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규소 동위원소를 이용한 하천유역의 생지화학적 규소순환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8-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의 목적 및 내용 본 연구는 자연 시료의 규소 동위원소 조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분석법의 정립과 하천 시료의 분석을 통해 육상에서의 규소 생지화학적 순환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황산이온 도핑 방법을 황산이온의 농도가 높은 시료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 시험하고, 강물 시료의 동위원소 조성을 바탕으로 암석 풍화, 생물 활동의 영향을 특정지어 구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고체 표준물 시료를 알칼리 용융법으로 분해하였고, 액체 및 고체 시료들은 모두 칼럼분리법으로 규소를 분리하였다. 황산이온 영향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시료들에 황산이온을 도핑 하였고, 동위원소 조성은 KRISS의 Neptune MC-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바탕값 보정을 하여 표준물의 규소동위원소 비를 재현하였다. 지속적인 바탕값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매질에 황산이온이 존재하는 경우 도핑 방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동위원소 조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도핑에 사용할 용액, 투입 양 등의 주의할 점들을 확인하였다. - 티베트 고원 기원의 큰 강과 백두산 기원 강물 시료들의 규소 동위원소 조성(δ 30 Si)은 0.1~1.9‰이었다. - 기존 문헌들의 용존 규소 농도, 규소와 양이온 비, 게르마늄과 규소의 비 등과 규소 동위원소 비를 비교한 결과 열수, 암석 풍화-점토광물 형성과 같은 1차적 요인과 지열, 화산기원 황화물과 같은 2차적 요인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 열수, 점토광물 풍화, 점토광물 형성 순으로 강물의 규소 동위원소비가 증가하였다.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본 연구를 통해 기기 바탕값과 시료 내 황산이온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문에 명시한 바탕값의 모니터링과 도핑 용액의 선정 및 투입 용량 결정과 같은 주의 사항과 분석 당일의 기기 상태를 확인한다면 다른 자연 시료의 동위원소 조성을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주로 강물 시료를 분석하여 비교하였지만, 하천 바닥 퇴적물, 부유물과 폭넓게 분석하여 비교한다면 분별 작용의 메커니즘과 영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시료의 특성상 생물 활동의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제한된 유역내 식생의 규소 동위원소 비와 Chl-A, pigment data 등 생물 활동 지표 등을 분석하면 생물 활동에 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출처 : 한글요약문 4p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035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