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지역 천연자원 기반의 바이오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사업화 지원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안동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최종 사업목표 및 내용 1-1. 최종목표 최종목표 - 고추 및 지역 천연자원의 고부가 기능성 소재화 및 상품화를 통한 풀뿌리기업의 매출신장 및 지역 일자리 창출과 이를 통한 지역 바이오산업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 (성과목표: 매출증가 107억(42.2억), 고용창출 54명) 연차목표 1차년도 • 고추자원의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위한 기반 구축 : 고추자원의 과학적·체계적인 영양 및 기능성 평가로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 / 고추관련 기업지원을 통한 신규제품의 개발 및 제품의 고급화 (매출증가: 20억(4.2억), 고용창출 12명) - R&D 연구개발 지원(3건) : 고추자원의 건강기능 및 피부미용 효능평가와 효능지표물질 선정, 원료 및 제품의 기준규격 설정 및 원료 표준화, 고추자원을 활용한 고부가 제품개발 6건 이상 / 참여기업 매출증가 17.5억(3.2억), 고용창출 7명(직접고용 5명, 매출증가에 따른 고용 2명) - 비R&D 지원(3건) : 고추자원 활용 시제품 지원 5건, 디자인 지원 5건, 홍보마케팅 지원 6건 / 수혜기업 매출증가 2.5억, 고용창출 5명(수혜기업 3명, 사업단 2명) 2차년도 • 고부가 고추가공 산업의 활성화를 통한 풀뿌리 기업의 역량 강화: 고추 자원의 기능성 소재화 및 제품화를 통한 지역 산업체들의 경쟁력 강화/ 고추 관련 기업지원을 통한 시장개척 및 경쟁력 확보 (매출 증가 46억(34억), 고용창출 20명) - R&D 연구개발 지원 3건: 고추자원의 활성물질 증강과 효능 및 수율 개선을 위한 공정기술 개발, 고추자원의 효능 보강을 위한 기능성 부재 선발, 고추자원의 피부미용 효능 임상 시험진행, 고추자원을 활용한 고부가 제품개발 6건이상/ 참여기업 매출 증가액 34억(20억), 고용창출 10명(직접고용 5명, 매출증가에 따른 고용 5명) - 비R&D 지원: 고추자원 활용 시제품 지원 4건, 디자인 지원 3건, 홍보마케팅 지원 4건/ 수혜기업 매출 증가액 12억, 고용창출 10명(수혜기업 8명/ 사업단 2명) 3차년도 • 고부가 고추가공 산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고추 관련 제품의 다양화 및 응용제품의 개발/ 고추 관련 기업지원에 따른 지역기업 활성화/ 지역의 천연문화관광자원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 산업 활성화 (매출 증가 41억(15억), 고용창출 22명) - R&D 연구개발 지원 3건: 고추 및 지역 천연물 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소재제품 개발 및 사업화, 최신 가공기술을 활용한 소재의 효능 및 수율 개선, 고추자원의 피부미용 기능성 개별인정 승인 신청, 고추 및 천연물 자원의 항비만 기능성 개별인정을 위한 임상 시험 진행과 개별인정을 위한 자료 확보 및 관련 연구지원,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고추 활용 기능성 소재 및 제품개발 14건 이상 / 참여기업 매출 증가 25억(9억), 고용창출 12명(직접고용 6명,매출증가에 따른 고용 6명) - 비R&D 지원: [기술 지원] 제품 고급화 지원 4건, 시제품 제작 지원 5건, 디자인 개선 지원 5건, 특허 및 상표출원 및 등록지원 4건, 시험분석 및 인증지원 8건, 기술이전 1건 [사업화 지원] 홍보마케팅 지원 4건, 국내외 전시박람회 1건, 해외 공동 마케팅 1건, 사업운영 및 네트워킹 / 수혜기업 매출 증가액 16억(6억), 고용창출 10명(수혜기업 8명/ 사업단 2명) 5. 지역 경제발전 및 산업화 기여도 ○ 지역 경제발전 측면 ▶ 영양군 및 안동시의 전통자원인 고추와 지역천연자원을 기반으로 지역 바이오 산업 전반에 걸친 다양한 연구개발사업 및 비R&D 기업지원사업 수행을 통해 중소기업의 대내·외 역량 강화 ▶ 영양군 · 안동시 지역 바이오 산업체의 매출 및 고용증가 (2016~2018, 총 19개소) ▶ 기존 원물판매, 1차 가공에 그치던 지역 자원의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다양한 고부가제품 개발 및 응용개발을 통한 고부가 매출 제품 발굴 • 지역 천연물 자원의 건강증진 및 피부미용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증빙과 이에 대한 홍보효과를 통하여 제품의 고부가화 및 신뢰성 확보를 통한 기업의 매출 및 수익증진 ▶ 소비자 수요 중심의 맞춤형 고부가 제품의 개발 • 무분별한 제품개발이 아닌 시장 수요형 맞춤형 제품의 개발로 연구개발비용, 인건비 절감을 도모하고 기업의 생산성 향상 및 매출 신장 가능성 확대 ▶ 브랜드 및 패키지 디자인 개선, 홍보·마케팅 지원을 통한 지역제품 경쟁력 제고 • 노후된 패키지 디자인 개선 및 마케팅 지원으로 적극적인 시장공략 • 지역 천연 자원을 활용하였다는 장점 부각을 통해 제품 고부가가치화 유도 (예: 100% 영양고추, 콩, 참깨 등) ▶ 지역천연자원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 직·간접 기여 • 고품질, 친환경 제품 선호세대가 증가함에 있어 소비심리에 부합하는 융·복합제품의 발굴과 맛, 기능성, 심미적 요소가 대폭 개선된 신규제품의 개발 및 개선을 통해 증가되는 원물소비에 따른 농가소득 활성화 기대 ▶ 불용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자원활용 효율성 향상 • 고춧잎, 고추씨박 등의 우수한 기능성을 검증하고, 검증된 기능성을 바탕으로 식품, 화장품 등 바이오 산업 전반에 걸친 고부가 제품개발 발굴을 통해 새로운 수익모델을 발굴함과 동시에 지역 자원의 효율성을 제고 ○ 산업화 기여도 측면 ▶ 과거 1, 2차년도에 활용하였던 초고압 균질, 콜드 플라즈마 처리, 아임계 추출 등의 첨단 가공기술을 기반으로 제품의 품질 및 가격 경쟁력 확보와 참여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를 통한 기술력 보호 및 기 구축된 기술력을 통해 바이오 산업 전반에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 ▶ 영양고추, 단풍취, 상백피 등 지역 천연자원의 기능성 개별인정 지원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효능, 품질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 확보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및 사업화의 합법적 기반 구축 ▶ 개발된 소재의 산업적 활용: • 교촌치킨 : 영양고추자원을 활용한 고품질의 프리미엄 소스 개발 (매운맛 강도가 균일한 제품의 지속적인 공급 → 영양고추유통공사) • (주)MSC : 고추 및 지역 천연자원의 기능성 소재화 및 제품화, 기능성 신소재 자원발굴 및 원료공급의 전진기지로 활용 • 해마로푸드서비스 : 비만상쇄 기능의 튀김가루 개발 및 관련제품 개발, MomsTouch 납품용 소스 개발 • (주)SPC : 고춧잎 활용 항비만 및 면역증진 효능의 제과·제빵 제품화 ▶ 전통 품종인 수비초의 명품화 • 우수성이 검증된 수비초를 기반으로 명품화 전략 수립 • 고추 원물 및 각종 고추활용 제품에 대한 영양군 브랜드 가치 확립 • 영양고추유통공사의 지속적인 고추자원 공급을 통한 영양지역 농가소득 활성화 ▶ 기대 효과 • 불용자원 및 가공부산물 자원의 기능성 소재화 및 제품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 • 고추 및 지역 천연자원의 기능성과 지역 브랜드 영향력을 기반으로 타지역 및 경쟁사와의 제품 차별성 부여 • 전국제일의 고추 인프라를 바탕으로 고추 및 김장, 산채축제 활성화 등 다양한 문화체험관광을 통해 지역산업의 신성장 동력원으로 활용 • 지역에서 재배되는 고추자원과 가공부산물 및 저활용 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소재화 및 제품화를 통해 제품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 농산물의 소비증대와 고부가가치 창출 • 영양 및 안동을 포함한 경북 북부지역의 고추 및 지역천연자원 관련기업의 R&D 혁신역량을 제고하며 관련 제품의 경쟁력 향상 및 기술지원·사업화 지원을 통한 기업 경쟁력 향상 (출처 : 요약(초록) 7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1798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