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CO<sub>2</sub> 지중저장소 저장효율 향상 및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책임자 박권규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Ⅳ. 단계 연구개발결과 1. 대규모 지중저장소 유망구조 확보 및 주입 시나리오 도출 가. 유망구조 지질모델 도출 및 개선 ○’20년 및 ’21년 서해 군산분지 동 소분지 지역에서 2D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고, 처리/해석을 통해 지질 층서 및 구조를 규명함 ○기존 탄성파 탐사 및 시추공 자료와 더불어 신규 탄성파 탐사를 종합, 탄성파 층서를 해석하고, 탄성파 속성분석을 통해 퇴적환경을 분석함 ○탄성파 속도분석을 통해 속도모델을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유망구조 3D 지질모델을 개선하고, 탐사시추 후보지 선정에 활용하도록 다부처 사업에 제공함 나. 주입 시나리오 도출 ○TOUGH2를 이용한 수치모델링을 통해 ⓵ 다중 주입정 활용시 주입성과 저장층 내 압력 변화 양상, ⓶ 주입정 수직적 온도 변화와 ⓷ 상대투과도 및 모세관압 특성에 따른 염침전이 주입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주입 및 운영상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의 목록화 및 평가 기반을 확보함 ○CO<sub>2</sub> 상 변화 평가를 위한 유동 조건 하 연속식 실험 설비를 설계, 구축하고 탄산염 광물 용출 실험과 회분식 고압반응기(autoclave)를 사용한 심부 조건에서의 용출 및 광물 탄산화 모사 실험을 통해 현무암으로부터 Mg 용출을 확인함으로써 Mg-탄산염이 생성 가능성을 확인함 ○극저투수암의 투수계수 및 비저류계수 등 수리물성 측정 시스템과 유동 조건에서의 전단거동 평가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고 동해가스전 시료를 대상으로 잠재 덮개암의 투수계수와 비저류계수를 측정으로써 덮개암층 내 압력 확산 평가 기반을 확보함 ○암반 내 열-수리-역학적(T-H-M) 복합거동 해석을 통한 CO<sub>2</sub> 저장효율 및 부지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열수리 유동해석 프로그램인 OpenGeoSys와 암반거동 해석프로그램인 FLAC3D를 파일 기반 순차 연계 방식으로 연동한 새로운 수치해석 기법(OGSFLAC)을 설계, 개발하고 해석해가 존재하는 벤치마크 모델인 Terzaghi의 1차원 압밀 문제에 대한 해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다양한 조건에서의 주입효율 및 안전성 평가 기반을 확보함 ○CO<sub>2</sub>CRC ICCSEM 2.0 모델을 기반으로 국내 여건과 자료를 반영하여 주입정 운영 시나리에 따른 비용을 추정하고 주입정 여건에 따른 비용효율적 주입률 향상 기준을 분석함으로써, 최종 후보지 선정 및 주입 시나리오별 선정 단계에서의 경제성 평가 기반을 마련함 2. 주입효율 향상 및 평가 기술 개발 ○화학첨가제에 의한 상대유체투과도 개선을 평가하기 위해 CO<sub>2</sub> 코어 유동 통합 시스템을 기반으로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고 베레아 사암 시료를 이용해 화학첨가제에 의한 상태유체투과도 및 계면장력과 접촉각의 변화를 평가함으로써 계면활성제 활용에 따라 상대유체투과도, 계면장력 및 접촉각의 개선을 실험적으로 확인 ○주입효율 평가를 위해 코어 규모 추적자 실험장치를 설계, 구축하고 추적자 주입 코어 규모 실험과 이와 연계한 수치모델링을 통해 이상(2-phase) 유동 시스템에서의 농도이력곡선을 특성화 하고, CO<sub>2</sub> 포화도 차이에 따라 추적자 ⓵ 도달시간, ⓶ 피크 도달 시간, ⓷ 피크 농도, ⓸ 하강곡선의 형태의 차이를 확인함 3. 안전성 향상 및 평가 기술 개발 가. 효소 활용 생광물학적 기밀성 향상 기술 개발 ○우레아제 효소와 우레아-칼슘 용액의 농도, 초기 pH와 온도 조건 등 다양한 조건에서의 방해석 침전을 유도하고, 그 생성 정도를 SEM 및 XRD 분석 등을 평가함 ○CO<sub>2</sub> 유동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고, CO<sub>2</sub> 유동 조건 하 베레아 사암 시료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고 편광현미경 및 SEM-EDS 분석을 통해 실제 암석 공극 내에서의 반응여부를 확인함. 실험간 주입압 상승과 실험 전, 후 수리/암석 물성 변화를 측정, 분석을 통해, 기밀성 향상 여부와 그와 연관된 물성 변화 양상을 분석함 나. 광섬유 미소진동 모니터링 기술 개발 ○광학계 구성 및 성능 개선, 미소진동 자료수집 시스템으로서의 성능 추가, UI와 데이 터 처리 속 및 안정성 개선을 통해 원시형 분포형 광섬유 진동계측 시스템(DVS)의 성능을 벤치마크용 DVS 시스템 대비 약 85% 수준까지 향상시킴 ○대용량 광섬유 미소진동 신호의 처리 효율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SNR 향상을 위한 전처리 기법과 ML 기반 이벤트 감지 및 분류 알고리즘을 개발함. 무작위 숲 및 합성곱신경망 기반 지도학습 기반 이벤트 분류 알고리즘의 경우 3성분 지진계 자료 대해 각각 84%, 89%의 정확도를 보이는 반면 광섬유 자료에 대해서는 이보다 낮은 정확도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광섬유 자료의 경우 전처리를 통한 SNR 향상과 처리효율 향상을 위한 고속 분산처리의 필요성을 확인함 (출처 : 요약문 8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1020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