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분자생태학적 연구를 통한 멸종위기 담수어종 보전∙복원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5-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상지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한 분야인 분자생태학(보전유전학) 관점에서 우리나라 멸종위기 담수어종 열목어, 한둑중개 및 둑중개의 유전적다양성 및 유전적 구조를 서로 다른 두 분자마커(mtDNA, microsatellites)를 사용하여 규명함으로써 이들 개체군의 생태/유전적 상태를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향후 이들 종 개체군의 효과적인 보전·복원 전략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함.” Ⅰ.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1. 연구목적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보호 받고 있는 국내 열목어 서식지를 대상으로 개체군 내 및 개체군간 유전적다양성과 유전적 구조 규명, 복원사업에 이용된 개체군의 기원지 추적, 전 세계 열목어 서식 개체군 간 진화적 유연관계 파악 및 개체군 간 몸 형태 변이 조사를 위한 생태학적 기하형태학 분석을 수행하여 현재 국내 열목어 개체군의 생태·유전적 상태를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효과적인 보전·복원 방향 수립을 위한 과학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2. 연구방법 국내 10개 하천 지역 개체군(양구, 인제, 설악, 방태, 홍천, 평창, 치악, 정선, 봉화, 태백)에서 239개체를 채집하여 분자마커(mtDNA control region; 1152 bp; 8개 핵 내 microsatellites)를 이용하여 계통지리학/집단유전학(보전유전학) 및 생태학적 기하형태학 분석을 실시. 3. 연구결과 및 토의 • 10개 개체군에서 6개 mtDNA 단상형을 확인. 개체군 내 유전적 다양성이 낮음(개체군 내microsatellite 대립유전자 풍부도: 2.38~4.13[평균 3.12]). • 개체군 간 유전자확산 현상이 제한되어 개체군 간 유전적분화도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나타남. • 유전자분석에 이용된 개체군 중 자연개체군(방태, 홍천)과 복원개체군(평창, 치악, 봉화)의 기하형태학적 분석 결과, 서로 다른 환경 적응의 결과 개체군간 몸의 형태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름. Ⅱ. 한둑중개(Cottus hangiongensis) 및 둑중개(Cottus koreanus) 1. 연구목적 멸종위기에 직면한 한둑중개와 근연종인 둑중개의 유전적다양성 및 유전적 구조를 평가하고자 집단유전학 및 아울러 생태학적 기하형태학적 연구를 통해 두 종의 생태·유전적 상태를 점검하였고 또한 생활사 차이에 따른 개체군 유전적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함. 2. 연구방법 한둑중개 서식지역 중 6개 지역(삼척 오십천, 양양 남대천, 물치천, 강릉 연곡천, 옥계 낙풍천, 울진 왕피천)에서 225개체와 둑중개 서식지역 중 13개 지역(평창 흥정계곡, 기화천, 원주 오크밸리, 강림천, 치악, 정선, 인제, 가평, 포천, 양구, 양양, 삼척, 고성)에서 273개체를 채집. MtDNA control region[한둑중개(465 bp), 둑중개(467bp)], 7개 핵 내 microsatellites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자분석 실시. 3. 연구결과 및 토의 • 국내 6개 한둑중개 개체군에서 8개 mtDNA 단상형, 13개 둑중개 개체군에서 24개 단상형 확인. • 유전적다양성은 한둑중개 개체군(5개 지역)이 둑중개(10개 지역)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에 개체군 간 유전적분화도는 한둑중개가 둑중개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한둑중개는 하나, 둑중개는 5개의 서로 다른 유전적 무리를 형성하였으며 이는 생활사 차이(한둑중개: 양측회유성, 둑중개: 하천육봉형)로 인해 두 근연종 간 유전적다양성과 유전적 구조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추론됨. • 두 근연종 간 기하형태학적 분석 결과, 종 간 차이뿐만 아니라 종 내 개체군 간에도 서로 다른 환경 대응 몸의 형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름을 확인. (출처 :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0568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