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전략적 국제공동연구 발굴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세부과제 Ⅰ 전략적 국제공동연구 발굴 플랫폼 구축 및 운영 Ⅳ.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 구축한 기술수요맵 및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향후 국제공동연구 가능 기관 및 연구분야 발굴에 활용 • 동시에 발굴된 아이템들을 국제공동연구 과제로 진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원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원 ( 출처 : 요약문 10p ) 세부과제 Ⅱ 한-뉴 (KIER-SCION) 국제공동 기술개발 사업을 위한 사전기획 연구 Ⅳ.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뉴질랜드 제재소 실증연구 후보지 방문조사와 주 연구기관인 SCION과의 2회 회의 등을 통하여 현지 실증연구의 규모, 장소, 참여기관, 예산, 추진전략 등을 결정하였다. 실증연구 후보지는 뉴질랜드 북섬 로토루아 인근에 위치한 Nature's Flame 사이고 연구범위는 톱밥의 전처리 기술부터 선박용 바이오연료 생산 및 유람선 연료이용 기술 개발까지로 결정하였다. 제재소 톱밥의 전처리 및 급속 열분해 반응장치 규모는 10톤/일이고 선박유 생산장치 규모는 5kg/h급이며 연구개발 기간은 4년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톱밥 전처리로는 분쇄와 건조 과정이 필요하며 적용에 적합한 기술을 제안하였다. 급속 열분해에 의한 바이오오일 생산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개발한 이중관 버블유동층 반응장치 기술을 적용하고, 바이오오일의 업그레이딩에 의한 선박용 연료 생산 공정은 초임계유체에서 촉매 탈산소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 결과는 향후 한-뉴 국제공동 연구를 통하여 실증 기술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 ( 출처 : 요약문 1043p ) 세부과제 Ⅲ 전기적 방전을 이용한 다중와이어 실리콘절단 위한 KIER-Fraunhofer CSP간 기술협력 플랫폼 구축사업 Ⅳ.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원천기술과 상용화기술 간의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 기술개발과 더불어 Pilot scale 수준의 상용화에 대한 기술검증이 필수적이다. 원천기술의 요소기술로는, 표면 결함 제거 및 세척기술이 대표적이다. 상용화 기술로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최적화 및 고 내구성 와이어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향후, WEDM 한-독 국제공동연구 플랫폼” 연구개발과제를 통해 이러한 핵심 요소기술과 상용화 기술을 확보할 것이며 한화기계(한국) 및 PV crystalox, 한화큐셀(독일)을 비롯한 유럽 선진 태양광 기업을 통한 기술이전을 실시할 예정이다. ( 출처 : 요약문 1074p ) 세부과제 Ⅳ COMBDry 기술을 이용한 석탄의 건조기술개발 Ⅳ.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건조석탄의 수분 재흡착과 자연발화현상을 관측하였다. 건조석탄의 평형수분은 15%로 원탄의 22%보다 약 7%가 낮아졌다. 석탄의 산소기능기가 제거되어 평형수분 함량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석탄을 15일간 실험실에서 실온에서 보관하면서 수분 재흡착을 측정한 결과 수분은 약 10%에서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PT(Cross Point Temperature)와 LTO(Low Temperature Oxidation)을 측정한 결과 원탄에 비해 자연발화 가능성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Liability Index는 원탄 6.93에서 건조탄 6.44로 낮아져서 자연발화 가능성이 적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500ton/day 규모의 상용 플랜트에 대한 공정 개념을 작성하였으며 경제성 평가결과 약 70억원이 소요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결과로부터 COMB 기술이 갈탄의 건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출처 : 요약문 1140p ) 세부과제 Ⅴ 스리랑카 지역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기술사업화 사전기획사업 Ⅳ.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본 사업을 통하여 스리랑카 정부의 기술도입의향서 1건을 도출하였으며, 2018년 이후에도 계속적인 협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전문가 풀을 구성하고 상호 방문계획을 수립하였다. 양 국가의 공동사업을 위해서는 유럽/미국 대비 가격 경쟁력 우위에 있는 한국기술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심 있는 업체를 발굴하여 보다 구체적인 기술이전 협상을 진행해야 한다. 필요 시 Spin-off 전략에 의한 국내 기업체 기술이전 후 스리랑카 사업을 수행할수 있다. 현재 유력한 주요 대상 기술로는 타겟 지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제작 기술, 신재생에너지 설비도입 사전 타당성 평가기술, 생성된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경제성 평가기술,스마트시티 적용기술 등이 있다. 아직 스리랑카 국가는 외국의 공적개발원조자금에 많이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사업이 우선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이미 스리랑카는 우리나라 ODA(KOICA + EDCF)의 중점협력국이자 제2위 수원국의 지위를 갖고 있으며, GCF, ADB 자금 등을 활용한 많은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우선스리랑카 정보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활용기술을 논의하고, 파생한 다양한 기술을 스리랑카 현지에 적용할 수 있도록 2018년부터 스리랑카 국가 대상 기술도입 프로젝트를 시행할 예정이다. ( 출처 : 요약문 1180p ) 세부과제 Ⅵ 다공성 탄소 지지체 촉매 개발을 위한 호주 CSIRO와의 공동연구 Ⅱ 과제의 목표 및 내용 1. 배경 및 필요성 그림 1. CSIRO의 oil, gas, and fuel program 및 산하 Energy resource processing 그룹의 구성 ㅇ CSIRO와의 협력 - 2014년 3월에 KIER와 CSIRO는 5년 유효한 MOU 체결하여 에너지 연구 협력하기로 함 - CSIRO: ~5300여명의 종업원, 연간 1조원 이상의 예산, 호주 전역에 55개의 site 소유하며 농업,에너지, 음식, 건강, 제조, 천연자원, 해양 등 연구 개발의 전 영역을 포함 - CSIRO의 energy flagship은 브리즈번, 뉴캐슬, 멜번, 시드니, perth 등의 5군데 연구소를 운영하며 약 400여명의 과학자들이 일하고 있음 - CSIRO의 energy flagship은 5개의 program (low emission technologies, coal mining, oil/gas/fuels, unconventional gas, grids/energy efficiency)이 있으며, 이중 “oil, gas, and fuels” program (Clayton (Melbourne), Victoria)과 접촉함 -“Oil, gas, and fuels” program은 3개의 그룹 (Exploration geosciences, reservoir dynamics, energy resource processing)이 있으며, 이중 Dr. Seng Lim이 주도하는 energy resource processing 그룹과 공동연구 진행 - 2016년 12월 1일에 호주 방문 시 energy resource processing (ERP) 그룹의 “Industrial heterogeneous catalysis” 팀 (Dr. Seng Lim, Dr. Yunxia Yang, Dr. Woojin Lee, Dr. Nick Burke, Dr. Doki Yamaguchi, Dr. Liangguang Tang etc) 을 방문함 (2016년 호주와의 사업기획을 주제로 하는 국제협력사업의 일환으로 방문함) - KIER 청정연료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일에 대하여 (COMB, AFC, coal- supported catalyst,CUPO) 설명. ERP 그룹의 Industrial heterogeneous catalysis 팀에서는 이중 석탄 또는 탄소 재료의 이용 분야에 관심이 많음. 이에 본 연구팀의 coal-supported catalyst 연구와 Dr. Yunxia Yang의 structured porous carbon supported catalyst 연구 분야는 cowork 가능하며, 이후 다공성 탄소 지지체 촉매 개발을 위한 본 공동 연구 시작됨 ㅇ 필요성 - 탄소의 다양한 pore 구조 조절 기술 (KIER: 저등급 석탄 기반 porosity 조절 기술, CSIRO: mesoporous, hierarchical 탄소, 석탄 기반 structured 탄소 지지체, porous 고체산화물 지지체)의 결합 통해 고효율, 다기능성 촉매 개발 필요 - 우수한 탄소 지지체의 porosity 조절 기술을 가지고 있는 CSIRO와의 협력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1421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