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Elsevier의 `미래의 학술논문` 프로젝트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4-02-27 00:00:00.000
내용 지난 수십 년간의 ICT 혁명이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에 영향을 주었던 것처럼 학술논문의 전달 방식과 검색 방법의 변화도 과학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쳤다 . 연구자들의 데이터 수집 , 분석 수행 , 연구결과 교환에 디지털 도구가 도입되면서 연구 자체에 대한 ICT 의 영향력은 훨씬 더 깊어졌다 . 따라서 연구결과물은 새로운 디지털 형식으로 변화되었고 , 그 연구결과물을 배포하는 데에 학술논문의 형태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 지난 세기 말까지 공식적 과학 커뮤니케이션에서 테크놀로지의 역할은 ( 인쇄 ) 커뮤니케이션에서 테크놀로지의 역할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 예를 들어 , 인쇄기의 발명이 출판을 더 용이하게 하고 더욱 광범위하게 배포할 수 있게 했을 때 , 과학적인 연구 결과와 견해가 더 쉽게 출판되고 더 널리 알려지게되었다 (Galilei, 1638; Le Journal des S?avans, 1655; Philosophical Transactions, 1655). 그리고 사진과 색상이 인쇄에 도입되었을 때 , 이 또한 과학 학술논문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되었다 . 1980 년대와 1990 년대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 인터넷 , 웹의 도입과 확산은 그것이 과학 출판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과학에 영향을 미쳤다 . 과학이 기록 , 처리 및 실제적인 과학적 연구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했던 반면 , 과학 출판은 과학 정보를 쉽고 빠르게 검색하고 배포 ( 이것은 온라인 제출 시스템의 도입 , SGML 과 XML 의 사용 , PDF 의 도입 , 저널 웹 사이트의 생성 , 그리고 텍스트 - 검색엔진의 구현 등을 통해 달성되었다 .) 하기 위해 디지털 도구와 웹 도구를 사용했다 . 과학 출판의 기술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 과학적인 내용에 관한 학술논문은 옛날의 인쇄 버전 ( 지금은 새로운 전자 형식인 PDF 로 배포되지만 ) 에 가까운 형태로 머물러 있었다 . 그러나 최근에 과학 학술논문에서 테크놀로지의 역할이 바뀌었다 . 지금은 STM 저널의 90% 이상이 비전통적인 형태의 추가 자료를 첨부하여 제출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가치가 향상되었다 (PARSE.Insight 2009-2010). 어떤 경우에는 그러한 추가 자료의 상단에 상호작용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 특히 비디오 (Journal of Visualized Experiments, 2006) 와 오디오 파일 형태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 또한 고품질의 텍스트 마이닝 (M?ller, Kenny, Sternberg, 2004) 은 데이터에 대한 정의 , 주석 , 명료화 및 링크와 함께 학술논문의 내용을 풍부하게 해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과학에서의 테크놀로지 사용이 과학 학술논문에서의 테크놀로지 발전보다 빠르게 움직인다 . 과학은 거의 모든 분야에서 디지털로 변화되었고 , 각 분야별로 특별한 형태로 디지털 데이터가 생성되고 교환되는 등 변화가 심했다 (PARSE.Insight, 2009 ? 2010; Smit, 2011). 반면 , 과학 학술논문은 대체로 옛날과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 모든 과학 학술논문에 두루 적용되는 전통적인 인쇄 형태의 학술논문과 분야별로 특정한 디지털 과학의 현실 사이의 격차를 연결하는 것은 상당수의 연구 , 프로토타입 , 출판 활동의 목표가 되어왔다 (Journal of Archaeology, 2009; Shotton, Portwin, Klyne, Miles, 2009). 이러한 맥락에서 Elsevier 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 미래의 학술논문 ”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 - 분야별 특수 과학 (discipline-specific science) 을 공식적인 과학적 기록물인 과학 학술논문에도 충분히 적용하는 것 - 풍부한 과학 연구의 출판으로 과학적 의사소통을 개선하는 것 - 다양하고도 분야별로 특별한 연구결과를 저자들이 주고받기 위한 적절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 - 독자들이 효과적으로 최대한의 통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최적의 자료읽기 환경을 제공하는 것 “ 미래의 학술논문 ” 프로젝트는 Elsevier 가 출판하는 Cell Press 생명과학 저널을 시작으로 2009 년에 도입되었으며 (Marcus, 2010), 2011 년 6 월에 Elsevier 는 공개적으로 7 개 이상의 분야별 과학 도메인에 대한 13 개의 프로토타입을 발표했다 . 그 이후 Elsevier 의 저널과 Elsevier 의 온라인 저널 원문제공 플랫폼인 ScienceDirect 에서 “ 미래의 학술논문 ” 개념이 구현되었다 . 디지털 및 분야별 특수 과학을 과학 학술논문에 심도 깊게 도입하는 것에 관한 “ 미래의 학술논문 ”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핵심영역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 첫째 , 실제 연구 데이터 및 결과가 쌓여가고 있는 외부 데이터 리포지터리와 학술 연구논문을 테크놀로지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 과학 학술논문과 도메인별로 저장된 연구 자료의 상호링킹에 대해 논의한다 . 도메인은 특정한 데이터 리포지터리를 말하며 , 상호링킹은 효율적이며 정확하게 학술논문과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필수적이다 . 둘째 , 온라인 학술논문에서 사용할 수 있는 3D 시각화 도구를 제시한다 . 즉 , 언어로 설명되어있는 연구결과에 분자 구조 , 수학적 구성 , 고고학적 모델을 적용하여 학술논문을 시각화함으로써 더욱 빠르게 이해하고 깊이 있게 통찰할 수 있도록 한다 . 이것은 학술논문의 디지털 포맷이 과학 커뮤니케이션에 가치를 높이고 독자들이 연구 결과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법의 주요한 사례가 된다 . 마지막 주제는 무절제한 방식으로 콘텐츠에 현대 기술을 적용할 때 직면하는 문제에 관한 것이다 . 즉 , 텍스트 - 마이닝 및 기타 방법을 통해 저널의 학술논문을 자동으로 축적하는 것이다 . 어떻게 출판된 학술논문의 고품질과 심사제도 (peer-review) 를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맥락에 맞는 링크를 작성하는 것 사이에 균형을 가질 수 있을까 ?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 저자나 심사위원의 승인 없이 자동적으로 데이터에 대한 정의 , 주석 , 명확화 및 링크가 우리 콘텐츠의 속성에 링크되도록 하는 과학출판사의 활동을 저자와 독자가 이해하고 받아들일지의 문제를 다룬다 . 이상의 세 가지 핵심영역에 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 외부 데이터 리포지터리에 있는 연구 데이터 양의 지속적 성장과 공식적인 과학 기록물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 즉 , 데이터를 더 많이 검색할 수 있게 하고 독자가 학술논문으로부터 바로 데이터를 검사할 수 있게 하는 ) 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들을 검토했다 . 연구 데이터가 기존 연구의 검증과 새로 시작된 연구에서의 재사용을 위해 점점 더 중요해짐에 따라 , 향후 과학의 진보를 위해 이와 같은 연결은 중요하게 될 것이다 . 둘째로 , 오늘날의 과학 학술논문이 전통적인 종이 / 인쇄 포맷과 어떻게 맞지 않게 되었는지에 대한 좋은 예시를 서술했다 . 전통적인 평면 그래프와 이미지는 상호작용적 수리 구성과 연대기적 모델로 대체된다 . 시각화 및 상호작용의 이러한 발전은 흥미진진하며 , 완벽하게 실행 가능한 논문이 되도록 앞장서고 있다 . 즉 , 그 학술논문의 맥락에서 완벽한 계산 실험을 재실행하고 수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 마지막으로 , 과학 출판사가 저자 , 심사자 , 편집자의 승인 없이 과학 학술논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테크놀로지 ( 예를 들어 , 텍스트 마이닝 ) 을 어디까지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했다 . 이러한 기술이 가져다주는 질적 향상은 높은 가치를 가질 수 있고 확실히 가치가 인정되지만 , 심사평가 없이 단순히 추가해도 되는 것인가 ? 많은 저자와 편집자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 . 따라서 자동으로 추가된 강화기능들의 가치와 특히 저자와 심사자에게 추가 작업의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과학적으로 심사된 학술논문의 수준을 균형 있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출판사들이 해결해야할 문제가 되었다 .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주제이며 계속 개발해야하는 주제는 구조화된 디지털 초록 (Ceol, Chatr-Aryamontri, Licata, Cesareni, 2008) 과 관리된 나노출판 (Groth, Gibson, Velterop, 2010)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 우리가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이며 ,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 그리고 여러 대안 중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어떤 것인가 ? 이와 같이 현대의 과학 학술논문을 여러 측면 보면 , 현대의 테크놀로지가 학술논문과 통합되어 과학 분야의 독자에게 더 빠른 이해와 더 깊은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결론을 쉽게 내리게 될 수도 있다 .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과학 학술논문을 재정의 하는 시작점에 있는 것이 분명하다 . 기술적 역량을 구현하는 것에 있어서 저자 , 편집자 , 심사자 , 독자 등 다양한 구성원들 간에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주의깊은 노력이 필요하다 .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40206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엘스비어; 학술논문의 미래 프로젝트; 과학 학술논문 2. Elsevier; Article of the Future Project; Scientific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