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데이터공유를 통한 도시 재해재난 안전 및 사회안전 긴급구난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5-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책임자 이정민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ㅇ 본 세부과제는 2 핵심과제 도시 수요 기반 스마트시트 Use case 개발 중 2-2 세부과제로 데이터 공유를 통한 도시 재해재난 안전 및 사회안전 긴급구난 기술개발 과제임. 또한 2-2 세부과제는 재난정보를 수집하고 분석·예측하여 데이터기반의 재해재난 대응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도시데이터를 활용한 재해재난(수재해·폭염) 안전 기술 개발, 데이터 공유를 통한 긴급구난(화재·구급대)기술 개발을 통하여 대구시 실증을 목표로 하고 있음 ㅇ Use Case 서비스를 통해 재해재난 안전 분야에서는 경사지 붕괴, 수재해, 폭염 등으로 발생되는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에 대하여 최대 20% 저감에 기여를 목표로 하며, 사회안전 긴급구난 분야에서는 골든타임 내 사고현장 도착률 80% 달성에 기여하고자 함 전체 내용 ㅇ 본 과제를 통해 상세 위치기반 실시간 수재해 예·경보 서비스와 상세 단위 폭염정보 제공 및 저감 서비스, 긴급구난(화재·구급대)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ㅇ 모든 서비스는 데이터 수집, 데이터 공유, 데이터 전파 3단계로 구성되며,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경사지 붕괴 위험 정보, 도시침수 위험 정보, 폭염 정보, 화재 정보, 사고 정보)가 안전플랫폼 및 데이터허브에 공유되어 분석되며, 분석(예측)된 정보는 구호부서 및 재난상황실과 연계되어 도시안전 모바일 앱을 통해 시민에게 경보를 전파하는 시나리오를 가짐 ㅇ 상세 위치기반 실시간 수재해 예·경보 서비스에서는 경사지 붕괴 위험 예측정보, 도시 침수 위험 예측정보를 생산하여 상황별로 상세 위치기반 위험 정보를 시민에게 제공 ㅇ 상세 단위 폭염 정보 제공 및 저감 서비스에서는 기상청에서 관리하는 기상정보 보다 좁은 범위에서의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함으로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폭염 취약 정보 제공 및 폭염저감 시설 운영을 통한 폭염 쉼터 제공 ㅇ 긴급구난 지원 서비스에서는 IoT 화재감지기 및 스마트폰의 자이로, 가속도 센서값을 통한 사고정보를 생성하여 구호부서에 상황을 전달하고 요구조자의 위치정보, 실시간 교통정보 등을 활용하여 구호부서의 출동을 지원하고자 함 1단계 목표 ㅇ 기초자료 수집 및 파일럿 시스템 개발을 통한 실증 기반 마련 내용 한국토지주택공사 ㅇ 폭염 저감 장치 Piot Test 구축 및 운영을 통한 대구시 Test-bed 기본계획 수립 ㅇ 1핵심 Massive IoT 네트워크 기술 연계 검토 SK텔레콤 ㅇ 개발 단계의 데이터 정의, 연동 협의서 ㅇ 연계 시스템 개발 시 이슈사항 협의서 고려대학교 ㅇ 경사지 붕괴 위험인자 필터링 기법 ㅇ 경사지 붕괴 위험인자 관리 파일럿 시스템 한국과학기술원 ㅇ 기존 경사지 붕괴 예·경보 시스템 문헌조사 ㅇ Test-bed 후보지 선정을 위한 현장 지형조사 ㅇ 현장 지반 물성 분석 ㅇ 경사지 붕괴 예측 모델 및 시스템 개발 ㈜헥코리아 ㅇ 홍수지도 현황 조사 및 수재해 취약성 분석방법 정립 ㅇ 홍수취약성 지도 개발 ㅇ 도시홍수 예측을 위한 1, 2차원 모형구축 및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범시스템 개발 ㅇ 홍수지도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온품 ㅇ Segment 모델링 기본설계서 ㅇ 경사지 붕괴 및 도시홍수 자료조사 보고서 ㅇ 메시지전송모듈 기본설계서 ㅇ Segment 상세설계서 ㅇ 재난상황 대응메지시 조사보고서 ㅇ 메시지전송모듈 작성 경북대학교 ㅇ 센서값 기반 교통사고 발생 판단 및 상황인식 기술 분석 ㅇ 네트워크 기반 위치정보 수집 기술 비교분석 ㅇ 현장조사를 통한 IoT 화재감지기 선정 및 테스트베드 구축 ㅇ 안전시스템 서비스 시나리오 설계 경일대학교 ㅇ 출동부서 선정 분석을 위한 공간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 ㈜유엔이 ㅇ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 설계문서 ㅇ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 ㈜넥스모어시스템즈 ㅇ 안전플랫폼 및 모바일 앱 설계 ㅇ 사건/사고 신호발생 패턴 관리 시스템 설계 서울대학교 ㅇ 조경과 스마트 나노미스트 가로등을 이용한 폭염저감 모형 설계 (폭염 저감시설 실내 실험 모형) ㅇ 조경과 스마트 나노미스트 가로등을 이용한 폭염 저감기술 입지선정 ㈜유비이엔씨 ㅇ 폭염저감기술 테스트 및 자료조사 ㈜이도 ㅇ 재해 저감장치 제어 및 운영을 위한 각종 센서 조사 및 연계·제어방식 정의 ㅇ 초연결 무선통신 적용을 위한 선행기술 조사 ㅇ 제어기기와 초연결 무선통신 연계 방식 정의 ㈜케이씨티이엔씨 ㅇ 초연결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저감장치 제어기기 및 시스템 연동 기반 확보 ㅇ 운영관리시스템 개발 계획 수립 한밭대학교 ㅇ 관측 수위자료 기반 유수지 수위변동 예측기술 개발 충북대학교 ㅇ 추가저류공간 확보를 위한 자동운영 기술 개발 ㈜아이오티솔루션 ㅇ IoT 기반 수위 모니터링 프로토타입 개발 2단계 목표 ㅇ 대구광역시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실증 구축 및 시운영을 통해 개발 모델을 검증하고 데이터허브 내 구축기반 마련 내용 한국토지주택공사 ㅇ 폭염 정보 수집장치 Test-bed 구축 및 운영 ㅇ 시민 정보 제공을 위한 키오스크 시작품 제작 및 실증 ㅇ 폭염정보 수집을 통한 실시간 폭염지도 생성 SK텔레콤 ㅇ Data Hub 연계 시스템 연동 검증 고려대학교 ㅇ 실시간 무선 경사지 붕괴 위험인자 관리 시스템 개발 및 개선 한국과학기술원 ㅇ 급경사지 예·경보 시스템을 개선하고 이를 이용하여 Test-bed 정상 운영 ㅇ 경사지 붕괴 예측 알고리즘 개발 및 적중률 평가 ㅇ 개발된 모델 검증 및 시스템 운영 ㈜헥코리아 ㅇ 시범대상지역 수위계측 장비 설치 및 운영 ㅇ 도시홍수 상황인지 1차원, 2차원 시스템 개발 ㅇ 시스템 검증 및 확대 구축 ㅇ 시범대상지역에 대한 홍수지도 제작 및 표출시스템 개발 ㈜온품 ㅇ Segment 기반 긴급메시지전송 시스템 SW개발 ㅇ 재난정보 메시지 최적화 설계보고서 ㅇ 경사지붕괴 및 홍수 상황전파 메시지생성 소프트웨어 개발 ㅇ 테스트베드 연동시험 결과보고서 (Segment기반 긴급메시지전송시스템/위치기반 실시간 재난사고정보제공시스템) 경북대학교 ㅇ 자이로 및 가속도 센서값 분석을 통한 사용자 동작인식 신뢰도 70% 달성 및 네트워크 기반 측위 시스템 구축 ㅇ 테스트베드 구축 및 데이터 연동체계 구축 ㅇ 화재안전시스템 서비스 시나리오 고도화 및 만족도 조사 경일대학교 ㅇ 실시간 데이터 연동을 통해 안전플랫폼 기반의 출동부서 선정 SW 개발 ㅇ 긴급차량 운선신호 제어장비 설치 ㅇ 출동지시 지원 서비스 시스템 개발, 키오스크 타입의 긴급구난 주체- 주민 간 원격 영상 공유 장치 개발 ㅇ 신호제어 환경에서 긴급차량 출동시 보행자 안전 지원을 위한 IoT기반의 볼라드형 경보장치 개발 ㈜유엔이 ㅇ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2단계 시스템) 구축 및 필드테스트 ㅇ 위기경보수준 관리시스템 모바일 개발 ㈜넥스모어시스템즈 ㅇ 안전플랫폼 및 모바일 앱 SW 개발 ㅇ 안전플랫폼 및 모바일 앱 고도화 기능 개발 ㅇ 사건/사고 신호발생 패턴 관리 SW 개발 서울대학교 ㅇ 저감기술 설치 후 실증 단지 시뮬레이션 ㅇ 기술도입 배치 등을 포함한 마스터플랜 ㅇ 마스터플랜 제작을 위한 표준화 매뉴얼 개발 ㈜유비이엔씨 ㅇ 폭염저감기술 현장구축 ㅇ 폭염저감기술 검증 및 유지관리 매뉴얼 ㈜이도 ㅇ 환경센서 및 저감장치 제어기기 인터페이스 정의 ㅇ Massive IoT 연계 프로토콜 정의 ㅇ 초연결 무선통신(LPWA) Module 탑재된 저감장치 제어기기 개발 및 시험(폭염 저감장치 제어기기 동작제어) ㈜케이씨티이엔씨 ㅇ 폭염저감서비스 대응 운영관리시스템 개발 ㅇ Massive IoT 기반의 서비스 데이터 연동 ㅇ 안전플랫폼 연계 폭염 대응 운영관리시스템 최적화 한밭대학교 ㅇ 빗물펌프장 유입량 및 펌프 토출량 관계를 고려한 수위 변동에측 기술 개발 충북대학교 ㅇ 빗물펌프장 자동운영 기술 개발 및 검증 ㈜아이오티솔루션 ㅇ IoT기반 빗물펌프장 수위 센싱 및 통합 모니터링 관제시스템 실증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ㅇ 화재 검출 인공지능 영상 분석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ㅇ 실제 CCTV 시스템과 AI소프트웨어 모듈 연동 ㅇ 연기 및 화재 탐지 알고리즘 고도화 플랜트에셋(주) ㅇ 안전플랫폼 사용자를 위한 최적화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0342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