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홀로그램의 이해와 서비스 사례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4-23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국경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개요 홀로그램(Hologram)은 완전함(전체)을 의미하는 “Holo”와 메시지, 정보를 뜻하는 “Gramma”의 합성어로, 실물처럼 입체로 보이는 3차원 영상이나 이미지를 말한다. 1948년 영국의 물리학자 데니스 가보르(Dennis Gabor)가 핵심 원리를 발견해 노벨상을 수상한 이 기술은, 1960년대 간섭성을 띤 레이저가 개발된 후 본격적으로 연구개발되기 시작하였다.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기술은 홀로그래피(Ho-lography) 원리를 이용하여 240개 이상의 레이저빔을 통해 물체의 표면에 반사시킨 빛으로 360도 3D 입체영상을 재현하고, 이를 통해 3D 영상정보에 깊이감(Depth)을 부여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3D 입체 콘텐츠는 실세계의 모습과 동작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사실감 및 가상 현장감 등을 제공한다. [그림 1] 홀로그램 아이디어를 처음 도출한 데니스 가보르 (출처: what-when-how.com)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기술은 1862년 플로팅(Floating) 방식(2차원의 대형 투명막에 고해상도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으로, 현재 공연이나 전시에 사용되고 있는 유사 홀로그램 기술)의 유사 홀로그램 기술이 최초이며, 이후 360도 영상관찰 홀로그램, 간섭성 홀로그램, 투과형 홀로그램, 반사형 홀로그램, 360도 홀로그램, 컴퓨터 홀로그래피, 무지개 홀로그램, 무지개 엠보싱(embossing) 홀로그램, 스테레오 홀로그램, 자연색 홀로그래피 기술에 이어 1990년대 초 실시간 홀로그램 영상 생성 시스템 기술로 이어져왔다. 한 시장조사 기관인 GIA(Global Industry Analysts)는 홀로그램 이미징 시장 규모는 2018년 160억 달러로, 2022년에는 205억 달러 수준으로 연평균 6.8%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이한 점은 의학교육에서의 홀로그램 이미징 사용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홀로그램 이미징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최근 영국과 독일과 같은 선진국 정부는 정형외과 및 심혈관질환 연구를 위해 수행된 연구 프로세스를 촉진하여 향후 홀로그램 이미징 시스템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키는 몇 가지 시험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그림 2] 홀로그램 산업 시장 전망 (출처: Global Industry Analysts(2014.9.), KEIT(2016.10.)) 홀로그램 기술은 크게 “아날로그 홀로그램”과 “디지털 홀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아날로그 홀로그램은 많은 정보량을 기록할 수 있어 사진뿐만 아니라 지폐에 들어가는 홀로그램 마크와 제품의 정품 인증마크, 문화재를 기록하는 방편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최근에는 아날로그 홀로그램이 단점인 편집과 압축, 전송이 불가한 것에 반해 편집과 합성은 물론 압축, 전송까지 가능한 디지털 홀로그램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음성으로만 구현되는 AI(인공지능), VR/AR (가상/증강현실) 등의 기술과 접목되어 다양한 응용 사례가 등장하고 있으며, 실재감과 현실감을 주려는 인간 친화형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홀로그램의 기본 원리와 종류, 서비스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 결론을 제시한다.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5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