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금속 비전통 안정동위원소 분석기술 개발 및 지질학적 응용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전남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비전통 안정동위원소(Non-traditional stable isotope)는 리튬(Li), 마그네슘(Mg), 몰리브덴(Mo), 구리(Cu), 아연(Zn), 니켈(Ni) 등과 같이 최근에서야 연구되어지는 안정동위원소를 말한다. 이 원소들은 기존의 안정동위원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최근 다검출기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MC-ICP-MS) 등 분석기기의 발달로 인해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컬럼관과 음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비전통 안정동위원소 중 Mo, Zn, Ni의 분리 및 MC-ICP-MS 를 이용한 동위원소 분석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크게 Mo, Zn, Ni 원소를 분리 및 회수하기 위한 컬럼 작업(Chromatography)과 MC-ICP-MS를 이용한 동위원소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전 안전 및 오염에 주의가 필요하였고, 모든 작업은 후드안에서 이루어졌다. 실험에는 ppt 단위로 불순물이 들어 있는 초고순도 시약(Optima Grade, Fisher Scientific) 및 정제시약이 사용되었다. 원소 분리작업은 컬럼관(BioRad PolyPrep Ⓡ column, 10ml)과 음이온 교환수지(Anion exchange resin)를 사용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원소별로 사용하는 음이온 교환수지와 시약이 다르게 사용되었다. Mo 원소분리는 BioRad Resin AG Ⓡ 1-X8, 200-400 mesh 음이온 교환수지, Zn은 AG Ⓡ MP-1M, 100-200 mesh, 그리고 Ni은 Bio-Rad Ⓡ 50W-X8, 200-400 mesh와 Eichrom Ni Resin, 100-150μ 2가지의 음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 원소 모두 각각의 시약의 변경에 따라 분리구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회수율도 높았다. 이 실험을 통해 Mo, Zn, Ni 원소는 완전히 분리할 수 있었다. 또한 Zn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Cu의 분리도 성공하였다. 분리 후에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오창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MC-ICP-MS를 사용하여 동위원소를 분석하였다. 원소마다 분석조건은 다르며 사용한 동위원소 표준물질도 Mo는 JMC-Mo, Zn은 IRMM-3702 그리고 Ni은 NIST986으로 달랐다. 이번 연구에서 발견한 분리법을 적용하였을 때 동위원소 분석이 가능한지에 대한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BHVO-2, SDO-1, PACS-2, NOD-P-1 등 지질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원소를 분리하고 동위원소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Mo 동위원소는 BHVO-2, SDO-1, PACS-2, IAPSO의 δ 98/95 Mo 값이 각각 –0.32±0.24‰, 0.66±0.11‰, 0.91±0.16‰, 1.88±0.08‰을 나타내었다. Zn 동위원소의 경우 BHVO-2, BCR-2, BIR-1의 δ 66 Zn 값이 각각 0.21±0.18‰, 0.17±0.30‰, 0.10±0.29‰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Ni 동위원소는 표준물질 BHVO-2, SDO-1. NOD-P-1의 δ 60/58 Ni 값이 –5.22±0.05‰, -3.90±0.07‰, 2.58±0.04‰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동위원소 분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 최초로 Mo, Zn, Ni 비전통 안정동위원소의 분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이들 비전통 동위원소 분석이 국내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연구결과는 국내외 학회지에 7편 게재되었고,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5편 발표되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3명의 대학원생이 수해를 받아 이중 2명이 졸업하고 1명은 재학중이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0403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