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폐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1,4-butanediol, 1,5-pentanediol 및 1,6-hexanediol으로 직접 전환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분획·케스케이드 탄뎀 공정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성균관대학교
연구책임자 김재훈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요 폐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약물전구체, 코팅, 접착제, 식품첨가제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정밀화학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1,4-butanediol (1,4-BDO), 1,5-pentanediol (1,5-PDO) 및 1,6-hexanediol (1,6-HDO)를 고수율로 제조하기 위한 분획 및 전환 융합 공정을 개발함. 기존 폐목질계 바이오매스의 분획 및 전환공정의 한계인 고비용·고에너지·유해 케미컬 소모형 다단계 분리·정제와 전환공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 폐목질계 바이오매스의 탄뎀 (tandem) 촉매 분획·분리공정: 폐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고상 셀룰로오스, 액상 furfural 용액 및 액상 리그닌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탄뎀 분획, 분리 및 전환 반응을 연구함. ❍ 기존 모델 화합물의 다단계 전환 및 분리공정 연구 한계에서 탈피하여 살제 폐목질계 바이오매스 분획 산물의 One-pot, Cascade 신규 전환 공정을 도출하기 위한 다기능성 (multifunctional) 탄뎀 촉매 전환 공정: 폐목질계 바이오매스 구성성분 맞춤형 다기능성 탄뎀 촉매를 이용하여 폐바이오매스에서 분획된 고상 셀룰로오스로부터 1,6-HDO cascade 합성 공정 연구, 분획시 발생하는 Furfural 용액으로부터 1,4-BDO 및 1,5-PDO one-pot, cascade 합성 공정을 연구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폐목질계 바이오매스의 통합 활용을 위해 고체 셀룰로오스, fufural 수용액, 리그닌 유기용액으로 분리하기 위한 cascade 공정 개발을 성실히 수행함. Birchwood를 원료로 이용하고 0.25 wt%의 Pd가 담지된 Pd<sub>0.25</sub>/CN<sub>x</sub>촉매를 이용하여 리그닌 유래 오일 및 고상 셀룰로오스 분획을 수행하였으며, 고상 셀룰로오스의 다이올 및 다이엑시드 전환공정을 개발함 ❍ 폐목질계 바이오매스 분획공정의 부산물인 furfural 수용액으로부터 one-pot 산화-수소화 cascade 전환을 이용한 1,4-BDO 합성공정 개발을 성실히 수행함. Ru-ZrO2계 신규 촉매를 이용한 고수율 1,4-BDO합성공정을 개발함 ❍ Furfural 수용액으로부터 one-pot 수소화-탈수화-개환-수소화 cascade 전환을 이용한 cyclopentanone (CPO) 중간체 합성 및 one-pot Bayer-Villiger 산화-가수분해-산화 cascade 전환을 이용한 1,5-PDO 합성공정 개발을 성실히 수행함. Ni-Co-Al 삼성분계 non-noble metal촉매를 이용하여 furfral로부터 고수율 1,5-PDO 합성 기술을 개발함 ❍ 폐목질계 바이오매스 분획공정에서 생산되는 고상 셀룰로오스로부터 가수분해-산화 cascade 전환을 이용한 glucaric acid 제조 (GA) 및 GA로부터 one-pot 수소화 cascade 전환을 이용한 adipic acid (AA) 합성, AA로부터 산화를 이용한 1,6-HDO 합성공정 개발을 성실히 수행함. Ru-Re계 또는 Ru-Mo계 촉매를 이용하여 glucaric acid로부터 one-pot 1,6-HDO 합성기술을 개발함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목질계 바이오매스 신규 분획공정으로 제조되는 리그닌오일은 향후 수첨탈산소 공정으로 바이오항공유에 활용 가능함. 바이오항공유 적용을 위한 추가 연구를 수행할 계획임. ❍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일부로부터 고가의 1,4-BDO, 1,5-PDO, 1,6-HDO (또는 AA)를 제조할 경우 에탄올 및 고부가 바이오화학소재를 병합 생산하게 되어 바이오 리파이너리 공정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음. ❍ 기존 분획개념에서 탈피하여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부터 고부가 화학소재를 제조하기 적합한 분획 및 furfural을 고수율로 획득하기 위한 반응·분리공정에 대한 원천 기술을 확보함. 기존 연구와는 달리 lignin/hemicellulose 추출을 위한 신규 촉매 합성 및 촉매공정 개발 및 리그닌의 고부가 화학소재 (향수산업, 식·음료 바이오향료, 화장품 산업 등) 활용 연계 기술 확보가 기대됨.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0872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