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신육종기술 활용 병저항성 및 내건성 육종소재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경상대학교
연구책임자 김상희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유전체 교정 기술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진균병 저항성 작물 (토마토, 콩, 밀, 옥수수)과 내건성 벼를 개발하고자 함 전체 내용 ○ 제1주관과제 : 유전체교정 기술과 디코이 엔지니어링을 이용한 바이러스 병저항성 토마토 품종 개발 - 토마토에는 PBS1 (SlPBS1)이 존재하며 AvrPphB는 SlPBS1을 절단시킴 - AvrPphB는 토마토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저항성 반응을 유도하여 박테리아의 생장이 억제됨 - SlPBS1PVY가 PVY protease에 의해 절단이 일어나며 SlPBS1TEV가 TEV protease에 의해 절단이 일어남 - 병원균 protease에 의한 engineered PBS1의 절단은 세포 사멸을 유도함 - SlPBS1은 palmitoylation motif를 이용해 세포막에 위치함 - SlPBS1SEMPH를 AtRPS5, AvrPphB와 함께 발현시키면 세포사멸 반응이 유도됨 - AtRPS5는 SlPBS1 또는 SlPBS1SEMPH와 결합하는 것을 Co-IP를 통해 증명함 - SpCas9-SlPBS1 gRNA를 토마토에 형질전환하여 35개의 GE0 line 선별 - 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이용해 precision editing의 여부 탐색 - DC3000 (AvrPphB) 접종시 야생종인 M82에서 관찰되었던 세포사멸 반응이 slpbs1-1, slpbls1-2 돌연변이체에서는 사라짐 - 상동성 재조합 (HR)을 이용하여 SlPBS1의 AvrPphB 절단부위를 TEV 또는 PVY protease 절단부위로 치환하기 위해 기Cpf1/SlPBS1-donor template construct 제작 및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 ○ 제1협동과제 : CRISPR/Cas9 기술을 이용한 내건성 벼 계통 육성 - CRISPR/Cas9 기술을 이용한 U-box type E3 ubiquitin ligase 유전자 편집계통을 육성함 - OsPUB 유전자(U-box type E3 ubiquitin ligase gene family)의 target 영역을 검토하고 특이적 sgRNA를 선정하여 벡터를 제작함 - CRISPR/Cas system 이용 타켓 유전자의 gene editing 벡터를 구축하고 식물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promoter 활성을 검정함 - sgRNA::Cas9 도입 Ti-plasmid 벡터를 구축하고 Agrobacterium-mediated 형질전환 방법을 이용한 형질전환체(벼)를 육성함 - NGS 분석에 의한 유전자 변이 유형을 분석하고 single copy 도입 편집개체를 선발함 - 유전자 편집 개체에 건조 스트레스 처리를 실시하여 선발조건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확립하며 건조 스트레스 처리 RNA-sequencing 분석을 통한 OsPUB 유전자를 대상으로 전사체 분석을 실시함 - 건조 저항성이 증진된 null 계통을 대상으로 하여 qRT-PCR을 적용하여 OsPUB 유전자의 스트레스 조건하에서의 발현 분석을 실시하고 주요 생리, 생화학적 분석을 수행함 - 내건성 OsPUB 유전자 편집 계통의 세대 고정을 실시하고 주요 농업 형질 조사를 실시함 ○ 제2협동과제 :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콩의 진균병과 난균류병 저항성 소재 개발 - 효과적인 CRISPR-Cas9 plasmid 제작법으로 다수의 유전자 타깃 plasmid 제작 - Willams82콩과 대원콩의 CRISPR-Cas9-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시스템으로 제초제 저항성 및 유전자 편집된 콩 형질전환 제작 - 콩 잎에 CRISPR-Cas9-Agrobacterium-mediated transient transformation 시스템 개발 - 콩의 병저항성 검정법 시스템 확립 - 콩의 병저항성관련 WRKY전사인자, NPR조절인자의 sequence와 계통분류학적 분석 - 콩의 병저항성관련 유전자의 발현량 확인 - 콩의 GmNPR3조절인자의 병저항성관련 기능 확인 - CRISPR-Cas9 plasmid 기반과 RNP-mediated CRISPR-Cas9 시스템의 콩원형질체 도입 및 재분화 ○ 제3협동과제 : 붉은곰팡이병 저항성 신육종기술 실용화 소재 개발 - 붉은곰팡이 전사조절인자 대상을 선발하고 유전적 복원을 통해 형질을 확정한다. - in vitro RNA간섭 선발시스템을 구축한다. - HIGS 타깃 후보 유전자에 대한 가치제고화를 위한 오믹스(omics)기반의 기능유전학 연구를 수행한다. - 타깃 유전자 in vitro RNA간섭 선발을 통해 유전자억제 효과를 검증한다. - in planta RNA간섭 선발시스템을 구축한다. 연구개발성과 (1) 정성적 연구개발성과 < 제1주관과제 > ○ 토마토 PBS1의 기능 및 면역반응 유도 탐색 - SlPBS1은 palmitoylation motif(C3/C6)를 이용해 세포막에 위치 - SlPBS1의 N-term.은 세포막에 위치하지만 C-term.은 핵과 세포질에 위치함 - 토마토 SlPBS1의 ‘STKPQ’를 ‘SEMPH’로 치환하면 RPS5의 활성화가 일어나고 세포사멸이 일어남 - AtRPS5가 AtPBS1, SlPBS1, SlPBS1SEMPH와 단백질 상호작용함 ○ Engineered PBS1의 작동 시스템 구축 - SlPBS1의 AvrPphB의 절단부위를 viral protease의 절단부위로 치환시킨 engineered SlPBS1PVY와 SlPBS1TEV construct 제작 - Engineered PBS1 (SlPBS1PVY, ,SlPBS1TEV)이 PVY protease와 TEV protease에 의해 절단이 일어남 - Viral protease에 의한 engineered PBS1 (SlPBS1PVY, SlPBS1TEV)의 절단은 토마토에 세포사멸 반응을 유도함 ○ CRISPR/Cas9를 이용한 PBS1 mutant 토마토 제작 - SpCas9-SlPBS1 gRNA construct 제작 및 토마토 형질전환 - SlPBS1 CRISPR alleles (slpbs1-1, slpbls1-2) 확보 - slpbs1-1, slpbls1-2에서 세포사멸 반응 실험을 한 결과, 저항성 단백질의 인식작용이 사라짐을 확인 ○ 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이용해 precision editing의 여부 탐색 - PCR, Sanger sequencing, Deep sequencing, ICE analysis를 이용하여 SlPBS1 부위에서 editing이 일어난 두 개의 SlPBS1 CRISPR alleles 확보 ○ 상동성 재조합 (HR) 기반 CRISPR-Cas9/Cpf1 유전자 교정 시스템 구축 - Cpf1-SlPBS1 gRNA-donor template construct 제작 - Agrobacterium을 이용해 Cpf1-SlPBS1 gRNA-donor template construct를 M82 wild-type 토마토에 형질전환 시킴 < 제1협동과제 > ○ OsPUB 유전자들의 U-box type E3 ubiquitin ligase 관련 유전자의 sgRNA 디자인 및 합성 ○ CRISPR/Cas9 함유 벡터 구축 및 Agrobacterium-mediated 방법을 이용한 형질전환체 육성 ○ NGS에 의한 유전자 편집개체의 변이 유형 분석 및 single copy 도입 Null 개체 선발 (T0) ○ 건조 및 도열병 감염 조건에서 OsPUB 유전자의 transcriptome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처리하의 유전자 발현 분석 및 유전자 promoter 부위의 cis-acting regulatory elements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연관성 확인 ○ 건조 및 염 조건에서 유전자편집 null 계통벼의 저항성 검정 및 발현 분석을 통한 내건성 검정 및 계통 선발 ○ T1 식물체 육성 및 null 개체 선발 및 T2~T3 종자 수확 < 제2협동과제 > ○ 효과적인 CRISPR-Cas9 plasmid 제작법으로 다수의 유전자 타깃 plasmid 제작 ○ Williams82콩과 대원콩의 CRISPR-Cas9-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시스템으로 제초제 저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0934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