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정규화 식생지수(NDVI)와 에머지(Emergy)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탄력도시 계획차별성 확보를 위한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연구책임자 김환용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요 ❍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특징에 맞추어 소규모 계획도시 단위에서의 에머지 방법론의 특성을 이용한 분석방법을 고안하고 에머지 평가표를 작성하여 이를 토대로 분석한 도시적 계획요소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음. ❍ 에머지 지수를 산정하여 국내의 도시와의 비교 및 대상지역 간의 결과 값 비교를 진행하여 각도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시계획에서의 적용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연구 목표 중 1개 항목을 제외하고 모두 충실히 이행하였으며 미흡한 1가지 항목에 대해서도 향후 개선방안을 통해 적극 보완이 가능하다 판단됨. ❍ 에머지 생산 중 재생 자원 비율(%Renew)의 경우 광교 신도시가 0.0012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평촌신도시가 0.00020로 가장 낮게 나타나 대한민국(0.02204)과 88배 차이가 남.또한,에머지 지속가능성 지수 (ESI)의 경우에도 평촌신도시가 0.00020로 가장 낮은 값을 가지며 환경에 주는 스트레스가 가장 큰 도시로 평가됨. 광교신도시가 0.00121으로 가장 큰 값을 가짐. ❍ 환경부하 비율 (ELR)의 경우 평촌 신도시가 4953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광교신도시가 833로 가장 낮음.한편,에머지 투자 비율 (EIR)의 경우 분당 신도시가 594로 가장 높게 나타나며,광교신도시가 184로 가장 낮은 값을 가짐. ❍ 에머지 지수 중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비교할 수 있는 항목 7개를 환경에 부담을 적게 주는 순으로 순위를 매겼을 때 평촌신도시의 경우 두 가지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최하점을 받음. ❍ 광교신도시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도시계획 과정에서 가장 환경적으로 부담이 적은 도시를 구성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음. ❍ 산본 신도시의 경우 판교신도시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에 1기 신도시와 2기 신도시의 차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신도시별 점수가 크게 나눠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따라서 1기와 2기 신도시 구성에 있어 친환경 계획 및 환경 부담에 대한 부분을 고려한 계획이 실행되었음을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음.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도시계획분야 ❍ 본 과제에서 다루는 많은 부분들은 도시계획 측면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 1, 2기 신도시 계획에 따른 GI 면적 변화와 각 도시별 에머지 산출량을 비교하여 도시계획의 실증적 기반을 마련하고,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도시계획적 요소와의 관계 정립을 통해 도시라는 물리적 기반의 효용에 대한 분석을 제시함으로 기술의 실현을 넘어서 도시계획에 대한 총괄적인 이해를 제공 가능. ❍ 또한, GI의 분포도 분석과 에머지량과의 비교를 통해 도심지 녹지보존 정책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효과적인 환경계획 등에 활발히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결과의 실증적 제안으로 최근 도시 및 건축계획의 중요 흐름인 탄력도시 디자인 및 친환경 정주환경 조성 등에 설득력을 부여할 수 있는 연구결과물이 도출되어 궁극적으로 건축, 도시, 토목, 공공보건, 조경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사용 가능. 2) 친환경 도시모델 구축 ❍ 최근 급격하게 주목을 받고 있는 탄력도시와 같은 경우 변화하는 기후환경에 대한 대응책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데 도심의 형태 구분을 통한 GI와 에머지량 상관관계 연구는 향후 거시적 관점에서 도시 구조물과 친환경계획의 교차점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됨. ❍ 본 과제에서 검증한 신도시 형태에 따른 GI비교 및 에머지와의 상관관계 분석은 향후 정부의 신도시 개발정책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국토관리, 도심지 재생, 재개발 및 신도시 개발에 필요한 친환경계획 증진방안의 단초로 활용되어질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1003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