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록펠러 재단이 예측한 미래 시나리오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11-17 00:00:00.000
내용 미국 록펠러 재단에서, 미래의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새로운 기회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기술발전 방향 및 혁신활동 등을 포함한 미래 시나리오를 제시함. 시나리오는 '정치와 경제의 일치도(수출입 범위와 국제 문제해결 네트워크 수준 등)', '변화에 대한 적응 역량(외부 압력으로 인한 신규 시스템으로의 전환 능력 등)을 분석틀로 하여, '강한 통제사회', '함께 잘 사는 사회' 등 4개의 사회양상과 기술혁신 활동을 제시함. 이를 통해 정부와 기업 등의 미래에 관한 전략적 의사결정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함. ---------------------------------------------------------------------------------------------------- 1. 개 요 □ 미 록펠러 재단 * 은 미래에 다가올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새로운 기회를 적극 활용하기 위하여 미래 시나리오를 제시 * The Rockefeller Foundation : 인류복지 증진을 목적으로 하며 미국의 기술, 사회 및 경제의 세계화를 연구하는 법인재단으로 1913년에 설립 ○ 본 보고서에서는 각 시나리오별로 기술발전방향 및 혁신활동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미래 모습을 제시 [ 시나리오 방법 ] ◇ 미래를 결정하는데 영향력이 큰 핵심요인을 도출하고 이의 변화방향에 따라 다수의 미래 시나리오를 도출 - 미래는 현재로서는 제어가 불가능한 불확실성(천재지변, 세계정치구도 변화 등)을 내포 - 파급효과가 크며 통제가 불가능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핵심요인을 축으로 한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이야기 형식으로 제시 ※ 고려 대상(시간,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불확실성의 결정요인이 존재할 수 있어 여러 가지 환경변화 요인에 대한 시간적, 지역적 맥락 등을 해석하여 핵심요인 도출 ◇ 시나리오 방법은 각 미래 시나리오에 대해서 유효한 대응을 위해 미리 준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전략적 의사결정 지원 도구 - 각각의 미래 시나리오가 갖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전략적 대응책을 미리 강구 - 특히 의사결정자에게 미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다가오는 환경변화가 갖는 기회와 위협요인을 파악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하는데 기여 2. 시나리오 분석틀 ○ 미래 기술과 국제사회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동인을 도출하 고, 그 중에서 ldquo;정치와 경제의 일치도 rdquo;와 ldquo;변화에 대한 적응 역량 rdquo;을 시나리오 분석틀의 주요한 불확실성 축으로 선정 ※ 미래 환경변화를 결정하는 요인 중에 파급효과와 불확실성이 큰 2개 요인을 선택하고 각 요인의 양 극단을 가정한 상황에서 미래 시나리오 작성 2개의 불확실성의 축 정치와 경제의 일치도 (Y축) ○ 상품, 자본 , 인력 및 아이디어의 흐름 등을 포함하는 경제 통합성뿐 아니라, 글로벌 도전과제를 풀어나가는 효율적 정치 구조도 포함 - 상품·서비스의 수출입 범위, 국가간 협력 및 효율적인 국제 문제해결 네트워크의 정도에 따라 축상의 위치가 결정 변화에 대한 적응역량 (X축) ○ 외부 압력에 대한 탄력성을 갖추기 위한 기존 시스템 및 구조의 관리 능력과 새로운 시스템 및 구조로의 전환 능력 - 사회 내의 신뢰감 존재 여부, 참신함과 다양성의 존재, 활력, 다양성 및 관습의 공존, 커뮤니케이션과 아이디어의 자유로운 흐름 등의 정도에 따라 축상의 위치가 결정 3. 미래 시나리오 도출 ○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하여 4개의 미래 시나리오를 제시 ※ 시나리오의 내용은 주요 이슈 및 시대별 이슈, 주요 기술과 트렌트 등을 포함 불확실성의 축의 양 극단을 가정한 4개의 미래 시나리오 Lock Step(강한 통제사회) : 보다 강력한 정부 제재에 놓이게 되어, 혁신이 제한적이고 시민의 권리보다 권위적인 리더십이 급부상 #9657; (정부의 권위적 통치) 2012년 강력한 전염병으로 인해 아프리카, 동남 및 중앙아시아가 타격이 큰 가운데, 미국 또한 시민 안전보장을 위해 미국내 여행조차 금지 #8228; 중국은 정부의 강력한 관리로 인해 다른 국가보다 효율적으로 대응 #8228; 전염병이 사라진 후에도 생체신분증(Bio ID)을 통한 감시 등 더욱 강력한 상의하달 방식의 권위적인 통치를 유지 #9657; (정부에 대한 시민 대응) 2025년 국익과 민간이익 간의 충돌로 분쟁이 발생하자, 시민은 조직력을 갖춰 정부에 대항 #8228; 2026년 나이지리아 정부는 시위자들에 의해 와해 #9657; ( 선진국·개도국의 차별전략) 선 진국은 개도국의 기술개발 및 자국의 기업활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과학자·혁신가의 연구 활동을 통제 #8228; 러시아와 인도가 IT혁신 관련 내수품을 보호함에 따라 미국과 EU는 자국이 개발한 새로운 기술의 보급을 통제 #9657; (기술혁신 활동) 기술혁신은 주로 국가안보, 보건 및 안전에 관해 국가 통제하에 이루어지며, 선진국 주도 하에 개발 #8228; FMRI * 가 공항에서 설치되고, 음식, 보건, 건강 관련 기술이 강화되며, 국가안보를 위해 IT네트워크는 각 국가가 독립적으로 관 리 *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Cle ver Together(함께 잘 사는 사회) : 긴급 또는 확인된 세계적 이슈를 균형적 이 고 성공적 전략으로 해결 #9657; (경제 불균형) 2008년 불경기 이후에 우려와 달리, 세계경제는 빠르게 성장하였으나, 이후 부의 재분배에서 불균형 발생 #9657; (주요이슈인 환경 문제) 기후 문제 특히, 허드슨강의 범람으로 뉴욕에 홍수 발생 등의 환경문제는 미래의 문제가 아닌 현안으로 인식 #8228; 이에, 국제적 협력조직이 생겨나고, 환경 관련 규제 조항을 마련하여 환 경을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생김 #8228; 이러한 움직임은 환경뿐 아니라, 기아, 질병 등과 같은 국제 문제 해결에도 영향을 미쳐 새로운 의학기술의 발전을 가져옴 #9657; 전통적 방식의 접근법은 신기술의 발전으로 점차 사라져가며, 이러한 기술은 환경친화적 형태로 사용 #8228; 2025년 태양열, 풍력 등과 같은 재생에너지 사용의 증가로 에너지 수입비용이 절감되고 국내에 관련 분야 일자리 창출 #9657; (기술혁신 활동) 질병, 기후변화, 에너지 부족 등의 국제 문제 해결 또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기술이 발전 #8228;협력 분위기가 조성되어 데이터가 공개되고 접근이 쉬워짐 Hack Attack(상호불신 사회) : 경제적으로 불안정하고, 정부는 권력을 상실하며 범죄가 난무하고 위험성 있는 혁신이 출현 #9657; 국제적 재난 (미국 911사태, 동남아 지진해일, 아이티 지진 등) 은 경제적 불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각국은 국가간 동맹 및 협력보다 자국의 경제적 안정에 총력을 기울임 #9657; 부익부 빈인빅의 격차가 어느 때 보다 크며, 위기의식을 느낀 서민들은 가족 유대감, 종교적 신념 및 국가충성도가 증가 #9657; 해커의 활발한 활동으로 정부 및 금융 시스템 등에서 범죄가 급증하고, 이를 예방할 기술이 발전하였으나 해커활동을 막기에는 역부족 #9657; ( 기술혁신 활동) 혁신에 대한 인센티브가 거의 없는 상황으로, 생화학 무기에 대한 공포, 인터넷 보안은 무너지며, 신분확인 관련 기술 확 대 Smart Scramble(지역위주 분산 #8231;경쟁사회) : 경제적으로 침제한 사회로, 개개인과 공동체는 지역적 수준으로만 발전되고, 문제에 임시방편적으로 대처 #9657; (불경기·침체기) 2008년 시작된 세계 불경기는 2010년까지 지속 #8228; 미국 또한 국제적 신용을 잃고 기존 국제 협력관계도 파기 #8228; 중국도 주춤한 가운데 아프리카에 투자한 많은 국가들이 투자 철수 #9657; (실업률 증가·이민 감소) 실업률 증가, 이민 감소로 많은 사람들이 본국으로 회귀하여 자국발전에 기여 #8228; 지역적 발전이 이루어져 lsquo;생존 rsquo;과 lsquo;성공 rsquo;에 대한 기준은 지역 격차가 커짐 #9657; (지역 연계성 증가) 공동체 내의 연계성은 더욱 강해지고 지역공동체 내부에서 자체 제작한 화폐를 유통하기도 함 #8228; 한편, 이는 지역간 소통 및 통일성에 큰 불편을 발생 #9657; (기술혁신 활동) 능력있는 이민자들은 회귀하고, 각 주체별 개별적인(do-it-youself) 혁신이 출현하며, 전체적 혁신 구조가 취약 #8228; 에너지기술은 보다 효율성 위주로 발전, 의약공급 부문에서는 국제적 차원의 공급체계는 무너지고, 지역적 차원의 조직 출현이 가속화 4. 시사점 □ 본 보고서는 미래 사회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함으로써 정부, 기업, 단체 등의 미래에 관한 전략적 의사결정에 관한 가이드라인 제공 ○ 미래의 변화양상에 대한 미국적 해석을 바탕으로 자국의 주요 기술혁신주체 (정부,기업, 단체 등) 에게 시사점 제시 ※ 각 조직과 기관은, 각각의 시나리오가 실제로 실현될 경우 기술과 관련하여 취해야 할 전략적 자세와 대응방식이 서로 다르며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시사 □ 과학기술 중장기전략 수립시 시나리오 기법의 적용을 통해 국가과학기술기획의 미래성 및 전략성을 제고하는 것이 중요 ○ 국가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관련 환경변화에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적 자세가 매우 중요 - 현대 과학기술은 발전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발전방향에 대한 불확실성도 매우 높은 특징을 지님 ※ 현대로 올수록 기술적 발전속도가 빨라지고 해당 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속도도 매우 빨라서(그림3) 향후 기술발전 방향에 대한 예측도 매우 어려워짐 (출처) Strategic foresight-the power of standing in the future, 2002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도입과 기술수용 속도의 변화 ○ 지속적인 국가 먹거리 창출을 위해서도 과학기술관련 환경변화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와 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처가 중요 - 자국의 입장에서 과학기술 환경변화의 핵심동인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전략적 기술기획 필요 □ 우리나라는 국가과학기술기획에 미래 시나리오 기법을 일부 적용 ○ 과학기술예측조사 * 의 일부로 미래 시나리오 기법을 적용하여 우리 환경에 맞는 미래 과학기술니즈와 유망 과학기술분야 도출 * 과학기술기본법에 의해 매5년마다 실시(교과부주관,KISTEP수행)하고 있으며 제3회 조사( rsquo;05년)에서 시나리오 방법론을 일부 시험 적용하였으나 불확실성의 체계적인 고려가 없는 등 초보적인 수준에서 실시 ○ 과학기술 기본계획, 범부처 중장기 과학기술계획 등의 수립 시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전략적인 고려를 위해 시나리오기법 확대 적용 필요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반과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100004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