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 (Gintonin-enriched fraction, GEF)를 이용한 인지기능 및 퇴행성 뇌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진토닌케이유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핵심기술 백삼 비수용성 주정추출물 (GEF) 경구 투여시,non-amyloid ogenic pathway에 의한 항 알츠하이머병 개선 효능 □ 사업화 배경 - 인삼에서 새로운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비사포닌 성분을 발견하고 진토닌 (Gintonin) 이라 명명 - 사람을 포함한 동물 세포막 진토닌 수용체(receptor) 발견 진토닌 수용체는 G protein-coupled lysophosphatidic acid (LPA) receptors이며 LPA 수용체 리간드로 규명 - In vivo Alzheimer's disease(AD) 동물 모델 연구에서 진토닌 경구 투여는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뇌 병소 형성 억제 및 인지기능 손상을 방어하는 것을 검증 - 서울대 병원 신경과 소규모 연구자 임상을 통해 경증 및 중등도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 (GEF) 경구 투여에 의한 인지기능 개선효과 검증 완료 및 SCI 논문 발표 -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를 이용한 알츠하이머병 치매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치료제 및 치료 보조제 개발 □ 최종목표 가.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를 이용한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개발 -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지표성분의 분석법 validation 수행 - 인체적용 임상시험을 통한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 (GEF)의 인지기능 개선 기능성 검증 -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나.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 제조 시, 발생되는 부산물 활용 방안 연구 다.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뇌 해마의 노화 억제 연구 □ 사업화 내용 및 결과 가.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 (GEF) 시험용 시제품 제조 -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 제조량 : 1.07kg(생산 수율 : 1.34%) 나.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지표성분 표준화 및 분석법 validation 검증 - LC-MS/MS 방법을 이용하여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 (GEF) 중 LPA의 농도 분석을 위한 분석법 확립. - 확립 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유효성 검증(Method validation)을 실시한 결과, 0.05~1.0ug/mL의 범위에서 직선성을 확인. -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지표성분인 LPA 분석시, 간섭물질이 없음을 확인함. - 검증된 분석방법을 통해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지표성분인 LPA의 분석 시, 충분한 직선성,정확성, 정밀성 및 회수율을 나타냄. 다.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인지기능 개선 기능성 검증 - 8주간의 단일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임상 시험 연구를 통해 확인한 백삼(인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 (gintonin-enriched fraction, GEF)의 인지기능 연구 결과 1차 및 2차 유효성 평가에서 군간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음 - 다만,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MMSE 총점 및 ADAS-cog/non-cog 및 ADAS 총점 항목에서 수치의 개선 정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임 - DCE-MRI를 시행한 대상자 역시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의 지표인 Ktrans 및 V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p—value의 marginal 한 차이를 보이는 일부 ROI의 경우 일관되게 시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수치가 증가한 경향을 보임 - DCE-MRI라는 MRI를 기법을 통한 측정 시 GEF의 blood-barrier permeability의 변화유도 효과에 대해 인체 내에서 확인 가능한 방법으로 통계적으로 marginal 한 차이를 보였던 일부 ROI에서 시험군 쪽에서 일관되게 수치가 증가함 라.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안전성 검증 -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중금속 함량은 모두 기준 규격 이하 또는 불검출 -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대장균군 함량 음성 판정 마. 백삼 비수용 주정 추출물(GEF)의 부산물 활용 방안 연구 -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가 제거된 부산물을 이용하여 Sulfolobus solfataricus 유래 β-glucosidase(SS-bglu) 와 Dictyoglomus turgidum 유래 arabinofuranosidase (DT—araf)를 동시에 반응 - 기존 부산물에 함유되어 있던 진세노사이드 Rb1, Rc, Rb2, Rd가 전부 컴파운드 케이로 전환됨을 확인함 바.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뇌 노화 억제 원리 연구 - 인지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뇌 해마 노화에 미치는 뇌 조직학적, 전기생리학적 및 행동학적 영향 연구를 통해 GEF 경구 투여가 해마 신경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증가시킴 - 기억력 및 학습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뇌 해마(hippocampus)의 전기 생리학적 변화 연구 결과 GEF를 D-gal과 같이 투여한 군에서 LTP가 대조군과 비슷한 정도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 기억력 및 학습과 관련된 noble objective task test를 행동학적 연구 결과 D-gal와 GEF를 같이 투여한 그룹에서 대조군 보다 새로운 물건을 찾아내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GEF는 D-gal에 의한 인지기능 손상을 방어하여 줌을 확인함 □ 핵심개발 기술의 의의 -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이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방법도 현재 없음. 단지,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치매 증상을 완화시키는 정도의 치료제만 있는 상황에서 경증 및 중등도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연구자 임상 (small sponsor investigator trial) 실시를 통한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인지 기능 향상 효능은 새로운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나타냄 - 본 과제를 통한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를 용한 인지기능 개선 기능성 검증을 위한 인체적용 임상시험은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한 기능성 검증 시험이었기에,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이 아닌, 인지기능이 정상 내지 정상에 가까운 대상자들을 통한 시험이었기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게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 - 다만,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을 경구투여 시 8주차때에도 대조군에 비해 지속적으로 인지개선이 있어 보였기에, 향후 지속적인 연구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 특히 선행되었던 연구자 임상시험에서는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인지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냈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기능성 검증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 또한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 경구 투여 대상자의 뇌를 MRI를 이용하여 변화도를 측정 시, BBB(Blood brain barrier permeability) 통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결과를 얻음. 이는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이 뇌신경계 약물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복합제로서의 성분으로 활용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음 - 이러한 효능이 검증이 된다면, 이는 산학, 의료, 제약 업계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drug delivery system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은 대부분의 천연물 유래 성분과 달리 기능성분 및 효능 작용 원리가 확인이 가능한 기능성 물질이기에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 질환의 예방 및 치료 자료의 확보 및 천연 의약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 □ 적용 분야 - 인구의 고령인구가 빠르게 증가할수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뇌졸중 등의 퇴행성 질환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보건의료학적인 문제를 넘어서 심각한 사회,경제적인 부담을 초래 - 알츠하이머의 경우 Aricept, Namenda, Exelon 등의 치료제 및 건강기능식품 등이 있으나 모두 근본적인 치료가 아닌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로 신규 약물에 대한 수요가 계속적으로 필요 - 백삼 비수용성 주정 추출물(GEF)의 알츠하이머병의 뇌병변 형성 억제,기억력 개선 및 신경세포 증진 효능은 새로운 퇴행성 신경질환, 특히 알츠하이머병 치료 및 개선제로 주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 - 기억력 개선 효능 검증 시 입시를 앞둔 청소년 학생들, 각종 수험생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1674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