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NAD+ 중간체 : NMN과 NR의 생물학과 치료 잠재성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7-25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신동욱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NAD+에 관련한 연구들을 통해 노화 관련 기능저하와 질병 발생에 대한 많은 정보들이 얻어졌다. 특히 두 가지 NAD+ 중간체,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 (nicotinamide riboside(NR))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타이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NMN))들을 보충하면 노화 관련 질병의 예방과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이들 NR과 NMN은 조직, NAD+ 합성효소 발현 상태, 수송체 등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는 듯하다. 본 분석은 NAD+의 대사작용과 노화 수명연장을 연결하는 복잡한 개념이 어떻게 연구되고 있으며, 실제 인간의 건강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전임상 결과들을 소개한다[1]. 2. 목차 1. 개요 2.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타이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3. 니코틴아미드 리보사이드 (Nicotinamide Riboside) 4. 현재 이해 정도의 한계 및 NAD+ 생합성 향상을 위한 해로운 효과들 5. NMN과 NR의 in Vivo 약물동역학(Pharmacokinetics) 6. 시스템적인 NAD+ 생합성 7. 결론 NAD+ 생물학에 있어서 새로운 시대가 열린 만큼, 새로운 질문들이 쏟아지고 있다. 먼저 소기관에서의 NAD+ 생합성, 즉 핵과 미토콘드리아 같은 세포소기관이 자체적으로 NAD+를 합성하는 특징적인 인자들을 소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NAD+ 중간체는 서로 다른 세포소기관 사이에서 공유가 되는 것인가? NMN 또는 NR이 실제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는가? 또 다른 흥미로운 질문은 특정 수송체가 NMN과 NR을 위해 존재하는가이다. 향후 많은 흥미로운 발견이 NAD+ 생물학에서 이루어진다면 궁극적으로 인간의 효율적인 치료제로서 새로운 주목할 만한 돌파구가 마련될 것이다. References 1. Yoshino, J., Baur, J. A., Imai, S (2017) NAD+ Intermediates: The Biology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NMN and NR. Cell Metabolism 27(3):513-528. 2. Canto, C., Menzies, K.J., and Auwerx, J. (2015). NAD(+) metabolism and the control of energy homeostasis: a balancing act between mitochondria and the nucleus. Cell Metab. 22, 31 ndash;53. 3. Mills, K.F., Yoshida, S., Stein, L.R., Grozio, A., Kubota, S., Sasaki, Y., Redpath, P., Migaud, M.E., Apte, R.S., Uchida, K., et al. (2016). Long-term administration of nicotinamide mononucleotide mitigates age-associated physiological decline in mice. Cell Metab. 24, 795 ndash;806. 4. Brown, K.D., Maqsood, S., Huang, J.Y., Pan, Y., Harkcom, W., Li, W., Sauve, A., Verdin, E., and Jaffrey, S.R. (2014). Activation of SIRT3 by the NAD(+) precursor nicotinamide riboside protects from noise-induced hearing loss. Cell Metab. 20, 1059 ndash;1068. 5. Chalkiadaki, A., and Guarente, L. (2015). The multifaceted functions of sirtuins in cancer. Nat. Rev. Cancer 15, 608 ndash;624. 6. Yoshino, J., Mills, K.F., Yoon, M.J., and Imai, S. (2011). Nicotinamide mononucleotide, a key NAD(+) intermediate, treats the pathophysiology of diet- and age-induced diabetes in mice. Cell Metab. 14, 528-536. ※ 이 자료의 분석은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의 신동욱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99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