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2021년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의 개선 및 활용기반 구축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책임자 이상남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II. 연구내용 1. 임시분류 근거•영향 모니터링 가. 분석배경 ■ 정규분류 편입의 평가관련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개정후보분류의 정부 R&D 규모 산정 및 기존 분류에 대한 영향 정도 모니터링 ● 개정후보중분류* 중 연구규모 산정이 필요한 신설, 분할 개정유형을 중심으로 모니터링 수행 * ’19년 중분류 개정타당성 평가대상 선정 평가(적합성 평가)를 통해 선정 ■ ‘근거 모니터링’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원시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정 후보중분류의 정부연구개발 규모를 산정하고 평균값과 비교분석 ● 산정된 개정후보중분류의 과제수, 연구비를 동일 대분류내 중분류의 평균 과제수, 연구비와 비교하여 분류 개설의 타당성 확인 ■ ‘영향 모니터링’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원시데이터를 활용하여 임시 분류가 정규분류를 대체할 경우 기존 정규분류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분석 ● 개정후보중분류로 변경될 수 있는 기존 정규분류관련 과제 수인 ‘영향범위’와 개정후보중분류로 변경될 시 기존 정규분류관련 연구비, 과제 수 변화인 ‘영향강도' 검토 나. 분석결과 (1) 근거 모니터링 ■ 16개 개정후보중분류관련 과제수는 2,379개로 전체 과제(45,006개)의 5.3%, 정부연구비는 8,275억원으로 전체 연구비(13조8,283억원)의 6.0% 에 해당 ● 과제수 기준 개정후보중분류 중 ‘유전학•유전체학’이 488개로 가장 많고 개정후 보중분류 전체 대비 20.5% 를 차지, 그 다음 ‘동물자원공학’(274개, 11.5%), ‘정보통신 융합 서비스’(264개, 11.1%) 순 ● 정부연구비 기준 개정후보중분류 중 ‘우주시스템’이 3,523억 원으로 가장 많고 개정후보중분류 전체 대비 42.6%를 차지, 그 다음 ‘동물자원공학(817억 원 9.9%), ‘유전학•유전체학’(660억 원, 8.0%) 순 ■ 개정후보중분류가 속한 대분류의 중분류 평균과 비교할 때 과제수 및 정부연구비가 모두 평균 이상(평균대비 비율 1이상)인 개정후보 중분류는 유전학•유전체학, 동물자원공학, 우주시스템 등 3개 * 과제수, 정부연구비 중 한 개만 평균이상인 개정후보 중분류는 재료화학, 인공자능사스템, 정보통신 융합서비스 등 3개 (2) 영향 모니터링 ■ 16개 개정후보중분류를 기재한 과제 현황인 영향범위는 과제수 기준 3,277개로 전체 과제(45,006개)의 7.3%, 정부연구비 기준 9,885억 원으로 전체 정부연구비 (13조8,283 억 원)의 7.1% 에 해당 ● 총 33개 대분류 중 영향범위에 있는 대분류는 30개이며 과제수 기준으로 ‘농림수산식품’(701개), ‘정보/통신’(593개), ‘생명과학’(581 개) 등의 규모가 크고 정부연구비 기준으로 ‘기계’(3,676 억 원), ‘농림수산식품’(1,369억 원), ‘정보/통신’(1,360 억 원) 등의 규모가 큼 ● 대분류 전체 과제 수 대비 개정후보중분류를 기재한 과제 수 비중은 ‘정보/통신’ (21.3%), ‘생명과학’(12.9%), ‘농림수산식품’(11.6%) 대분류 등이 높았음 ● 대분류 전체 정부연구비 대비 개정후보중분류를 기재한 연구비 비중은 ‘화학’ (18.1%), ‘정보/통신’(16.3%), ‘농림수산식품’(17%) 대분류 등이 높았음 ■ 16개 개정후보중분류 도입으로 인해 기존 대분류의 과제수, 정부연구비가 변동하는 영향강도는 과제수 총 2,379개 감식 연구비 총 8,274억 원 감소임 * 과제수 2,379개는 전체 과제(45,006개)의 5.3% 정부연구비 8,274억 원은 전체 연구비(13조 8,283억 원)의 6%에 해당 ● 과제수 기준으로 영향강도가 큰 대분류는 ‘농림수산식품’(634개 감소), ‘정보/통신’(499개 감소), ‘생명과학’(391 개 감소) 등이었으며 정부연구비 기준으로는 ‘기계’(3,541억 원 감소), ‘농림수산식품’(1,292억 원 감소), ‘정보/통신’(1,226억 원 감소) 등이었음 ● 대분류 전체 과제수 대비 증감 과제수 비중이 높은 대분류는 ‘정보/통신’(△ 17.9%), ‘농림수산식품’(△ 10.5%), ‘생명과학(△ 8.7%), ‘화학(△8.2%) 등이었음 ● 대분류 전체 정부연구비 대비 증감 정부연구비 비중이 높은 대분류는 ‘농림수산식품’ (△ 14.8%), ‘정보/통신’(△ 14.7%), ‘기계’(△12.1%) 등이었음 2. 정부 연구개발 융합연구 동향 기본 분석 가. 분석배경 ●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를 활용하여 국가 융합연구의 과제 규모 및 연구비 추이, 기술간 융합연구 현황 등을 분석하여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 최근 5년('16~’20)간 수행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융합연구에 대한 기본 현황 시계열 분석 - 연구개발단계, 연구수행주체, 부처, 기술분야, 협력유형 등 기본 주제관련 융합연구의 과제수, 연구비에 대해 시계열 현황 분석 * (융합연구 정의) 대분류 기준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표준분류를 동시에 포함하는 다학제 연구 나. 분석결과 ■ 총괄 현황 ● 2019년 대비 2020년 융합연구 과제수는 12,260개에서 12,533개, 투자액은 2조 5,997 억원에서 2조 9,940 억원으로 증가 * 5년(’16년~’20년)간 투자액 연평균 증가율은 융합연구 4.9%, 비융합연구(단일과제) 0.8%로 융합연구의 연구비 증가가 큼 ■ 연구개발단계별 현황 ● 기초연구를 중심으로 융합연구가 활발히 수행되며 관련 기초연구 과제수는 2016년 5,546개에서 2020년 7,976개, 투자액은 8,638억 원에서 1조 1,367억원으로 증가 ■ 연구수행주체별 현황 대학 및 출연연 중심으로 융합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2020년 대학은 과제수 기준으로 8,826개, 투자액 기준으로 1조 1,923억 원의 융합연구를 수행(각각 전체 융합연구의 70.1%, 39.8%에 해당) ■ 부처별 현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융합연구를 가장 많이 수행하며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중 융합연구의 과제수는 6,498개, 투자액은 1조 6,697 억 원(각각 전체 융합연구의 51.6%, 55/8% 에 해당) ■ 기술분야별 현황 ● 6T 중 융합연구는 BT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며 2020년 BT 분야는 과제수가 5,234개, 투자액 7,938억 원(각각 전체 융합연구의 41.6%, 26.5% 에 해당) ● 과학기술표준분류(연구분야) 중 융합연구는 정보통신(3,499억 원(11.7%)), 보건의료(3,347억 원(11.2 %)), 전기/전자(3,379억 원(11.2 %))에서 활발 ● 과학기술표준분류(적용분야) 중 융합연구는 공공분야에서는 건강(4,383억 원 (공공분야의 33%)), 산업분야에서는 제조업(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2,233 억 원(산업분야의 23.7%))이 가장 활발 ■ 협력유형별 현황 ● 융합연구는 산•학•연(3,302억 원(37.8%)), 학•연(2,718억 원(31.7%)), 산•학 (2,519억 원(28.2 %)) 협력유형에서 가장 활발 3. 정부 연구개발 융합연구 동향 심층 분석(연구주제) 가. 분석배경 ■ 융합연구와 비융합연구간 연구내용 차이 검토 ● 동일 대분류에서 융합연구를 수행하는 과제와 비융합연구를 수행하는 과제간 연구내용 차이 여부 검토 및 차별적 내용 검토 ● 연구내용의 차이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하위 분류 내 연구비 분포, 키워드 분포, 키워드 네트워크 관계 분석 등을 수행 나. 분석결과 ■ 국가연구개발사업 중 과학기술분야와 국방 연구개발사업 (인문사회분야 제외) 내 과제를 대상으로 분석 ● 2020년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72,315개) 중 인문사회를 제외한 과제 (64,051 개) 가운데 융합과제와 비융합과제를 대상으로 분석 ● 자연, 생명, 인공물 분야의 기술 대분류(16건)에 대해서 분석 수행 ■ 과학기술분야 대분류별(16개) 중분류, 소분류 기준 투자액 구성을 검토한 결과, 투자액 구성 측면에서 융합연구과제와 비융합연구과제간 연구주제 차이를 확인 ● 대분류별 융합연구과제와 비융합연구과제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연구주제, 연계구조 측면에서 이질성을 확인 ● 대분류별 군집분석 결과, 융합연구과제와 비융합연구과제 모두 군집은 다양한 중분류로 구성됨을 확인 4. 정부 연구개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0810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