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인-시츄 용융중합법에 의한 나노셀룰로오스-바이오플라스틱 제조: ppm 수준의 필러에 의한 강한 보강효과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책임자 황성연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인-시츄(In-situ) 용융중합법으로 5,000ppm 이하의 나노셀룰로오스 천연유기 필러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2배 이상의 기계적 물성강화 효과를 보이는 바이오플라스틱 합성 및 응용연구 수행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나노셀룰로오스 분산법 - 나노셀룰로오스의 재분산성의 어려운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열 건조시부터 부탄올을 첨가하여 탈수반응에서 재생되는 나노섬유들간의 수소결합을 억제하여 동결건조에 비해 건조속도가 12배가 빠르고 재분산을 용이하게 함 2. 나노셀룰로오스가 분산된 단량체로부터 바이오플라스틱 중합연구 - 친수성 소재인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CNC)을 친유성 고분자에 분산시키는 과정이 까다로워 물성향상이 어려웠으나, 반응 단량체인 1,4-BD에 분산시킨 후 반응 과정 동안의 응집을 막아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중합공정기술을 확보하였음 3. 나노셀룰로오스가 분산된 단량체로부터 바이오엘라스토머 중합연구 - DOE’s 12에 해당되는 친환경 단량체인 FDCA를 활용하여 바이오매스 함량 70% 이상을 함유하는 친환경 바이오엘라스토머 소재를 개발하였음 - FDCA의 구조적 문제로 인한 상분리의 어려움을 나노셀룰로오스 분산을 통해 극복하여 기존 석유계 엘라스토머보다 우수한 탄성 특성을 보유함 4. 나노셀룰로오스/슈퍼 엔지니어링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소재 응용 - 용도전개의 확장을 위하여 슈퍼엔지니어링 바이오플라스틱 복합소재(PSU)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0.15%의 나노필러만을 사용하여 Homo PSU보다 1.6배 더 높고 블랜딩 프로세스 제품보다 3.4배 더 강한 인장강도를 보유하는 소재를 개발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 바이오플라스틱 물성강화 연구는 기존의 유·무기 복합소재 연구에 집중되었으며, 무기소재의 함량이 3% 매우 높은 함량에서 효과를 보인다는 단점을 보였으나,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유·유기 복합소재의 중합공정을 확보하였으며, 소량의 유기나노필러(5,000ppm) 함량으로도 기계적 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 바이오플라스틱의 기능성 향상을 통한 상용화 가능성 연구로 확장시킬 수 있음 2. 기대효과 - 복합소재 시장에서의 친환경/고물성/가격경쟁력 확보를 통한 제품 상용화 - 나일론 소재 대체를 위한 생분해성 복합소재 개발로 생분해성 어망 적용 - 고탄성 엘라스토머 개발을 통한 수송기기용 자동차 소재 적용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1441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