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지연성 신경정신병적 후유증의 고위험군인 성인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들에서 추가적인 고압산소치료 시행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울산대학교
연구책임자 손창환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요 1) 급성일산화탄소중독에서 지연성 신경정신병적 후유증 발생의 고위험군 확인 2) 지연성 신경정신병젹 후유증 발생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고압산소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지연성 신경정신병적 후유증의 발생을 감소시키는지를 확인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2년여의 연구기간 동안 COVID-19로 인해 정상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가 없었습니다. 연구수행기관인 울산대학과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과 강릉아산병원의 응급실이 보건복지부와 해당지자체로부터 ‘코로나19 중증응급진료센터’로 지정되어 코로나19 유증상 중증응급환자들 위주로 진료를 제공하고, 응급 중환자실은 코로나 의증 환자들을 위한 진료 공간으로 제공되었습니다. 본 연구의 정상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응급실 및 응급중환자실이 급성일산화탄소 중독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제공될 수 있어야 합니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이전 주관연구개발기관인 서울아산병원의 경우 년간 150~200명 이상의 급성 일산화탄소중독 환자들을 진료하였으나 코로나 팬데믹 상황 하에서는 2020년 21명, 2021년 7명, 2022년 2개월간 0명 등 진료 환자의 급격한 수 감소가 있었고 이마저도 응급중환자실 입원이 제한되어 결국 목표로 한 연구등록 대상자를 모집하지 못 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표 달성에 실패하였습니다.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연구 개시 전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지연성 신경정신병적 후유증의 고위험군인 환자들에게 표준 고압산소치료 이외에 추가적인 고압산소치료 시행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향후 급성일산화탄소 중독 환자들의 치료방향 결정에 있어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으며, 급성일산화탄소 중독 관련 국제치료 지침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급성일산화탄소중독으로 인한 지연성 신경정신병적 후유증의 발현 감소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후유증 발현으로 인한 추가적인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개시 시 예상한 연구개발성과를 토대로 한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이나 결과적으로 목표로 한 연구등록 대상자를 모집하지 못 함으로써 이러한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를 충족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1596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