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미국, 미국의 국가 바이오 경제 청사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09-26 00:00:00.000
내용 생명과학 관련 경제활동이 급증하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lsquo;바이오 경제 rsquo;에 대한 정책적 논의가 확산. 미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은 lsquo;12년 4월 바이오 경제 성장을 위한 연방 차원의 전략목표와 실행과제를 제시하는 「국가 바이오 경제 청사진」 을 발표 □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 #65381;혁신에 따른 경제활동이 급증하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lsquo;바이오 경제(Bioeconomy)'에 대한 정책적 논의가 확산 ※ 바이오 경제 : 생명과학으로부터 발현된 새로운 발견, 제품, 서비스를 통해 인류가 편익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경제 활동을 포괄(OECD) ○ 노령화, 건강, 에너지, 환경, 제조공정, 농업 등 경제사회 각 방면에서 생명과학을 통한 혁신 방안이 급증하는 가운데, 이를 통한 산업 발전 및 일자리 창출 잠재성도 고조 ○ 미국 정부는 바이오 경제의 성장 잠재력과 사회적 편익을 감안해 이를 과학기술정책 우선대상으로 고려하고, 지난 4월「국가 바이오 경제 청사진」을 발표 ※ (참고) 바이오 경제에 대한 주요 정책 논의 ▷ OECD('09.4) The Bioeconomy to 2030 - 바이오 경제 현황 및 전망, 바이오 경제의 정책 방안 등 ▷ 유럽연합('12.3) Innovating for Sustainable Growth: A Bioeconomy for Europe - 바이오 경제를 위한 연구 #65381;혁신 #65381;인력에의 투자, 바이오 경제 부문에서의 시장 및 경쟁력 발전, 바이오 경제 패널(Bioeconomy Panel) 등의 창설을 통한 정책 협력과 참여 장려 등의 내용이 포함 ▷ 미국('12.4) National Bioeconomy Blueprint - 바이오경제의 파급효과, 연방 차원에서의 전략목표 및 실행과제 등의 내용이 포함 □ 바이오 경제는 미국의 대표적인 기술주도경제(technology fueled economy) 분야로 건강, 에너지, 농업, 환경 등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 ○ lsquo;10년 미국 농업 분야에서 유전자변형농작물로 발생한 매출은 760억불, 유전자변형시스템 기반 산업생명공학기술 관련 매출은 1천억불로 추정 □ 현재 미국 바이오 경제 발전은 유전공학, DNA 시퀀싱, 생체분자 자동고속대량조작* 등 3개 기초기술에 기반을 둠 * 생체분자 조작이란 항원, 항체, 효소, 기질 등 생체분자 개체를 인위적으로 조작해 응용하는 기술로, 최근 나노기술의 발전으로 생체분자 개체를 단시간에 대량으로 자동 분리해내는 등의 기술 발전이 이루어지는 추세 ○ 향후에는 이러한 기초 기술 발전과 함께 합성생물학, 단백체학, 생물정보학 등이 성장 기술이 될 전망 □ 미국 정부는 연방 차원에서 바이오 경제의 잠재성을 실현할 수 있는 5개 전략 목표 를 설정 ○ (R D 투자 지원) 전략적인 측면에서 국가 바이오 경제 아젠다를 형성할 수 있는 R D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 - 합성생물학, 생물정보기술, 단백체학 등 최근 부상하고 있는 생명공학 기술 발전을 위해 부처간 협력 강화 ※ 데이터 집약적 연구 #65381;교육의 인프라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부처간 협력 정책인 국립과학재단의「21세기 과학 #65381;공학 사이버인프라 프레임워크('11.2)」는 대형 데이터가 필요한 바이오 경제 분야의 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 - 학문간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최근의 기술 발전 양상을 감안해 물리학, 화학, 엔지니어링, 컴퓨터공학, 수학 등을 바이오 경제에 접목 - 고위험 #65381;고수익 연구 지원을 위한 자금 조달 메커니즘을 새롭게 구축하거나 현재의 메커니즘을 개선 ※ 국립과학재단은 '12년 연구개발 지원 시범사업으로 lsquo;창조적 연구상(Creative Research Awards for Transformative Interdisciplinary Ventures) rsquo;을 신설하여, 그동안의 연방 연구 예산 제약, 보수적인 연구 주제 등에서 벗어나 고위험 #65381;고수익형 다학문 연구에 대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추진 ○ (사업화 촉진) 새로운 생명과학기술이 발견이 조속히 사업화될 수 있도록 중개과학 및 규제과학적 측면에서 노력을 강화 - 기업가정신, 중개과학*, 규제과학**, 기술이전 등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특히 중개과학 및 규제과학에 대한 전략적 투자가 필요 ※ 중소기업혁신연구프로그램(SBIR) 등에 참여하는 정부 기관은 기업의 사업제안서를 기업가정신, 중개과학, 규제과학, 기술이전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기관내 인력과 산업 전문가를 확보해야 함을 명시 * 중개과학(translational science) : 기초 분야의 연구를 실제 적용이 가능한 형태(질병치료, 의약품개발, 의약품평가)로 개발하는 과학기술로 주로 의료 #65381;건강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며, 기초연구와 임상연구를 이어주는 단계의 과학기술을 지칭 ** 규제과학(regulatory science) : 과학기술이 가지는 리스크를 예측 #65381;평가해 그 안정성과 위험성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과학으로, 식품, 의약품 등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관리를 위해 필요 - 대학 연구에 산업계를 참여시켜 기업가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으로 학술 연구 결과의 사업화를 도모 ※ 국립과학재단은 그동안 지원한 기초기술 성과 중에서 즉각적인 적용이 가능한 기술들이 있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기초기술의 혁신기술로의 전환 및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이전에 학생 참여 확대를 목표로 '11년 I-Corps (Innovation Corps) 프로그램을 창설하였고 '12년에는 이를 확대할 예정 - 바이오 기반 제품에 대한 연방정부의 구매를 활성화해 시장확대, 혁신증진, 일자리 창출을 유도 ※ '12년 2월 오바마 대통령은 #65378;지속가능한 바이오 기반 제품 조달을 통한 농촌 지역 혁신 촉진 및 일자리 창출 #65379;을 지시 ○ (규제장벽 완화) 규제 프로세스의 속도 및 예측성 개선, 비용감소, 인간 #65381;환경 건강 보호 등을 위한 규제 개발 및 개혁을 추진 - 규제 프로세스의 개선을 위해서는 정부기관이 관계자들과 협력해 기술 진보와 투자에 관련된 요구사항과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주관기관 책임, 지원 기관 역할, 시의적절한 구체적 지침 등을 명확히 제시 ○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선) 국가적 차원의 인력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교육기관에 제공하는 인센티브를 학생 교육훈련과 연계 - 고용주-교육자 파트너십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 및 학생 교육훈련에 대한 산업계의 참여를 확대 ※ '10년 출범한 산업계 주도의 lsquo;미국 미래 역량(Skills for America's Future) rsquo; 이니셔티브에서는 기업이 커뮤니티 칼리지와 제휴해 교육과정개발에 참여 - 교육기관에 인센티브를 제공해 기업가정신을 강화하고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조조정을 실시 ※ 교육노동부는 '13년 중 주립대학 및 커뮤니티 칼리지와 기업들의 파트너십을 통해 숙련 인력을 양성하는 lsquo;커뮤니티 칼리지 커리어 펀드(Community College to Career Fund) rsquo;를 신설하고 80억불을 투입할 예정 ○ (민관파트너십 및 경쟁전 공동연구 지원) 바이오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관파트너십 및 경쟁전 공동연구에 대해서 인센티브를 제공 - 건강, 에너지, 농업, 제조업 등의 분야에서 정부 투자, 민간 투자 및 전문가 양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민관파트너십을 장려 ※ (참고) 경쟁前 공동연구(pre-competitive collaboration) ▷ 개념 : 경쟁자들이 모두에게 편익이 될 수 있도록 과학적 발견 초기 단계에서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고 성과를 일반 공개하는 연구 방식 ▷ 1) 안전성예측시험 컨소시엄(Predictive Safety Testing Consortium, PSTC) - '06년 미국 및 유럽의 정부기관, 기업, 대학 등이 신약의 안전성 테스트를 위해 결성 - 8개 메이저 제약기업들이 신약개발 초기단계에서 진행되었던 독성시험에 대한 자료를 공유하고, 공유된 정보는 애리조나 대학 내 크리티컬 패스 연구소(Critical-Path Institute)에서 총괄 관리 2) 독성유전체학 프로젝트 - '02 sim;'06년 일본 후생노동과학성 및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 주관으로 15개 제약사가 참여 - 제약사들은 동물실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부작용 때문에 임상개발을 중지한 17종의 화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 출처 : 미국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 (2012.4.25)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120001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