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친환경 기술기반 감자 병해충 방제법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03/01/2015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국립식량과학원
연구책임자 권민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 감자 주산지의 감자검은무늬썩음병 발생은 봄 조기재배, 겨울 시설재배 등 파종기에 저온을 경과하는 작형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특히 연작하는 지역에서 병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심하였다. 씨감자의 서령에 따라서는 저온저장 기간이 5개월인 경우 최아기간이 60일까지 길수록 발병도가 낮았다. 최아기간에 따라서는 6개월 저장 후 27일 최아할 때 병 발생이 가장 적었다. 파종 깊이에서는 10cm로 심었을 때 발병률이 가장 낮았고 흑색 PE비닐 멀칭 재배를 통해 기형 감자의 수와 발병도를 낮출 수 있었다. 품종 중에서는 홍영, 추백이 저항성으로 홍선, 방울등이 감수성으로 판단되었다. 녹비작물 재배에서는 헤어리베치, 알팔파, 수단그라스가 좋은 방제 효과를 보였다. 친환경 자재 중에서는 copper hydroxide가 좋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 Human scFv library로부터 식물 바이러스 항체를 선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각 5종의 PVY와 PLRV 항체을 선발하였다. 선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panning 단계에서 1차 항체를 사용한 경우 선발효율이 4배 높았다. 선발된 scFv library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를 개발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8,00~1,000bp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발된 scFv library의 CDR영역의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CDR-H1 과 CDR-H2에서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감자뿔나방의 내부기생성 기생봉인 감자뿔나방살이자루맵시벌의 난소로부터 새로운 폴리드 나바이러스 DfIV를 최초로 발견하였고, 염기서열 분석 결과 DfIV 전체 유전체 크기는 247,191bp, 65개의 고리로 구성되었고 120개의 ORF를 갖고 있었다. 유용프로모터를 탐색한 결과 Vankyrin 1. C3가 가장 높은 발현량을 보였고 이를 기반으로 발현 벡터(pIN)을 제작하였다. ∎ 감자뿔나방살이자루맵시벌에 대한 농자재의 독성을 평가한 결과, 시판 살충제 8종 가운데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는 IOBC 독성기준으로 2급(약한 독성, 사충율 31~80%)을 보였고, 살균제는 1-2급, 제초제 1급의 낮은 독성을 보였다. 감자뿔나방 피해 경감을 위해 천적과 살충제를 동시 사용한 시험을 수행한 결과 동시 처리구에서 피해엽수가 낮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동일한 실험구에서 수확기 괴경 피해를 조사한 결과 동시 처리구는 무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피해도를 보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50000992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