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탄산염광물의 생광물화 작용에 미치는 양/음이온과 층상규산염광물의 영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전남대학교
연구책임자 노열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요 이 연구에서는 탄산염광물(Carbonate Mineral)의 생광물화작용(Biomineralization)을 이용한 양이온의 공침 및 고정과 탄산염광물(Carbonate Mineral)의 생광물화작용(Biomineralization)에 층상규산염 광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탄산염형성미생물(Carbonate forming microorganisms)을 이용하여 탄산염광물의 생광물화작용 (Biomineralization)시 다양한 양이온(Cd, Zn, Cu, Pb, Sr) 치환 및 고정된 탄산염광물을 형성하여 오염물질 고정 효과를 규명하고, 더불어 층상규산염광물(예: 흑운모, 일라이트, 버미큘라이트)의 오염물질의 흡/탈착 효과 및 탄산염광물의 생광물화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차별 연구 세부 목표는 다음과 같다. - 1차년도: 탄산염광물 생광물화작용에 양이온(Cd, Zn, Cu, Pb, Sr)이 미치는 영향 규명 - 2차년도: 층상규산염광물의 방사성오염물질 제거 및 탄산염광물 생광물화작용에 미치는 영향 규명 - 3차년도: 층상규산염광물과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탄산염광물의 생광물화작용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차년도 목표: 탄산염광물 생광물화작용에 양이온(Cd, Zn, Cu, Pb, Sr)이 미치는 영향 규명 - 탄산염미생물의 요소분해과정에 의한 탄산칼슘 침전시 다양한 양이온(Cd, Zn, Cu, Pb, Sr)의 종류와 농도는 다양한 탄산염광물의 침전(방해석, 아라고나이트 등) 및 광물학적 특성(광물의 종류, 형태, 결정도 등)에 기여했으며 금속이온 제거율에 차이를 보였다. Pb와 Sr은 99 % 이상의 제거 효율을 보였고, Cu, Zn, Cd는 0.05 mM 이하의 저농도에서 30 ~ 60%의 낮은 제거 효율을 보였다. 2차년도 목표: 층상규산염광물의 방사성오염물질 제거 및 탄산염광물 생광물화작용에 미치는 영향 규명 - 산-활성화된 흑운모의 비표면적은 활성화 전과 대비하여 약 3.5배 증가하였고, 염기-활성화 된 흑운모와 일라이트는 사면체가 부분 용해되면서 많은 공극을 만들었다. - 산/염기-활성화된 흑운모와 일라이트의 세슘 흡착 능력을 평가한 결과, 증류수 내 세슘(1 mg/L) 제거율은 흑운모(91.1%)가 산-활성화 98.1%, 염기-활성화 93.1%, 일라이트 (98.7%)는 산-활성화 99.2%, 염기-활성화 98.4%로 확인되었다. pH에 따른 광물학적 특성 변화와 관련하여, 흑운모와 일라이트의 세슘 제거율은 단순히 pH-의존전하뿐만 아니라 비표면적의 변화도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3차년도 목표: 층상규산염광물과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탄산염광물의 생광물화작용 - 광물에 흡착된 세슘은 1차 광물인 흑운모에 비해 2차 광물인 질석에서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Ca 이온의 흡착에도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층상규산염광물과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탄산염광물의 생광물화작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국내 토착 탄산염형성미생물의 균주 발굴과 생광물화작용의 특성 연구는 다양한 환경 내에서 발견되는 미생물 생성 탄산염광물 형성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생지화학적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탄산염 광물(예: CaCO<sub>3</sub>)의 생광물화작용으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sub>2</sub>)는 고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저감하기 위한 친환경적 공정으로 탄산염광물형성 미생물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 결과는 탄산염광물 형성미생물과 층상규산염광물에 의한 중금속과 방사성물질(예: Cs)로 오염된 오염수 정화 및 천부지권에서 이와 같은 오염물질의 이동과 차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현재 시도되는 탄산염 광물 활용분야(건축, 토목 외)에서는 탄산염 형성능력이 보고된 한정된 미생물의 종, 생장 환경(호기성/혐기성 환경, pH, 염도, 온도 등)의 조절 어려움, 일정반응 시간의 소요 등의 한계점으로 실용화 단계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 발굴한 다양한 토착 탄산염형성 미생물의 활용은 산업적 활용분야의 폭이 확장되고 실용화를 앞당기는데 기여할 것이다.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1516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