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술동향

동향 기본정보

미국의 주요 6개국 과학기술전략 분석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11-26 00:00:00.000
내용 미국 글로벌 과학기술전략위원회에서 주요 6개국의 과학기술전략과 혁신환경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미국을 위한 권고사항을 도출함. 최근 중국, 인도, 브라질 등의 등장으로 글로벌 경제-과학 판도가 다극화되고 있으며, 미국의 R D 관련 지위는 약화되고 있다고 평가함.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혁신환경과 지식재산 이전에 대해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혁신환경에 대한 평가-개선을 지속해야 하며, 연구시스템의 효율성 확보를 위해 계속 노력해야 한다는 등의 권고사항을 제시함. --------------------------------------------------------------------------------------------------- 1. 개요 □ GSTS는 자국의 경제·국가안보라는 측면에서 주요국 * 의 과학기술 전략과 글로벌 혁신 환경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언 * 일본(J), 브라질(B), 러시아(R), 인도(I), 중국(C), 싱가포르(S) (이하 JBRICS) ○ 6개국의 과학기술 전략 및 혁신환경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미국을 위한 권고사항을 도출 [ 분석대상 국가의 선정 기준 ] ◇ 과학기술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미 이루었거나 이루고 있는 국가 ◇ 특히 해당 국가가 실행하고 있는 과학기술 정책이 미국의 경제·안보 측면에서 중요성이 큰 경우 - 일본과 싱가포르는 영토 및 자원이 빈약하지만 타국과 견주어 손색없는 성장을 이룬 대표적인 성공 모델 -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은 영토가 넓고 풍부한 자원을 갖고 있으며 국가의 정치·경제 시스템으로 글로벌 자본주의를 표방하고 있다는 점도 선정의 고려요소 - JBRICS는 미국의 안보 측면에서 서로 다른 함축적 의미를 지님 ※ 중국과 인도는 군사 현대화를 경제발전보다 더 우선순위에 두고 있고, 러시아는 하락한 국가위상을 군사력을 통해 보상받으려는 잠재성이 있는 등 6개국은 다양한 안보적 의미를 내포 2. 주요국 과학기술 환경 #8231;정책의 특징 국가 S T 환경·정책의 주요 내용 브라질 [주요 특징] #9642; 과학기술을 안보 및 사회평등 향상의 핵심 요소로 인식 #9642;정부의 S T 인프라 투자규모는 GDP대비 적은 수준 #9642;정부의 기초연구 및 대학 연구지원도 낮은 수준 #9642;과학기술 측면에서 볼 때 에너지 및 농업 분야에 강점 [문제점] #8228;과학기술인재 및 산학 협력 부족 #8228;기술 사업화에 대한 인식 부족 중국 [주요 특징] #9642; 과학기술발전을 통해 경제발전과 군사력 강화, 국제적 입지 재정립을 도모 #9642; 집중적이고 상의하달식 과학기술 투자는 성장의 주요 원동력 #9642; 아시아와 그 외 다른 국가에 관한 중국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군사의 현대화 프로그램에 적극 투자 #9642; 적극적으로 선진기술을 도입 : 다국적 기업 유치에 주력 #9642; 과학기술 인프라 구축을 우선순위에 둠 : 특히 IT, 에너지, BT 분야에 주력 [문제점] #8228;혁신활동에 있어서 해외 의존성이 큼 인도 [주요 특징] #9642; 과학기술을 통해 2020년까지 GDP 상위 5위국 진입을 목표로 함 #9642; 해외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 증대 #9642; 표면적으로는 중국에 대적하는 이유로 핵무기를 소유,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파키스탄의 위협에 대한 방어체제가 이유 #9642; 민군겸용기술개발을 최우선시 : 핵기술, 우주 및 해양 탐사 등 #9642; 건강 및 농업 기술, ICT, BT, NT 등도 높은 우선순위 [문제점] #8228;인재의 해외 유출 심각 및 한정된 교육기회 #8228;기초적 인프라 부재 및 산·학·연 협력 부족 일본 [주요 특징] #9642; 과학기술을 경제회생과 국가안보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 #9642;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북한문제 등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이 증가 #9642; 이에 따라 국방력 현대화에 관한 과학기술 투자를 지속할 가능성 #9642; R D투자 규모 증가 강조 및 산 #8231;학 #8231;연 협력 강화, 인프라 구조 개선 추진 [문제점] #8228;산 #8231;학 #8231;연 지속적 협력 부재 #8228;젊은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기회 부족 #8228;연구 인력의 낮은 유동성 국가 S T 환경·정책의 주요 내용 러시아 [주요 특징] #9642; 기초과학분야에 강점 #9642; 원자재, 우주, 핵 분야 등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분야에 더욱 집중 #9642;수익창출이 가능한 풍부한 자원 및 높은 교육열 [문제점] #8228;정부 및 산업분야에 만연한 부패 #8228;상업화에 대한 관심과 의지 부족 싱가포르 [주요 특징] #9642; 국가안보 및 번영이 교육 #8231;무역 #8231; 혁신 에 의해 결정되는 시스템 #9642; 민군겸용 기술 개발에 집중 #9642;정치 #8231;경제적으로 안정된 국가 [문제점] #8228;개인 독립성 증가 #8228; 다양한 국적으로 인한 문화적 충돌과 테러 발생 가능성 3. 미국의 과학기술 국제위상 변화 □ 세계의 경제·과학 판도는 미국이 경쟁력을 지녔던 25년 전과는 크게 다르며 중국, 인도, 브라질 등의 등장으로 다극화가 심화 ○ 20세기 후반 세계의 위협을 소련으로 단정지었을 때와는 달리 이제 미국의 지위를 위협하는 요인은 좀 더 복잡하고 다양해짐 ※ rsquo;50년대가 ldquo;통제와 분리 rdquo;의 패러다임 시대였다면, 이제는 ldquo;참여와 협력 rdquo;의 시대 □ 지식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미국의 R D에 관한 지위는 크게 약화 ○ 미국은 정부 주도의 연구개발을 통해 과학기술의 발전을 부와 권력의 창출에 활용한 대표적 국가로 타국의 모델로서 기능 ※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정부주도로 자국민의 건강, 안보, 경제발전을 목표로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성공한 최초의 국가 ○ 이제는 미국도 새로운 기술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다른 과학기술 선진국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들어짐 - 과학기술 및 연구개발활동 확산 등 지식의 세계화가 진전되면서 R D의 중추가 미국에서 미국이외의 지역으로 확산 - 이러한 변화는 미국의 경제 및 기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국가안보정책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침 4. 미국을 위한 권고사항 글로벌 혁신환경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 ○ 국가적 차원에서부터 글로벌 차원까지 과학기술 혁신 환경의 변화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할 필요 - 미국의 혁신환경뿐만 아니라 주요 국가의 안보이슈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예측은 성공적인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 환경 구축에 중요한 요소 #983730; 지식재산 이전에 관한 모니터링 ○ 해외에서 활동하는 다국적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 의해 타국 기업으로 이전되는 지식재산에 대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 특히 인도나 중국의 지식재산에 관해서는 일본 및 EU와 연합하여 지속적인 관찰 필요 #983731; 혁신환경에 대한 평가·개선을 통해 S T역량의 경쟁우위 지속 유지 ○ 우수한 혁신환경 구축을 위해 혁신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 및 개선 * 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미국의 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 * R D 인력과 교육의 글로벌화, R D 인력의 국내외 교류 촉진, 다국적 기업과의 협력,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에서의 미국 위상에 관한 정책 평가 등 #983732; 혁신환경을 측정·개선하기 위한 지표 개발 ○ 미국이 설정한 목표기술의 실현에 적합한 혁신환경을 조성하기위해서는, 먼저 혁신환경 측정방법을 개발할 필요 - 이러한 지표에는 전통적 요인 * 과 비전통적 요인 ** 을 모두 포함해야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도 포함되어야 함 * R D투자액, GDP 대비 R D 투자액, 국민 1인당 특허권수, 신생기업 수 등 ** 각국의 문화적 맥락에 따른 S T 혁신환경의 특성 #983733; 연구시설 및 연구지원 수준의 모니터링 ○ 우수한 과학기술 인재의 유인을 위해 연구자에 대한 연구시설 및 연구지원 수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 ※ 가장 성공적이며 훌륭한 글로벌 혁신환경에서는 우수한 인재에게 중요한 직책이 주어지고 훌륭한 연구시설과 연구지원이 충분히 이루어짐 #983734; 연구시스템의 효율성에 관한 지속적 평가 ○ 연구성과 뿐만 아니라 시설·환경의 효율적인 활용 여부를 측정하여 전체 연구시스템의 효율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평가 - 이러한 효율성 평가는 연구인력과 연구시설·환경 등 연구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의 방향성을 잡아줄 수 있음 #983735; 타국의 과학기술혁신이 자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정부는 글로벌 S T 혁신과 R D의 글로벌 분산이 자국의 국가 안보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하여 시급히 평가할 필요 5. 정책적 시사점 □ 본 보고서는 과학기술 강국이 타국의 발전을 바라보는 주요 관점이 경제적 경쟁 관점과 국가안보 관점이라는 점을 특징적으로 보여줌 ○ 국가와 국가 사이의 관점에서 볼 때, 과학기술에 있어서도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자국의 경제와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 ○ 우리나라도 주변 강대국의 과학기술정책의 변화와 혁신환경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우수한 점은 벤치마킹할 필요 - 특히 중국, 일본, 러시아, 인도는 경제적 측면과 안보의 측면에서 우리에게도 중요한 국가이므로 지속적 분석하는 노력 필요 ※ 주요국의 혁신환경·연구환경 개선 노력, 혁신환경 측정지표, 연구 효율성 평가 등에 대한 벤치마킹을 지속할 필요 □ 특히 본보고서에서 제시한 지식재산에 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기술적·경제적 측면에서 우리나라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큼 ○ 지식재산 분쟁의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공격자 (중국, 인도 등) 와 방어자 (미국, 일본 등) 가 동시에 될 수 있는 위치이므로 이에 대한 전략적인 대비가 필요 ※ 우리기업의 26.7%가 지난 3년간 특허분쟁 * 을 경험하는 등 외국기업 및 특허괴물 (Patent Troll)의 특허공세에 노출(특허청 rsquo;09년 실태조사) * 하이닉스 D램소송( rsquo;09년, 램버스(美)), 삼성 GSM기술 소송( rsquo;07년, 인터디지털(美)) 등 ※ 자동차 같은 국내 대형 주력 산업의 경우 중국 등에 대한 기술유출이 점차 대형화, 조직화되는 추세여서 이에 대한 방어가 필요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기반과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100004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