를 진행 중에 있으며 향후 이들 자료 결과를 기초로 광화유체에서 광물들의 침전에 따른 침전 프로세스 및 탐사 인자를 규명할 것이며 또한 국내기업들의 페루 광산개발 진출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덴마크 GEUS 공동연구 그린란드 남부 가다르 지역의 모쯔펠트 화성복합체는 섬장암질과 반심성암질 암석으로 나뉘며 후자는 환형 관입체와 층상의 관입체를 형성한다. 희토류를 포함한 고장력원소의 근원암으로 생각되는 층상관입암체는 층상 과알칼리 미세섬장암 (SPM), 섬장암질 페그마타이트(SP) 및 과알카리 미세섬장암 (PM)으로 구성된다. 모쯔펠트 화성복합체의 북부 스토엘브 지역에서는 층상 과알카리 미세섬장암이 기올로그필드 섬장암을 관입하고 있으며, 섬장암질 페그마타이트를 포함한다. 흑색의 층상 과알카리 미세섬장암은 대략 1~2 m의 두께를 가지며, 알카리 장석, Na-각섬석 및 Ca-Na 휘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페그마타이트는 접촉부에서 중심으로 가면서, 알칼리 각섬석 - 알칼리 장석에서 Na-Zr 규산염광물에 이르기까지 광물학적 누대구조를 이루고 있다. Na-Zr 규산염광물은 갈렴석, 저어콘, 황록석, 추휘석, 조장석,방해석 및 녹니석으로 완전히 교대되어 있다. 황록석은 페그마타이트의 기질부에서 섬유상의 추휘석 및 형석과 함께 산출된다. 페그마타이트와의 접촉부에 발달하는 변질미세섬장암은 유색광물의 부재와 REE-탄산염 (bastnaesite, synchysite), 황록석 및 저어콘이 우세한 것이 특징이다. 험벅브래 지역은 모쯔펠트 화성복합체의 동부에 위치하며, 적갈색의 미세섬장암이 율리아네하브 화강암을 관입하고 있다. 약 1~2 m의 두께를 가지는 미세섬장암은 북동 방향의 주향이 우세하게 나타나며 낮은 경사를 가진다. 이들은 변질미세섬장암과 유사한 암석학적 특징을 나타내며 알칼리장석과 철산화물 (대부분 자철석)로 구성되어 있다. 희토류를 포함한 고장력 원소를 함유하는 광물은 황록석과 저어콘 및 상대적으로 소량의 모나자이트이며, 이들은 형석과 밀접하게 공생한다. 미세섬장암과 페그마타이트는 조성적으로 아그파아이트 [AI=Al-(K+Na)>0]에 해당되는 반면 기올로그필드 섬장암은 미아스카이트에 해당된다. 스토엘브 지역의 페그마타이트와 변질미세섬장암에 희토류를 포함한 고장력원소의 농집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는 마그마의 분별정출작용에 의해 높아지는 알카리 지수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험벅브래 지역에 분포하는 미세섬장암 내 희토류를 포함한 고장력 원소의 집중적인 농집은, 마그마의 분별정출작용에 의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저어콘의 조성과 산출특성은 마그마의 분별정출작용에 의한 초기의 희토류를 포함한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0044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