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일본, 「Science Map 2006」의 주요내용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12-22 00:00:00.000
내용 1. 개 요 ○ Science Map은 학술지 인용 및 국가별·기관별 공동저자 등을 조사하여 과학기술의 구조를 2차원의 지도형태로 파악하는 분석 수단 ※ Small and Garfield(1985)의 연구를 시작으로 미국과 EU에서 최근 활발히 이용되나, 한국은 이재윤(2005, 2007)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관련 연구가 전무한 실정 ○ 일본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는 자연과학의 동적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Science Map 2004('07년 발간)에 이어 Science Map 2006 발간('08.11월)* * Science Map은 (i) 개별 연구영역 맵 (ii) 학문분야 연계 맵 (iii) 연구분야 연계 맵으로 구성되며, NISTEP에서 웹상으로 제공하는 Highlight는 '연구분야 연계 맵'에 국한 - 논문간 clustering을 통한 연구분야의 구조화, 연구영역의 시각화, 주요 연구영역에 대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결과 수록 [Science Map 2006 ] ○ '01~'06년간 발간된 피인용도 상위 1% 논문 5만여편을 clustering하여, 697개 연구분야를 도출하고, 이 중 124개를 핵심 연구분야로 선정하여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실시 - 논문의 축적 정도가 항공지도상의 고도와 동일한 개념이며, 축적 정도가 특정 기준치 이상이면 핵심 연구분야로 지정 - 핵심 연구분야의 Science Map은 [첨부 1]에 제시 2. 주요 결과 □ Science Map 2006의 주요결과 ○ 입자물리학/우주론과 생명과학이 가장 높은 밀도를 보이나 타 연구분야와의 관계에서 각기 다른 특성 ([첨부 1] 참조) - 입자물리학/우주론은 타 연구분야와 제한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논문들이 좁은 영역 내에 집중된 형태 - 반면, 생명과학은 연구주제가 다양하여 넓은 영역에 걸쳐 분포하며, 타 연구분야와의 연계가 활발 □ Science Map 2004와의 비교분석 ○ 생명과학 연구에서 post-genomics는 식물과학과 심혈관·뇌연구·비만·암·감염 등의 동물과학 연구와의 가교역할 수행 ○ 화학합성과 나노과학 분야 연구가 '04년에 비해 더욱 확대되었으며, 두 분야간 연계도 강화 ※ 나노과학의 경우, '04년 1개 연구분야에서 '06년 3개 분야로 확대 ○ 고체물리학에서는 양자컴퓨팅과 초전도가 핵심 연구분야로 부각되어 관련 논문이 급증 □ 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 vs 다학제(multidisciplinary) 연구 ○ Science Map에서 학제간 연구와 다학제 연구의 구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차별화된 촉진정책의 추진 가능 - 학제간 연구에 속하는 나노과학은 물리학과 화학합성 중간에 명확하게 위치하나, 다학제 연구에 속하는 환경연구는 널리 분산 - 학제간 연구 촉진을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연구개발 단계가 맞아 떨어지는 시기에 공동연구의 장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 - 다학제 연구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 후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가진 연구자들이 모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 [학제간 연구'와 '다학제 연구'의 차이] ○ '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는 물리학·화학 등 독립된 연구분야가 공유된 지식에 기반하여 상호협력을 통해 연구를 수행 (ex. 나노과학) - 각 연구분야가 동일한 연구개발 단계(ex. 연구방법·연구목표 등)에 있어야 학제간 연구가 추진 가능 ○ '다학제(multidisciplinary) 연구'는 연구목적의 공유에 기반하여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과학적·사회적 문제를 해결 (ex. 환경) □ 미국·일본·중국 비교 ○ 미국은 전체 분야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생명과학에 집중 ○ 일본은 인공광합성 분야가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124개 핵심 연구분야의 비중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 ※ 124개 핵심 연구분야의 일본 논문 비중 : 9.1%('04) ⇒ 9.6%('06) ○ '04년 나노과학에 국한되었던 중국이 '06년에는 나노과학의 비중을 더욱 확대함과 동시에 생명과학 분야에서도 두드러진 성과 - 식물과학 분야 연구의 활성화가 생명과학 분야 성과창출로 연계 3. Science Map의 향후 발전방향 □ 주기적인 Science Map 구축 ○ 주기적인 Science Map 구축을 통해 한 분야의 과학적 혁신이 타 연구분야에 미치는 동적인 변화 파악 ○ trend 분석을 통해 미래 유망기술 도출에도 활용 □ Science Map과 다른 통계자료와의 연계 강화 ○ 국가별·분야별 연구개발 자원 배분 정보를 결합하여 Science Map의 현실설명력을 제고 ○ 공동저자(co-authorship)에 대한 심층조사를 통해 과학적 지식 창출에 있어서 연구자간·연구기관간 상호작용 관계 분석 가능 □ 과학과 기술의 연계 ○ Science Map은 연구논문 형태로 발간된 과학 연구에 국한되어 있으나, 특허 정보를 활용한 Technology Map과의 연계 필요 ○ 특허에 인용된 연구논문 정보를 활용하면 Science Map과 Technology Map의 연계가 가능하며, 과학으로부터 지식으로의 지식의 흐름도 파악 가능 □ Science Map을 논의의 장으로 활용 ○ Science Map을 활용하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자신의 기술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폭넓은 시각으로 의미있는 의견 개진 가능 ○ Science Map이라는 동일한 논의의 장을 공유함으로써 서로의 거리감을 줄이고, 연구자간·정책입안자간 논의를 촉진하는데 기여 4. 정책적 시사점 □ Science Map은 과학기술 정책수립에 있어서 MRI, CT와 같은 기능 ○ Science Map은 과학기술의 현주소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포괄적으로 제공해주는 분석틀의 기능 ○ 과학기술 전 분야에 걸친 폭넓은 시각으로 문제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R D 투자결정 등 과학기술정책 수립에 있어 유용한 툴 □ 정부차원의 Science-Technology Map 구축 필요 ○ Science-Technology Map 구축에 필요한 논문 #8228;특허 DB 등은 개인적 차원에서 구축이 불가능하므로 정부차원의 추진 필요 ○ '08년 기술수준평가(90개 중점과학기술, 364개 세부기술) 결과(기술수준동향서, 논문 #8228;특허분석 자료 등)를 바탕으로 기술키워드 정교화 등 Science-Technology Map 기반을 구축할 예정 [첨부 1] 핵심 연구분야의 Science Map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080004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